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 (스킨) | 맵 | 듀얼 | 팁 | 업데이트 목록 |
1. 개요
RIVALS에서 플레이어에게 유용한 팁들을 서술하는 문서.2. 무기 조합
무기의 조합에 따라 전략과 컨트롤이 달라진다. 여타 게임처럼 주관적인 사실이 많기 때문에 아래의 조합을 반드시 따를 필요는 없다.2.1. 속공형 무기
속공형 무기 조합 | |||
주무기 | 보조무기 | 근접무기 | 유틸리티 |
돌격소총 페인트볼 총 | 리볼버 쇼티 새총 우지 엑소건 | 카타나 낫 전기톱 전투 도끼 | 화염병 가방 폭탄 구급상자 아공간 지뢰 |
- 리볼버: 가장 이상적인 파트너로, 강한 한 방의 피해를 통해 상대를 견제할 수 있으며 체력이 부족할 경우 완전히 끝장낼 수 있다.
- 쇼티: 리볼버와 비슷하게 상대의 접근을 막거나 쓰러트릴 수 있다.
- 새총: 탄환이 벽에 튕겨지기 때문에 주로 궁지에 몰린 상대를 쓰러트릴 때 사용된다.
- 우지: 빠른 공격 속도를 가졌지만 단일 피해량이 낮으므로 리볼버, 쇼티와 달리 상대를 빠르게 쓰러트리기 어렵다는 점을 주의하며 사용해야 한다.
- 엑소건: 범위 피해를 줄 수 있고, 재장전 속도가 빨라 무기를 교체할 시간을 손쉽게 마련할 수 있다.
근접무기와 유틸리티의 경우, 위의 무기들과 마찰이 거의 없기 때문에 자유롭게 조합될 수 있다. 상단에는 이들과 자주 사용되는 근접무기와 유틸리티들이 기술되어 있다.
해당 조합은 대부분의 거리에서 비슷한 성능을 보여줄 수 있으며 거의 모든 맵에서 사용된다.
2.2. 폭발형 무기
폭발형 무기 조합 | |||
주무기 | 보조무기 | 근접무기 | 유틸리티 |
RPG 유탄발사기 | 투척용 쌍단검 리볼버 플레어건 | 주먹 전투 도끼 | 가방 폭탄 화염병 |
- 투척용 쌍단검, 주먹, 가방 폭탄: 기동성을 높여줄 수 있으며, 공중 이동이 주력인 RPG와 주로 조합된다.
- 리볼버, 전투 도끼: 피해량을 보충할 수 있으며, 주로 RPG에 비해 피해량이 낮은 유탄발사기와 조합된다.
- 플레어건, 화염병: 폭발형 무기들과 비슷하게 좁은 맵에서 유리하며, 보조적으로 피해를 누적시킬 수 있다.
해당 조합은 주로 아레나, 백룸과 같이 면적이 좁고 지형이 복잡한 맵에서 주로 사용된다.
2.3. 산탄형 무기
산탄형 무기 조합 | |||
주무기 | 보조무기 | 근접무기 | 유틸리티 |
산탄총 | 쇼티 리볼버 | 전투 도끼 카타나 낫 | 얼음 광선총 화염병 구급상자 |
- 리볼버: 상대에게 접근하기 어려울 경우, 쇼티 대신 사용해 상대를 견제하는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 근접무기: 대부분의 무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주로 피해량 및 후딜레이 캔슬에 도움을 주는 전투 도끼가 높은 사용률을 보인다.
- 얼음 광선총: 상대를 빙결시켜 산탄총, 쇼티의 안정성을 보완한다. 또한 상대를 빙결시킨 후, 그대로 쇼티의 전탄을 치명타로 적중시키면 상대를 즉사시킬 수 있다.
반드시 욕먹을 각오를 하고 사용해야 한다. - 화염병: 보조적으로 피해를 누적시킬 수 있다.
- 구급상자: 체력을 회복시켜 산탄총, 쇼티의 안정성을 직접적으로 보완한다.
산탄총은 조준 시 펠릿들의 탄퍼짐이 범위가 소폭 줄어드는 기능이 있기에 조준하면서 사격 후 빠르게 조준을 해제할 경우 탄퍼짐의 범위를 좁히는 동시에 조준 시 따라붙는 이동 속도 감소 페널티를 최소화할 수 있어 타 조준 시 탄퍼짐 범위가 줄어드는 무기들보다 조준 사격 효율이 좋다. 그러나 조준 시에는 딜레이가 있기 때문에 명중률에 지장을 줄 수도 있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해당 조합은 주로 부두, 건설 현장과 같이 근접전이 성립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면적을 가진 맵에서 주로 사용된다.
2.4. 저격형 무기
저격형 무기 조합 | |||
주무기 | 보조무기 | 근접무기 | 유틸리티 |
저격소총 석궁 | 리볼버 쇼티 새총 우지 엑소건 | 카타나 낫 | 구급상자 아공간 지뢰 섬광탄 |
- 구급상자: 조준으로 인해 떨어지는 두 무기의 안정성을 체력을 회복시킴으로써 직접적으로 보완한다.
- 섬광탄: 저격 위치가 대부분 높은 지점이라는 것을 이용해 상대를 손쉽게 실명시켜 행동을 막을 수 있다.
- 아공간 지뢰: 일부 좁은 맵에서는 에어본을 이용해 공중으로 올라가 빠르게 상대를 사살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저격소총은 피해량이 높지만 미조준 시 탄퍼짐이 극도로 뒤틀리기 때문에 보조 무기나 퀵 스코프(패줌)를 사용해야 하며, 석궁은 탄퍼짐이 없지만 피해량이 낮고 장탄수가 적어 재장전 및 재정비를 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해당 조합은 주로 교차로, 스플래시와 같이 중~장거리 교전이 가능한 넓은 맵에서 사용된다.
2.5. 화염방사기
화염방사기 조합 | |||
주무기 | 보조무기 | 근접무기 | 유틸리티 |
화염방사기 | 리볼버 엑소건 새총 플레어건 | 낫 | 구급상자 화염병 |
- 엑소건: 준수한 피해량과 빠른 발사 속도로 상대를 끊임없이 견제해 근접전을 강제할 수 있다.
- 리볼버: 엑소건과 비슷하나 이쪽은 발사 속도가 느린 대신 피해량이 더 높다.
- 새총: 거리를 벌리는 상대를 압박할 수 있고, 체력이 부족한 상대를 끝장낼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 플레어건: 맵이 좁을 경우 이쪽이 유용하게 사용되며, 근접전이 자주 일어나 화염방사기에게도 유리하다.
근접무기는 웬만한 상황에서 기동성을 높이는 낫을 사용하며, 유틸리티는 안정성을 보완하는 구급상자나 보조적으로 피해를 누적시키는 화염병을 주로 사용한다.
해당 조합은 기동성을 통해 상대에게 빠르게 접근할 수 있어 맵의 면적이 지나치게 넓지 않다면 대부분 사용될 수 있다.
2.6. 건블레이드
건블레이드 조합 | |||
주무기 | 보조무기 | 근접무기 | 유틸리티 |
건블레이드 | 플레어건 새총 | 전투 도끼 진압 방패 | 가방 폭탄 |
- 플레어건, 전투 도끼, 가방 폭탄: 높은 피해량을 한 번에 누적시키기 때문에 건블레이드와 조합하면 공격 몇 번만에 상대를 사살할 수 있다.
- 진압 방패: 근접 무기와 유사하게 운용되는 건블레이드에게 방어를 제공하며, 진압 방패의 단점인 낮은 근접 공격 성능이 사실상 상쇄된다.
- 새총: 건블레이드의 느린 발사속도를 보완한다.
해당 조합은 주로 상대에게 접근하기 쉬운 좁은 맵에서 사용된다.
2.7. 활
활 조합 | |||
주무기 | 보조무기 | 근접무기 | 유틸리티 |
활 | 리볼버 새총 엑소건 투척용 쌍단검 | 낫 전투 도끼 | 가방 폭탄 화염병 |
- 리볼버, 전투 도끼, 가방 폭탄: 타 무기에 비해 높은 피해량을 가져 더 빠르게 상대를 사살할 수 있다.
- 새총, 엑소건, 화염병: 피해 누적 속도와 피해량이 모두 준수해 상대를 끊임없이 압박할 수 있다.
- 투척용 쌍단검, 낫: 피해량은 그리 높진 않지만 활의 기동성을 보조하며, 낫은 후딜레이 캔슬에 도움을 준다.
해당 조합은 활의 메커니즘 설계 자체가 우월해 모든 거리에서 비슷한 성능을 보여 사실상 모든 맵에서 사용된다.
2.8. 미니건
미니건 조합 | |||
주무기 | 보조무기 | 근접무기 | 유틸리티 |
미니건 | 플레어건 엑소건 | 카타나 진압 방패 | 구급상자 화염병 |
- 플레어건: 특정 구역을 장악함으로써 상대의 이동 경로를 제한해 반강제적으로 서로 대치할 수 있다. 또한, 이동 속도를 +10% 제공해 빠르게 움직일 수 있다.
- 엑소건: 체력이 부족한 상대를 손쉽게 끝장낼 수 있다.
- 화염병: 보조적으로 피해를 누적시킬 수 있다.
미니건은 매우 느린 이동 속도로 인해 회피가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방어적인 성능을 지닌 카타나, 진압 방패, 구급상자를 사용한다.
속공형 무기처럼 거의 모든 맵에서 교전이 가능하나, 이동 속도가 느려서 저격소총, 나이프와 같은 강한 한 방의 공격을 가진 무기들을 상대할 때는 기피하는 것이 좋다.
2.9. 나이프
나이프 조합 | |||
주무기 | 보조무기 | 근접무기 | 유틸리티 |
저격소총 돌격소총 산탄총 | 쇼티 리볼버 | 나이프 | '''얼음 광선총 연막탄''' 섬광탄 구급상자 |
- 얼음 광선총: 상대를 빙결시켜 나이프의 안정성을 보완하며, 나이프로 빙결된 상대를 즉사시키기 위해서는 상대의 빙결 상태가 풀릴 타이밍을 예측해야 한다.
- 연막탄: 상대의 시야를 교란시킬 수 있으며, 자신이 심리전에 능할 경우 그대로 상대를 암살할 수 있다.
- 섬광탄: 상대를 실명시켜 행동을 막을 수 있다.
- 구급상자: 체력을 회복시켜 나이프의 안정성을 직접적으로 보완한다.
해당 조합은 주로 상대와의 대면이 자주 일어날 수 있도록 좁고 지나치게 복잡하지 않은 맵에서 사용된다.
2.9.1. 백 슬라이딩 + 찌르기
국내에서는 보통 '칼찌\' 라는 애칭으로 불린다.나이프의 즉사 판정은 자신이 적의 후면을 찌르는 것뿐만이 아니라, 자신의 후면이 적의 정면에 접촉할 때 찌르는 것도 즉사 판정으로 인정되기에 이를 이용한다면 한층 더 수월하게 상대를 사살할 수 있다.
백 슬라이딩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자신의 후면을 적의 정면에 접촉시키기만 하면 되기에 일반 슬라이딩 도중 시야를 180도 회전해도 문제없이 가능하다. 수평으로 슬라이딩하며 어깨 부분을 노리면 더 쉽게 조건을 충족할 수 있다.
2.10. 그 외 무기
- 에너지 소총은 튕겨질 때 치명타가 적용되는 에너지 빔의 특성으로 인해 벽이 많은 맵에서 주로 사용된다.
- 에너지 쌍권총은 무제한의 탄약을 보유한 동시에 피해량이 낮아 여러 조합에서 사용되지만, 얼마든지 다른 무기로 대체될 수 있다.
- 모종삽은 벽 생성을 통해 장애물 겸 엄폐물을 만들 수 있으며, 벽을 무너트려 멀리 이동하는 등의 변칙적인 활용이 가능해 다양한 조합에 들어갈 수 있다.
- 뿔피리는 모든 아군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어 대부분의 조합에 들어갈 수 있으며, 가속량이 높아 다인전이 아니더라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 점사소총과 스프레이는 점사형 무기라서 특정 조합에 고정적으로 들어가지는 않으며, 자신의 실력과 취향에 따라 채용의 유무가 달라진다.
- 권총은 밸런스 잡힌 능력치를 가졌지만, 특별한 이점이 없어 잘 사용되지 않는다.
- 수류탄은 공격형 유틸리티로서의 성능은 충분히 발휘하지만, 높은 컨트롤 난이도에 비해 얻을 수 있는 이득이 적어 채용률이 높지는 않다.
3. 기술 팁
3.1. 슬라이딩 + 점프
슬라이딩을 하면서 점프를 하는 것. 평범한 걷기보다 더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있어 대부분의 유저들이 사용한다.3.2. 빠른 근접무기 + 무기 스킬
근접무기를 기본 설정 기준 F키로 잠시 사용하는 동시에 그 무기의 스킬을 우클릭으로 사용하는 것.[1] 무기를 바꿀 필요 없이 간편하게 스킬을 사용할 수 있고, F키로 근접무기를 들면 휘두르는 상태이기 때문에 적에게 붙으면 피해도 줄 수 있다. 변형으로 F키를 홀드할 경우 공격과 동시에 근접무기로 교체한다.3.3. 빠른 유틸리티
유틸리티도 G키로 빠르게 사용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손쉽게 해당 유틸리티의 효과를 볼 수 있다.3.4. 재장전 캔슬
무기를 재장전할 때 화면 중앙의 탄환 형태의 막대가 시계 모양으로 변할 때 무기를 교체하면 재장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격의 공백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3.5. 피킹
벽 밖으로 슬라이딩 + 점프를 하면서 잠시 모습을 드러내 공격한 후 다시 벽 안으로 숨는 기술이다. 점사형 무기, 리볼버와 같이 강한 한 방의 공격을 가진 무기일수록 더 유용하며, 아레나, 백룸과 같은 좁고 벽이 많은 맵에서 주로 사용된다.3.6. 기동성 관련
일부 무기들은 특정 조합 및 장소에서 매우 강력한 기동성을 제공할 수 있다.- RPG / 수류탄 + 2단 점프를 제공하는 무기: 탄환이 폭발하는 타이밍에 슬라이딩 + 점프를 사용하면 더 먼 거리를 날아갈 수 있고, 날아가는 도중 2단 점프를 사용한다면 더 오래 공중에 부유할 수 있다.
- 아공간 지뢰 + 낫: 아공간 지뢰를 향해 돌진한 후 슬라이딩 + 점프를 사용하면 매우 먼 거리를 날아갈 수 있다.
- 전기톱 + 특정 지형물[2]: 질주를 종료하며 특정 지형물을 향해 슬라이딩 + 점프를 사용할 경우, 질주를 종료한 시간에 따라 높이 상승하거나 먼 거리를 날아갈 수 있다.
[1] 단, 전투 도끼와 나이프는 F키를 누르기만 해도 스킬인 회전 공격과 찌르기가 발동된다.[2] 주로 아레나의 경사면이나 교차로의 트램펄린에서 사용되지만, 부두나 기차역의 건물 지붕이나 건설 현장의 나무 판자, 오닉스 대부분의 지형과 같이 기울어진 장소라면 어디에서나 사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