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03:52

TNR/국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TNR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길고양이
, 고양이 급식소
,
,
,
,

1. 민간 TNR 제안서

한국 TNR의 대부 김재영 수의사가 2005년 농림부와 서울시에 제출한 정책 제안서이다. 2007년 서울시가 정책을 TNR로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TNR 정책 제안서#

2. 서울시 조사 자료

3.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식품부는 서울 등 7대 광역시 길고양이 추정치가 2022년 67만7천50~68만9천731마리로 2020년과 비교해 약 13만여마리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 점과, 중성화된 고양이가 자주 관찰되는 지역일수록 새끼 고양이가 적은 점을 근거로 TNR 사업이 효과가 있다고 보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길고양이 중성화 사업으로 2022년 전국에서 중성화된 길고양이는 83,558마리이다. 2022년까지 5년간 연평균 길고양이 7만1천여마리가 중성화됐다. 2023년에는 38억2천만원 예산을 투입해 95,500마리를 중성화할 예정이다.
#

4. 정치권

5. 국내 TNR 추이

5.1. TNR 두수

5.1.1. 서울특별시

연도(년)2008200920102011201220132014201520162017
건수(마리)4,085[13]4,9295,8964,7195,8826,0036,3517,2028,3668,985
▲ 서울시 길고양이 수술 현황표[14]
5.1.1.1. 강남구
5.1.1.2. 강동구
5.1.1.3. 강북구
5.1.1.4. 강서구
5.1.1.5. 관악구
5.1.1.6. 광진구
5.1.1.7. 구로구
5.1.1.8. 금천구
5.1.1.9. 노원구
5.1.1.10. 도봉구
5.1.1.11. 동대문구
5.1.1.12. 동작구
5.1.1.13. 마포구
5.1.1.14. 서대문구
5.1.1.15. 서초구
5.1.1.16. 성동구
5.1.1.17. 성북구
5.1.1.18. 송파구
5.1.1.19. 양천구
5.1.1.20. 영등포구
5.1.1.21. 용산구
5.1.1.22. 은평구
5.1.1.23. 종로구
5.1.1.24. 중구
5.1.1.25. 중랑구

5.2. 인천광역시

5.3. 경기도

5.4. 과천시

연도(년)2002200320042005
TNR 개체 수(마리)40411478290
▲ 2002~2005년 과천시 TNR 실적.[32]

5.5. 성남시

5.6. 수원시

5.7. 안양시

5.8. 용인시

5.9. 전라남도

5.9.1. 여수시

5.10. 제주도

6. 기업 지지

7. 캣맘 지원 활동

7.1. 서울시

현 서울시는 캣맘들이 있어야 TNR이 수월하며, 그런 의미에서 지금 캣맘 단체들의 수는 너무 적다는 입장이다. 이에 더 많은 지역 캣맘들이 지역에서 단체를 결성하는 것을 권장하며 신규 캣맘단체의 결성을 제도적 차원에서 지원하고 있다.

7.1.1. 강동구



[1] Alley Cat Allies Resource Center, Neighborhood Cats, Feral Cat Network Resource center, A Report on TNR program(1995년 Karen Jhonson), Indy Feral, Paws Chicago, Cats Anonymous,Inc, Kittico Cat Rescue, Defenders Magazine, Best Friends Magazine, Feral Cat Activist. 모두 이름에 길고양이가 들어가는 캣맘 단체들.[2] 머니투데이 2008년 2월 27일 기사[3] 머니투데이 2011년 10월 17일 기사[4] 서울특별시 정보소통광장 2015년 11월 20일 공개자료[5] 인천일보 2017년 9월 20일 기사[6] 뉴시스 2018년 1월 15일 기사[7] 머니투데이 2008년 1월 18일 기사[8] 길고양이 평균 수명이 5년 남짓이라는 통계를 감안하면 더욱 낮아질 것이다.[9] 머니투데이 2017년 4월 15일 기사[10] 메디파나뉴스 2017년 4월 26일 기사[11] 연합뉴스 2017년 10월 22일 기사[12] 중부일보 2017년 6월 22일 기사[13] 2004년, 서울시 집계에 따르면 각 구청이 포획한 고양이의 수는 2872마리이다. 또, 2005년에는 2823마리이다.[43][14] 한국일보 2016년 5월 31일 기사, 뉴시스 2018년 1월 15일 기사[15] 뉴스1 2014년 5월 10일 기사[16] 세계일보 2014년 10월 30일 기사[17] 머니투데이 2016년 2월 25일 기사[18] 천지일보 2016년 6월 22일 기사, 뉴스1 2016년 6월 22일 기사[19] 한겨례신문 2011년 12월 6일 기사[20] 뉴시스 2008년 4월 25일 기사[21] 아시아경제 2017년 3월 8일 기사[22] 연합뉴스 2013년 7월 25일 기사[23] 데일리벳 2017년 11월 1일 기사[24] 이데일리 2016년 7월 31일 기사[25] 아시아경제 2015년 4월 17일 기사[26] 데일리벳 2016년 3월 8일 기사[27] 오마이뉴스 2006년 5월 30일 기사[28] 머니투데이 2017년 1월 5일 기사[29] 한겨례신문 2011년 12월 6일 기사[30] 인천일보 2016년 5월 20일 기사[31] 기호일보 2015년 9월 4일 기사[32] 한겨례신문 2006년 5월 17일 기사[33] 중부일보 2017년 6월 22일 기사[34] 인천일보 2015년 11월 26일 기사[35] 중부일보 2017년 6월 22일 기사[36] 기호일보 2015년 9월 4일[37] 이데일리 2014년 12월 3일 기사[38] 머니투데이 2015년 5월 25일 기사[39] 동아일보 2015년 10월 21일 기사[40] 뉴스1 2015년 11월 19일 기사[41] 데일리벳 2016년 9월 19일 기사[42] 데일리벳 2016년 12월 30일 기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5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5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43] 오마이뉴스 2006년 5월 30일 기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