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3161> | StarCraft ProLeague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KTF EVER Cup 온게임넷 프로리그 | neowiz Pmang Cup 온게임넷 프로리그 | ||
2004 1Round | 2Round | 3Round | 그랜드 파이널 | 2005 전기리그 | 후기리그 | 그랜드 파이널 | 2006 전기리그 | 후기리그 | 통합 챔피언전 | 2007 전기리그 | 후기리그 | 통합 챔피언전 | |
2008 | 08-09 | 09-10 | 10-11 | |
프로리그 시즌 1 | 프로리그 시즌 2 | |||
12-13 | 2014 1라운드 | 2라운드 | 3라운드 | 4라운드 | 포스트시즌 | 2015 1라운드 | 2라운드 | 3라운드 | 4라운드 | 포스트시즌 | 2016 1라운드 | 2라운드 | 3라운드 | 포스트시즌 |
1. 개요
- 기간: 2006년 9월 2일 ~ 2007년 1월 7일
- 우승: MBC GAME HERO, 준우승: CJ 엔투스
- 결승 장소: 인천삼산월드체육관[1] (초대가수: 브라운아이드걸스)
2. 특이사항
- 양 방송사 경기장 이전(온게임넷: 삼성동 메가 스튜디오 → 용산 e-Sports 스타디움, MBC GAME: 세중게임월드 → COEX 히어로 센터)
- 브루드 워 기준 외국인 선수가 마지막으로 출전한 프로리그 시즌 (SK텔레콤 T1의 뤄셴[2])[3]
- 프로리그에서 두 시즌 연속 공식맵에 섬맵 채택(알카노이드)
- MBC GAME HERO가 프로리그 최초로 준플레이오프부터 시작해서 우승을 차지함
- 우승팀 상금 6,000만원, 준우승팀 상금 3,000만원
- neowiz Pmang Cup 온게임넷 프로리그 이후로 여덟 시즌 만에 프로리그 결승전이 다시 일요일에 열림[4]
- SKY 프로리그 2004 2Round 이후 5시즌만에 양대 명가 T1과 KTF가 동시에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MBC GAME SKY 프로리그 2006 후기리그 티저 오프닝 링크
온게임넷 SKY 프로리그 2006 후기리그 오프닝 링크
MBC GAME SKY 프로리그 2006 후기리그 오프닝 링크
3. 사용 맵
- 전기리그와 마찬가지로 개인전 맵은 당시 양 방송사 개인리그의 공식맵을 사용했다. 기준 리그는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2과 프링글스 MSL 시즌2의 공식맵을 채택했다.
- 개인전 : 블리츠(Blitz)[M], 알카노이드(Arkanoid),[O] 아카디아 2[공통], 롱기누스(Longinus)[M], 신 백두대간[공통], 타우 크로스(Tau Cross)[O]
- 팀플레이 : 망월, 뱀파이어(Vampire)
4. 순위
순위 | 팀 | 승 | 패 | 득실 | 벌점 |
1 | CJ 엔투스 | 7 | 3 | +9(24-15) | |
2 | 르까프 오즈 | 7 | 3 | +8(24-16) | 1 |
3 | 한빛 스타즈 | 7 | 3 | +3(23-20) | |
4 | MBC GAME HERO | 6 | 4 | -2(21-23) | |
5 | 삼성전자 칸 | 5 | 5 | +3(22-19) | |
6 | STX SouL | 5 | 5 | -2(21-23) | 1 |
7 | SK텔레콤 T1 | 4 | 6 | +2(23-21) | |
8 | 온게임넷 스파키즈 | 4 | 6 | -2(22-24) | 1 |
9 | eSTRO | 4 | 6 | -5(19-24) | |
10 | KTF 매직엔스 | 3 | 7 | -5(17-22) | |
11 | 팬택 EX | 3 | 7 | -9(16-25) |
5. 상세
준플레이오프(2006.12.16) | ||||
박성준 Z | 패 | 롱기누스 | 승 | 윤용태 P |
염보성 T | 승 | 신 백두대간 | 패 | 채지훈 Z |
김동현 Z 김택용 P | 패 | 망월 | 승 | 김인기 P 노준동 Z |
이재호 T | 패 | 타우 크로스 | 승 | 박대만 P |
박지호 P | 승 | 블리츠 | 패 | 김준영 Z |
정영철 Z 강구열 T | 승 | 뱀파이어 | 패 | 김선기 T 신정민 Z |
이재호 T | 승 | 아카디아 2 | 패 | 윤용태 P |
MBC GAME HERO | 4 | 결과 | 3 | 한빛 스타즈 |
플레이오프(2006.12.23) | ||||
김택용 P | 패 | 롱기누스 | 승 | 박지수 T |
염보성 T | 승 | 블리츠 | 패 | 손찬웅 P |
정영철 Z 강구열 T | 승 | 뱀파이어 | 패 | 이학주 T |
박지호 P | 승 | 타우 크로스 | 패 | 오영종 P |
이재호 T | 패 | 아카디아 2 | 승 | 이제동 Z |
박성준 Z 김재훈 P | 패 | 망월 | 승 | 이유석 P 김성곤 Z |
김택용 P | 승 | 신 백두대간 | 패 | 오영종 P |
MBC GAME HERO | 4 | 결과 | 3 | 르까프 오즈 |
결승(2007.1.7) | ||||
서경종 Z | 패 | 알카노이드 | 승 | |
박지호 P | 승 | 타우 크로스 | 패 | 박영민1 P |
김동현 Z 이재호 T | 승 | 망월 | 패 | 김환중 P 이주영 Z |
김택용 P | 패 | 롱기누스 | 승 | 변형태 T |
박성준 Z | 승 | 아카디아 2 | 패 | 서지훈 T |
정영철 Z 김재훈 P | 승 | 뱀파이어 | 패 | 김민구 Z 주현준 T |
ACE | 블리츠[11] | ACE | ||
MBC GAME HERO | 4 | 결과 | 2 | CJ 엔투스 |
새로운 장소에서 개최된 첫 번째 시즌이자 본격 프로리그계의 대격변이 예고되었던 시즌. 전통적으로 1, 2위를 독식하던 KTF와 T1은 극심한 슬럼프에 빠졌고, 하위권을 달리던 르까프와 한빛이 포스트시즌에 안착했다. 또한 2003년 피망컵 우승, 2004년 1라운드 3위, 2라운드 우승, 3라운드 새턴 리그 3위, 그랜드 파이널, MBC MOVIES 팀리그 준우승, 2005년 전기리그 6위, 2005년 후기리그와 2006년 전기리그 5위를 차지하면서 과거에는 최상위권, 그 후에도 여전히 중상위권 위치를 차지하던 팬택은 모기업이 같은 해 12월에 워크아웃까지 발표할 정도로 상황이 매우 좋지 않아서 아예 11개 팀 중 11위라는 꼴찌 성적을 받는 굴욕을 겪고 만다. 이전까지 동네북이던 약체팀들도 전체적으론 강팀들이 쉽게 무시하기 힘든 모습을 보여주며 프로리그의 구도가 예전과는 달라질 것임을 암시했다. 작년까지 약체이던 MBC GAME HERO는 여전히 강력한 박성준 - 박지호[12] - 염보성의 '박지성 라인'과 새로운 개인전 라인인 김택용 - 서경종 - 이재호의 '김경호 라인'을 위시하여 전기리그의 약진에 이어 이번에는 시즌 우승에 이어 통합 챔피언전에서의 우승까지 이뤄내며 2006년을 자신들의 해로 만들었다. 또한 준우승팀인 CJ도 최전성기를 달리고 있던 마서스와 변형태를 비롯하여 엄청난 기량의 발전을 보여준 박영민, 아직까지는 제대로 기량을 유지하고 있던 서지훈 등의 에이스 카드들의 활약으로 정규시즌 1위를 차지하면서 오랜만에 프로리그 결승 진출에 성공하며 강팀의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드래프트 세대 선수들의 기량이 상승하기 시작한 시기이기도 하다. 전기리그부터 신인 선수들에게 투자해오던 기존의 약팀들은 후기리그부터 이들이 자리를 잡으면서 그 결실을 맺고 신흥 강팀으로 도약하게 된다. 어쩌면 2달 후에 있었던 3.3 혁명과 2007년에 세대교체의 바람이 불기 시작한 것도 이 때부터였다고 볼 수 있다.
자세한 대진은 SKY 프로리그 2006 후기리그/대진표 참고.
[1] V-리그 여자부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의 홈 경기장으로 유명하며, 대회 당시 KBL 인천 전자랜드 블랙슬래머[13]의 홈 경기장이다.[2] KeSPA에는 루오시엔으로 등록되었다.[3] 개막일인 2006년 9월 2일에 열린 팬택 EX 전에서 손영훈과의 경기에 출전했으나 패했다. 이후 외국인 선수의 프로리그의 참가는 없었다가 스타크래프트 2로 완전히 전환한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12-13에서 연합팀인 EG-TL이 참가가 결정되면서 다시 이루어지게 된다.[4] SKY 프로리그 2004 1Round부터 SKY 프로리그 2006 전기리그까지는 결승일이 그랜드 파이널까지 포함하여 항상 토요일이었다.[M] 프링글스 MSL 시즌2 공식맵[O]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2 공식 맵[공통]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2, 프링글스 MSL 시즌2 공통 사용[M] [공통] [O] [11] 후에 염보성이 박지호와의 방송에서 밝힌 바로는 양 팀의 에이스로 염보성과 마재윤이 예정되어 있었다고 한다. 결승이 끝난 이후 재미삼아 블리츠에서 해봤는데 마재윤이 이겼다고 한다.[12] 특히 박지호는 정규시즌 삼성전에서 이성은과의 4경기에서 기적적인 대역전승을 차지한 명경기를 만들어내기까지 하였다. 또한 이 경기는 2006년 초대 스갤 어워드 명경기로 선정되기까지 하였다. 온게임넷 버전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