尙 오히려 상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小, 5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8획 | ||||
중학교 | |||||||
尚 | |||||||
일본어 음독 | ショウ | ||||||
일본어 훈독 | くわ-える, たっと-ぶ, とうと-ぶ, なお | ||||||
尚 | |||||||
표준 중국어 | shà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尙은 '오히려 상'이라는 한자로, '오히려' 또는 '숭상(崇尙)하다'를 뜻한다. 그래서 '숭상할 상'이라고도 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오히려 |
음 | 상 | |
중국어 | 표준어 | shàng |
광동어 | soeng6 | |
객가어 | song | |
민동어 | siông | |
민남어 | siōng[文] / siūⁿ, sióng[白] | |
오어 | zaan (T3) | |
일본어 | 음독 | ショウ |
훈독 | くわ-える, たっと-ぶ, とうと-ぶ, なお | |
베트남어 | chuộng, thượng |
2.1. 모양 및 기원
훈을 나타내는 八(여덟 팔)과 음을 나타내는 向(향할 향)이 합쳐진 형성자이다.사실 尙을 표준자형으로 삼는 나라는 한국 밖에 없으며, 다른 나라에선 尚의 이체자로 취급된다.[3] 강희자전에서 표준으로 삼는 자형은 尙 쪽. 속자가 본자를 밀어내고 자리잡았다는 점에서 어찌보면 強(강할 강)과 상황이 비슷하다.[4] 그러나 强은 강희자전에서는 強의 속자로 취급하며, 한국 외에 중국에서도 자주 사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5] 그리고 한자검정시험에서도 달리 이 점에 대해 의식하고 있지도 않는 상황이라는 점도 다르다.[6]
참고로 尚은 구성자로 자주 사용되는데, 마치 龸 + 口로 되어 있는 머리형 부수와 같은 모양으로 자주 출현한다. 이러한 구성자를 갖고 있는 한자들은 음이 대부분 '당' 또는 '상'이다. 當, 黨, 堂, 常, 賞 ,嘗 등등. '장' 음은 掌 외에는 별로 없다.
3. 용례
3.1. 단어
3.2. 인명
- 강상인(姜尙仁)
- 공상정(孔尙貞)
- 곽상도(郭尙道)
- 김상준(金尙駿): 농구선수
- 김상헌(金尙憲): 조선의 인물
- 도안트엉(段尙)
- 민상기(閔尙基)
- 바토리 쇼고(馬鳥 尚悟)
- 박상충(朴尙衷)
- 보덕화상(普德和尙)
- 사상훈(史尙勛)
- 상애(尙哀)
- 염상섭(廉尙燮)
- 이상민(李尙玟): 1942년생
- 이상민(李尙旻): 미래소년의 멤버 카엘의 멤버
- 이상훈(李尙勳): 좌완투수
- 임상옥(林尙沃)
- 조상우(曺尙佑)
- 쿄다 히사코(京田 尚子)
- 쿠구리 나오야스(潜 尚保)
- 차상현(車尙昡)
- 페이튼 나오미 (ペイトン 尚未)
3.3. 지명
3.4. 창작물
4. 유의자
- 猶(오히려 유)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向(향할 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