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萊 명아주 래 |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fff,#1c1d1f> 艸, 8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fff,#1c1d1f> 12획 |
| 미배정 | |||
| {{{#!wiki style="margin: -2px" | |||
| 일본어 음독 | ライ | ||
| 일본어 훈독 | あかざ, あれち | ||
| 莱 | |||
| 표준 중국어 | lái | ||
1. 개요
萊는 '명아주 래'라는 한자로, '명아주', '묵정밭'을 뜻한다.2. 상세
|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fff,#1c1d1f>명아주 |
| 음 | 래 | |
| 중국어 | 표준어 | lái |
| 광동어 | loi4 | |
| 객가어 | lòi | |
| 민북어 | lǎi | |
| 민동어 | lài | |
| 민남어 | lâi | |
| 오어 | le (T3) | |
| 일본어 | 음독 | ライ |
| 훈독 | あかざ, あれち | |
| 베트남어 | lai | |
유니코드에는 U+840A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TDOO(廿木人人)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艸(풀 초)와 소리를 나타내는 來(올 래)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HSK 미출제한자이다. 현대중국어에서는 원래 뜻보다는 외래어 음차로 쓰이는 경우가 90%를 넘고, 나머지는 거의 산둥성의 지명들에만 사용된다. 라인강, 라이카, 라이프치히, 라이프니츠, 라이트 형제, 레소토, 레스터,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로레알, 롤스로이스, 브루나이, 슬라임, 애들레이드, 크라이슬러, 키미 라이코넨, 토머스 스탬포드 래플스 등의 음차에 쓰인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 동래(東萊) - 부산광역시의 (역사) 지명
- 라이쩌우성(省萊州) - 베트남의 행정구역
- 봉래산(蓬萊山)
- 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蓬萊洞)1·2가
- 부산광역시 영도구 봉래동(蓬萊洞)1·2가
- 경상남도 진주시 봉래동()
- 산동성 연대시 펑라이구(蓬莱区/蓬萊區; 봉래구)
- 복건성 천주시 안시(安溪; 안계)현 펑라이전(蓬萊鎭; 봉래진)
- 해남성 원창(文昌; 문창)현 펑라이전(蓬萊鎭; 봉래진)
- 사천성 수녕시 다잉(大英; 대영)현 펑라이전(蓬萊鎭; 봉래진)
- 펑라이역(蓬萊站; 봉래참, 봉랠역)
- 소래포구(蘇萊浦口) - '蘇萊'(소래)는 음차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