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7 20:30:30

가락IC

가락 나들목에서 넘어옴
가락 나들목
駕洛 나들목
Garak Interchange
가락 요금소
Garak Tollgate
김해 방면
서부산TG
← -.-km
파일:Expressway_kor_104.svg 부산 방면
서부산IC
5.5 km →
서부산휴게소(냉정방향)   ▶
파일:external/news20.busan.com/20141106000087_0.jpg
가락TG 전경
주소
부산광역시 강서구 봉림동
관리기관
남해2지선 한국도로공사 부산경남본부 창원지사
개통
1981년 9월 4일
접속도로
#!if (+n) > 0
[[69번 지방도|{{{#!wiki style="padding: 1px 2px; display: inline; border: 1.25px solid #ddd; border-color:#ffffff; background-color: #FDBA0B; color:#0C4D8D; font-family: Helvetica; word-break: keep-all;"
'''69'''}}}]]
#!if (+n) <= 0
[[지방도|{{{#!wiki style="padding: 1px 20px; aspect-ratio: 3/2; display: inline; border: 1.25px solid #ddd; border-color:#ffffff; background-color: #FDBA0B; color:#0C4D8D; font-family: Helvetica; word-break: keep-all;"
}}}]]
·파일:Cityroad_kor_77m.svg(가락대로)

1. 개요2. 구조
2.1. 부산 방향2.2. 김해 방향
3. 통행료4. 역사5. 여담6. 주변7. 사건사고8. 둘러보기

1. 개요

남해고속도로제2지선 3번. 부산광역시 강서구 남해2지선고속도로 13 (봉림동)(가락영업소)에 위치한 남해고속도로제2지선의 이중 트럼펫형 나들목.

이곳을 1005번이 통과한다. 부산광역시 관할 유료도로 구간이 아닌 한국도로공사 관할 고속도로라서 통행료 면제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한다.

사상에서 지사를 가고자 할 경우 해당 나들목을 이용하는게 제일 빠르다.

이 주변에 부경경마공원역이 들어설 예정이다.[1]

이 나들목을 통해 진출해서 거가대로를 거쳐서 거제도에 갈 수 있다. 실제로 서면, 사상 등 부산 시내와 장유(특히 율하지구)에서 거제도에 갈 때 가락 나들목을 거쳐서 가는 것이 가장 빠르다. 실제로 부산서부 - 율하 노선은 해당 나들목을 이용해 고속도로를 나간다. 하지만 고속도로 상의 진출로 표지판에는 '거제'가 써 있지 않다.[2]

2. 구조

본래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토평IC처럼 불완전 클로버형 입체교차로였으나 남해2지선 확장공사에 따라 2014년 10월 1일부로 약간 서쪽으로 이설해 지금 위치에 자리하고 구조도 트럼펫형으로 개조됐다.[3] 다만 부족한 공간에 트럼펫형 교차로를 욱여넣다 보니 부산방향 진출로의 경우 급커브로 인한 위빙현상이 심각한 수준. 그래서 전도주의 표지판과 일본 수도고속도로의 커브구간 마냥 커브구간에 빗금무늬 실선까지 칠해진 상태이니, 이 곳을 지나는 운전자라면 감속이 필수다.

트럼펫형 개조와 함께 서부산TG가 가락IC 서쪽으로 확장 이전하면서 요금 납부 체계도 바뀌었다. 과거에는 가락IC로 진입해 부산 방향으로 갈 때 가락TG에서 요금 정산을 시작해 서부산TG에서 1,100원이 지불됐는데, 이제는 그냥 가락TG에서 1,000원을 내면 정산 끝이다. 반대로 김해 방향으로 진입할 때는 가락TG에서 정산을 시작하고 진입 램프로 이동하면 아예 본선과 분리된 별도 차로를 따라 서부산TG를 그냥 통과한다. 다만 이러한 구조 때문에 가락IC를 진입할 때 톨게이트부터 부산 방향과 김해 방향이 분리되므로 주의. 부산 방향은 1~3차로, 김해 방향은 4~5차로를 써야 한다.

반대로 고속도로에서 가락IC를 통해 진출할 경우, 부산 방향 차량은 서부산TG에서 이미 요금 정산을 한 상태이기 때문에 가락TG를 그냥 통과하며, 실제로 부산 방향 진출램프는 톨게이트를 지날 때까지 완전히 분리된 차로를 따라 통과한다. 반대로 김해 방향 차량은 진입한 나들목과 무관히 가락TG에서 1,000원을 지불하면 끝.

2.1. 부산 방향

2.2. 김해 방향

3. 통행료

<rowcolor=#ffffff> 가락IC 통행료
<rowcolor=#ffffff> 1종 2종 3종 4종 5종 6종
1,000 1,000 1,000 1,100 1,200 500

4. 역사

5. 여담

6. 주변

인근의 범방동에는 가칭 가락역이 생길 예정이다.

7. 사건사고

서부산요금소 방향으로 가락IC 출구지점에서 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대부분 전방주시태만으로 인한 후방추돌과 끼어들기로 인한 접촉사고이며, 특히 화물차들 간의 추돌사고가 발생하면 무조건 사망사고로 이어지다보니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3f3f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f3f7f>
파일:Expressway_kor_104.svg
}}}
{{{#!wiki style="color:#000,#00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냉정JC(파일:Expressway_kor_10.svg) - 장유SA - 장유IC - 남장유IC - 서부산TG - 가락IC - 서부산SA - 서부산IC - 사상IC }}}}}}}}}


[1] 행정상 가락동이 아닌 녹산동(법정으로는 범방동)에 소재한다.[2] 그야 가락IC로 가는 것보다는 김해공항나들목으로 빠지거나 아니면 낙동강하굿둑이나 을숙도대교를 지나가는 것이 다반사이기 때문이다.[3] 과거의 IC와 요금소 부지는 지금도 흉물처럼 방치되고 있다. 2차선 시골길이던 가락로가 부산신항 개항을 대비해 왕복 8차선의 항만배후도로로 탈바꿈 되고 남해2지선도 확장되면서 안그래도 가락 IC에 있던 자연부락의 대부분이 헐리고 마을 끝자락에 있던 IC 부지의 접근성이 최악으로 변해 공원이나 문화공간으로 바꾸기도 쉽지않은 상태이다.[4] 남해고속도로의 가락교차로 준공, 1982-11-30, 매일경제[5] 유료도로통행료수납변경공고(안), 국토교통부[6] 남해고속도로제2지선을 거치지 않고 낙동강을 건너가려면 중앙고속도로 삼락 나들목까지 이어지는 강서낙동강교를 거쳐서 가야하는데 김해공항 나들목까지 돌아가야하는지라 이동 소요시간이 많이 걸린다.[7] 대부분 차량들이 한쪽 방면의 통제를 보고 반대쪽으로 유턴했다가 반대쪽도 차단된 것을 보고 또 유턴을 해서 다른 도로로 우회했다. 또한 가락대로에는 고속도로 상황판이 있음에도 가동조차 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