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3 14:10:26

강진무위사IC

강진IC에서 넘어옴
강진무위사 나들목
康津無爲寺 나들목
Gangjin-Muwisa Interchange
강진무위사 요금소
Gangjin-Muwisa Tollgate
영암 방면
서영암TG
← 14.0 km
파일:Expressway_kor_10.svg 순천 방면
장흥IC
강진JC
(공사중)

18.8 km →
◀   영암임시휴게소(양방향)
주소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영풍리
관리기관
남해선 한국도로공사 광주전남본부 보성지사
개통
2012년 4월 27일
접속도로
[[2번 국도|
2
]](녹색로) · (금강로)

1. 개요2. 구조
2.1. 순천 방향(상행선)2.2. 영암 방향(하행선)
3. 역사4. 특징5. 여담6. 둘러보기


1. 개요

남해고속도로 3번.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남해고속도로 20(영풍리 442-6)에 위치한 남해고속도로의 트럼펫형 나들목. 명칭은 소재지인 강진군과 인근의 월출산 무위사에서 유래했으며, 전라남도환경진흥원으로 갈 수 있다.

부산, 창원, 진주, 순천에서 영암군 영암읍으로 가려면 이 나들목에서 무조건 진출입 해야한다. 다음 나들목인 종점인 서영암 나들목에서 영암읍으로 연결하는 도로가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기는 2번 국도 타다가 13번 국도로 갈아타서 영암읍으로 바로 갈 수 있다.[1]

2. 구조

2.1. 순천 방향(상행선)

2.2. 영암 방향(하행선)

3. 역사

4. 특징

5. 여담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3f3f7f><tablewidth=310><tablebgcolor=#3f3f7f>
파일:Expressway_kor_10.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영암 ~ 순천 구간 - - - - - - - - - - - - - - -
순천 ~ 부산 구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파일:강진군 CI.svg 강진군의 교통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width=100%><colbgcolor=#66c142><colcolor=#ffffff> 철도 남해선 강진역(미개통)
도로 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10.svg남해고속도로(강진무위사IC3), 파일:Expressway_kor_255.svg강진광주고속도로(강진JC)
국도 2번 국도, 13번 국도, 18번 국도, 23번 국도, 77번 국도
지방도 55번 지방도, 819번 지방도, 827번 지방도, 830번 지방도, 835번 지방도
버스 농어촌버스 강진군 농어촌버스
고속(시외)버스 강진버스여객터미널
항만 강진항, 마량항, 사초항 外 22개소
전라남도의 교통 }}}}}}}}}


[1] 2026년 강진광주고속도로가 개통이 되면 동영암 나들목이 이어받게 된다.[2] 고흥군(나들목 2013.01.30), 보성군, 영암군 & 장흥군 역시 최초.[3] 여수엑스포 연결도로 잇단 준공 서울신문 120425[4] 수도권 동남부, 천안, 대전, 전주에서 완도군, 해남군, 강진군을 갈 때 이 나들목이 아닌 호남고속도로타고 남광산 나들목에서 49번 지방도 - 13번 국도로 타고 가는 게 더 편하다.[5] 부산, 창원, 진주, 순천 등 강진 이동 지역에서는 강진군으로 갈 때는 이 나들목보다 장흥 나들목에서 진출해서 2번 국도로 가는 게 더 편하다. 이 지역들이 해남군, 완도군, 진도군 갈 때도 이용된다.[6] 강진광주고속도로가 개통이 되면 동영암 나들목이 이어받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