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4 04:13:24

RER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스위스 로잔 및 제네바의 광역철도 RER}}}에 대한 내용은 [[S반]]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S반#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S반#|]]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스위스 로잔 및 제네바의 광역철도 RER: }}}[[S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S반#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S반#|]]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SNCF 로고.svg 프랑스 열차 등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고속열차
Train Grande Vitesse
파일:TGV inOui 로고.svg 파일:OUIGO 로고.svg 파일:TGV 리리아 로고.svg 파일:유로스타 로고 2023.svg
🚅 특급열차
파일:앵테르시테 로고.svg
🚈 급행열차
파일:TER 로고.svg
🚃 광역철도
파일:Paris_transit_icons_-_RER.svg.png 파일:트랑지리엥 로고.svg
}}} ||

파일:파리 문장.svg 파리대중교통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arnet T+ / Passe NaviGo
궤도삭도 <colbgcolor=#fff,#191919> 파일:RATP그룹 아이콘.svg 메트로 파일:RATP그룹 아이콘.svg 몽마르트 푸니쿨라 <colbgcolor=#fff,#191919> 파일:RATP그룹 아이콘.svg 파일:SNCF 로고.svg 트램
파일:SNCF 로고.svg RER 파일:SNCF 로고.svg 트랑지리엥
파일:SNCF 로고.svg 주요역 동역북역리옹역오스테를리츠베르시몽파르나스생 라자르
도로 교통 파일:파리버스.png 버스 ・ 녹틸리앙 버스 터미널 베르시 버스 터미널
공항 샤를 드골오를리르부르제보베
관련 기업 파일:RATP그룹 아이콘.svg RATP파일:SNCF 로고.svg SNCF ・ Optile
}}}}}}}}}}}} ||
파일:rer+gare.jpg
파일:rerng.jpg 사진의 RER NG 차량은 2023년부터 도입되고 있다.

1. 개요2. 노선3. 이용4. 속도5. 차량

1. 개요

프랑스어 : Réseau Express Régional[1]
영어 : Regional Express Network

파리와 주변 일드프랑스 지역의 광역급행철도. 대한민국 수도권 광역철도에 거의 가깝다. 1960년대파리 지하철현기증 난단 말이에요 빨리 차량 신조해 주세요를 시전하고 있을 때, 도로교통으로는 도저히 파리권의 통근수요를 처리할 수 없을 지경이 되자 도심에서는 대심도 터널로, 교외에서는 기존의 간선철도망으로 운행하도록 계획하여 건설한 광역철도망이다.[2] 그리하여 1977년A선, B선이 개통됐고, 이후 1979년C선, 1987년D선, 1999년E선을 개통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RER 건설계획이 발표되면서 파리권 교외지역의 노선을 수용하던 파리 바스티유역, 오르세역이 잉여 내지는 쩔이 신세가 되어 폐역 조치를 당하게 된다. 후에 바스티유역은 철거 뒤 '오페라 바스티유' 극장[3]이 들어섰고, 오르세역은 지하화해 RER 오르세 미술관 역으로 만들고 구역사는 내부를 리모델링해 오르세 미술관으로 바꾸었다.

파리 지하철, RER, 파리 트램, 트랑지리엥의 전체 배선도는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노선

파일:attachment/RER/rer2.jpg

노선도
A선과 B선은 프랑스국철RATP에서 공동으로 운영하며, 나머지는 프랑스국철이 독점 운영하고 있다.
노선 기종점 개업년도 길이(㎞) 역수
파일:RER A선 아이콘.svg RER A선 A1 Saint-Germain-en-Laye
A3 Cergy – Le Haut
A5 Poissy
A2 Boissy-Saint-Léger
A4 Marne-la-Vallée – Chessy
1977년 108.5 46
파일:RER B선 아이콘.svg RER B선 B3 샤를 드 골 공항 제2터미널
B5 Mitry – Claye
B2 Robinson
B4 Saint-Rémy-lès-Chevreuse
1977년 80.0 47
파일:RER C선 아이콘.svg RER C선 C1 Pontoise
C3 Montigny – Beauchamp
C5 베르사유-샤토
C7 Saint-Quentin-en-Yvelines
C2 Massy – Palaiseau
C4 Dourdan-la-Forêt
C6 Saint-Martin-d'Étampes
C8 Versailles-Chantiers
C10 Juvisy
C12 Pont de Rungis – Aéroport d'Orly
1979년 185.6 84
파일:RER D선 아이콘.svg RER D선 D1 Orry-la-Ville-Coye
D3 Creil
D5 Villiers-le-Bel – Gonesse – Arnouville
D7 Goussainville
D2 Melun
D4 Malesherbes
D6 Corbeil-Essonnes
D8 샤틀레-레 알
1987년 190.0 59
파일:RER E선 아이콘.svg RER E선 E1 오스만 생 라자르 E2 Chelles – Gournay
E4 Tournan
1999년 52.3 21

3. 이용

2025년 1월 이루어진 대대적인 개편으로 Zone별 요금 부과 방식이 완전히 폐지되고, 2.5유로 1회권 으로 공항 접근 교통을 제외한 메트로, RER, Express 트램 및 트랑지리엥 전구간 이용이 가능하다.

파리 샤를 드 골 국제공항파리 오를리 공항에 갈 때 RER을 타면 된다-라고 알려져 있는데 샤를 드 골은 맞지만 오를리낚시. RER B선 Antony역에서 Orlyval 이라는 열차로 갈아타야 오를리 공항에 갈 수 있는데 가격이 꽤 비싼 편이다. 2024년 파리 지하철 14호선이 오를리 공항까지 연장되면서 이제 RER과 Orlyval은 고려조차 할 필요가 없어졌다. 이 외에는 베르사유에 갈 때 RER을 탄다. 베르사유는 RER말고도 몽파르나스역에서 출발하는 광역철도인 트랑지리엥을 타면 갈 수 있다. 트라지리엥은 RER과 달리 파리 도심을 지나가지는 않지만 일드프랑스 내에서 RER과 비슷한 기능을 한다. 보통은 RER 종착역까지 멈추지 않고 가다가 종착역부터 모든 역에 정차하며 RER보다 더 멀리 운행한다.

4. 속도

태생이 급행 광역전철로 설계된만큼 상당히 빠르다. 표정 속도 49.5km/h에 최고 속도 80km/h를 자랑한다. 대한민국 신분당선의 표정 속도와 비슷한 수준이다.

5. 차량

RER A선 : MI 2N, MI 09
RER B선 : MI 79, MI 84, Z 8100
RER C선 : Z 5600, Z 8800, Z 20500, Z 20900
RER D선 : Z 5600, Z 20500, Z 57000, Z 58500
RER E선 : Z 22500, Z 50000, Z 58000
[1] '레조 엑스프레스 레지오날'이지만 프랑스어의 R 발음이 한국어의 ㅎ와 유사한 관계로 '헤조 엑스프헤스 헤지오날'로 들리기도 한다. 약자 RER은 '에흐 으 에흐'를 붙여서 '에흐에흐'에 가깝게 발음한다.[2] 런던의 광역급행철도인 크로스레일도 이런 방식을 따르게 되었고 그 크로스레일을 벤치마킹한 GTX도 기존선을 대폭 경유하게 되면서 이것과 비슷해졌다.[3] 정명훈이 지휘자로 있던 파리 바스티유 오페라가 상주악단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