擧 들 거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手, 14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8획 | ||||
중학교 | |||||||
挙 | |||||||
일본어 음독 | キョ | ||||||
일본어 훈독 | あ-げる, あ-がる, こぞ-って, こぞ-る | ||||||
举 | |||||||
표준 중국어 | jǔ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들 거(擧). '들다', '일으키다', '행하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들다 |
음 | 거 | |
중국어 | 표준어 | jǔ |
광동어 | geoi2 | |
객가어 | kí | |
민북어 | gṳ̌ | |
민동어 | gṳ̄ | |
민남어 | kú[1], kí[2] | |
오어 | ky (T2) | |
일본어 | 음독 | キョ |
훈독 | あ-げる, あ-がる, こぞ-って, こぞ-る | |
베트남어 | cử |
유니코드에는 U+64E7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竹金手(HCQ) 또는 難竹金手(XHCQ)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手(손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與(줄 여)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이 글자의 이체자로는 舉(U+8209, 臼부 10획), 𦦙(U+26999, 臼부 11획)의 형태가 있다. 아래쪽의 手 자가 더 뭉개져 ‡, 丰의 형태가 된 것을 볼 수 있다. 전자의 경우는 중국 대륙의 간체자 자형 举의 아래 부분과 동일하다. 비교적 강희자전에 가까운 자형을 추구하는 한국에서는 擧의 형태를 정자로 보나, 대만·홍콩·마카오의 정체자에서는 舉의 형태를 표준자형으로 삼고 있다. 중국의 통용규범한자표에서도 舉를 번체자로, 擧는 이체자로 수록했다. 한편 일본의 구자체 역시 한국과 함께 擧의 형태를 표준으로 삼는다.
3. 용례
3.1. 단어
- 거개(擧皆)
- 거국(擧國)
- 거당(擧黨)
- 거동(擧動)
- 거론(擧論)
- 거범(擧帆)
- 거사(擧事)
- 거수(擧手)
- 거행(擧行)
- 거화(擧火)
- 검거(檢擧)
- 과거(科擧)
- 대거(大擧)
- 선거(選擧)
- 열거(列擧)
- 의거(義擧)
- 천거(薦擧)
- 쾌거(快擧)
- 평거(平擧)
3.2. 고사성어/숙어
- 거안제미(擧案齊眉)
- 거일반삼(擧一反三)
- 거행불민(擧行不敏)
- 경거망동(輕擧妄動)
- 일거수일투족(一擧手一投足)
- 일거양득(一擧兩得)
- 일거일동(一擧一動)
- 자하거행(自下擧行)
- 행동거지(行動擧止) - 의외로 한자어이다.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 接近 (アプローチ)
- 恋と選挙とチョコレート(사랑과 선거와 초콜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