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2 16:25:31

가야고분군

가야 고분군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120deg, #fff 5%, #000 5%, #000 9%, #fff 9%, #fff 10%, #000 10%, #000 14%, #fff 14%, #fff 15%, #000 15%, #000 19%, #fff 19%, #fff 81%, #cd313a 81%, #cd313a 90%, #0047a0 90%)"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fff>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문화유산

석굴암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

종묘

창덕궁

수원화성

경주역사유적지구

고창, 화순, 강화의
고인돌 유적

조선왕릉

한국의 역사마을
: 하회양동

남한산성

백제역사유적지구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한국의 서원

가야고분군
||<-2><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221e1f,#fff> 자연유산 ||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한국의 갯벌
}}}}}}}}} ||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흰 배경).svg 유네스코 세계유산
<colbgcolor=#000><colcolor=#fff> 가야고분군
Gaya Tumuli
Tumuli de Gaya
국가 <colbgcolor=#fff,#1f2023>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위치 대성동 고분군 <colbgcolor=#fff,#1f2023>경상남도 김해시
지도 [ 펼치기 · 접기 ]
말이산 고분군 경상남도 함안군
지도 [ 펼치기 · 접기 ]
옥전 고분군 경상남도 합천군
지도 [ 펼치기 · 접기 ]
지산동 고분군 경상북도 고령군
지도 [ 펼치기 · 접기 ]
송학동 고분군 경상남도 고성군
지도 [ 펼치기 · 접기 ]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지도 [ 펼치기 · 접기 ]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경상남도 창녕군
지도 [ 펼치기 · 접기 ]
등재유형 문화유산
지정번호 1666
등재연도 2023년
등재기준 (ⅲ)[1]
파일:external/photom.imaeil.com/1.38395405331E+1354001.jpg
고령 지산동 고분군

1. 개요2. 목록3. 여담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가야고분군은 1~6세기에 걸쳐 한반도 남부에 존재했던 고대 국가 가야제국[2]의 무덤 문화를 대표하는 7개 고분군으로 이루어진 연속유산이다. 해당 고분군들은 각 가야 중심지에 위치한 구릉에 오랜 기간에 걸쳐 조성된 가야의 최상위 지배층의 무덤들로 가야 연맹을 구성했던 각 정치체의 존재와 위세를 명확히 보여주는 유적이다.

또한 고분에서 발굴된 가야식 석곽묘와 토기를 비롯한 부장품은 동일한 문화를 공유한 가야 연맹의 전체적인 지리적 범위를 알려 주고, 이들 사이의 세부적 차이는 각 구성국의 범위와 독자성을 보여준다. 그리고 대등한 수준의 부장품은 가야 연맹이 자율성을 가진 수평적 관계였음을 보여준다.[3]

2023년 5월 11일 유네스코에서 가야고분군에 대해 세계유산 등재 권고가 내려져 등재가 확실시 되었고, 2023년 9월 17일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개최된 제45차 세계유산위원회(World Heritage Committee)[4]에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2. 목록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221e1f,#fff>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 화이트.svg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
{{{#!wiki style="color:#fff; margin:-0px -10px -5px; min-height:26px" dark-style="color:#221e1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대성동 고분군

말이산 고분군

옥전 고분군

지산동 고분군

송학동 고분군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

※ 순서와 영문 명칭은 유네스코 공식 홈페이지를 참고했다.

3. 여담

4. 관련 문서


[1]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2] 伽倻諸國, 가야를 구성하는 여러 나라들[3] 가야 구성국들의 관계에 대해서는 여전히 학계에서 '가야 연맹설'과 '가야 제국(諸國)설'이 대립 중이다. 앞으로의 연구에 따라 가야계 소국들 간의 관계도가 더욱 명확히 그려질 전망이다. 자세한 내용은 가야 문서 참고 바람.[4] 2023년 9월 10일~9월 24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2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2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