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幹線鐵道 / Main-line Railway철도노선 중 수송량이 많은 주요선로로, 줄기 간 幹을 쓰는 것으로 알 수 있듯 철도망 중에서 뼈대가 되는 중요한 선로이다.
철도수송에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고 지방의 중심지와 중심지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2. 대한민국의 간선철도
대한민국의 철도 분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colbgcolor=#e3e3e3,#232323> 국가 소유 (철도사업법) | <colbgcolor=#eeeeee,#111111> 목적 | 사업용철도 | 전용철도 | ||||
지역·거리 | 간선철도 | 지선철도 | ||||||
속도 | 고속철도 (300km/h 이상) | 준고속철도 (200km/h ~ 300km/h) | 일반철도 (200km/h 미만) | |||||
지자체 소유 (도시철도법) | 도시철도 | |||||||
사업비 분담 특례 (대광법) | 광역철도 (국가철도 또는 도시철도 중에서 지정) | |||||||
기타분류 | 광역급행철도 · 광역전철 · 복선전철 · 단선전철 |
- 철도사업법 시행령
특별시 · 광역시 · 특별자치시 또는 도 간의 교통수요를 처리하기 위하여 운영 중인 10km 이상의 사업용철도노선으로서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한 노선
- 철도 노선 및 역의 명칭 관리지침
사업용철도노선을 운행거리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 지역 간의 여객과 화물 교통수요를 주로 수송하는 10km 이상의 사업용철도노선 중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한 노선
특별시 · 광역시 · 특별자치시 또는 도 간의 교통수요를 처리하기 위하여 운영 중인 10km 이상의 사업용철도노선으로서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한 노선
- 철도 노선 및 역의 명칭 관리지침
사업용철도노선을 운행거리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 지역 간의 여객과 화물 교통수요를 주로 수송하는 10km 이상의 사업용철도노선 중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한 노선
대한민국의 6대 간선으로는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경전선, 중앙선, 장항선이 있으며 경전선을 제외한 모든 노선이 서울과 연결되어 있다[1] 는 특징이 있다.
6대 간선 중 호남선은 2004년에[2], 경부선은 2006년, 전라선은 2011년, 중앙선이 2024년 연말에 전구간 전철화되었다. 나머지는 아직 비전철 구간이 상당수 남아있다.
그 밖에 간선 철도로 장거리 노선이거나 여객/화물처리 비중이 높은 경강선, 태백선, 경북선, 충북선, 경춘선, 동해선[3] 등이 있다. 한국의 모든 간선철도는 정부가 소유하고 한국철도공사와 국가철도공단이 운영, 관리하는 국유철도이자 국영철도다.
국가기간망인 간선철도의 노선명에는 철도고시에 ㅇㅇ본선이라는 이름이 달려 명시되며, 그 외의 간선철도는 그냥 ㅇㅇ선으로 되어있다.
간설철도에서 갈라져 나온 짧은 철도는 모두 지선철도이다.
2.1. 목록
- 경인선
- 경부본선
- 경의본선
- 호남본선
- 경원본선
- 충북선
- 경전본선
- 장항선
- 전라본선
- 경춘선
- 동해선
- 중앙본선
- 영동본선
- 경북본선
- 태백본선
- 안산본선
- 과천선
- 분당선
- 일산선
- 신분당선
- 서해선
- 인천국제공항선
- 경강선
- 진접선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3. 관련 문서
[1]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은 기점이 각기 대전조차장, 익산, 천안에 있지만 호남선과 장항선은 경부선에서, 전라선은 호남선에서 분기되는 노선이기에 해당.[2] KTX가 개통하기도 전에 전철화되었다.[3] 2021년 기준으로는 짧은 노선이지만, 계획상 구간이 모두 연결되면 남한 구간만 보더라도 경부선이나 중앙선을 능가하는 최장 간선이 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