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2 != null
, [[]][[]]
#!if top3 != null
, [[]][[]]
#!if top4 != null
, [[]][[]]
#!if top5 != null
, [[]][[]]
#!if top6 != null
, [[]][[]]
펀 링크, 인크레디메이크 링크, itch.io 링크
1. 개요
슈퍼뱅거 프로덕션(Superbanger Productions)이라는 닉네임을 사용하는 6명으로 구성된 팀이 제작하여 2024년 8월 29일에 코크레아에 공개한 인크레디박스의 모드.Colorbox 시리즈의 타이틀을 달고 나왔지만 Colorbox 시리즈의 제작자가 참여를 하지는 않았기에 공식적으로는 팬메이드작이다.
2. 상세
밈과 패러디를 주제로 달고 제작되었으며 그 때문에 모드의 분위기가 흥겹다 못해 심히 정신사납고 병맛스러운 것이 특징. 폴로들도 대부분 자작이 아닌 모티브가 따로 있는 폴로들이 많다.다만 스크래치 계열 인크레디박스 모드 치고는 무려 6명이 모여서 제작한 모드 답게 퀄리티가 매우 좋은 편에 속하고 노래 역시 매우 흥겨운 편에 속해서 유저들 사이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고 공개 1달 만에 코크레아 인크레디박스 중 상위권에 올라갔었다.
인기가 상당했는지 2024년 10월 초순 즈음에 SPRUNKI처럼 코크레아의 링크가 터졌다. 이 때문에 사이트가 따로 만들어져서 이곳에서 플레이 할 수가 있었으나 10월 22일에 제작자가 원본을 내려버리고 대체 링크 버전을 재출시했다. 다만 코크레아에서 인크레디박스를 검색해서 나오는 버전이 아니기에 접근성이 떨어진다.
2024년 12월 27일에 PC 포팅 버전이 나오면서 업데이트가 이루어졌다.
3. 폴로
3.1. 비트 (Beats)
| |
인게임 | 일러스트 |
- 베이직 에스 킥 드럼 가이(Basic ass kick drum guy)[1]
| |
인게임 | 일러스트 |
- 베티 피어(Betty Pear)
| | |
인게임(신 버전) | 인게임(구 버전) | 일러스트 |
- 애슐리 케첩슨(Ashley Ketchupson)
| |
인게임 | 일러스트 |
- 슬러지 버디(Sludge Buddy)
| |
인게임 | 일러스트 |
- 팅키 통크(Tinky-Tonks)
3.2. 이펙트 (Effects)
| |
인게임 | 일러스트 |
- 시그니(Signy)
| |
인게임 | 일러스트 |
- DJ 스크래치(DJ Scratchy)
| |
인게임 | 일러스트 |
- 블렌더리(Blendery)
로어가 상당히 막장인데 'Battle to lick my feet'라는 리얼리티 TV쇼에 출연했다가 가장 먼저 탈락해(...) 신시내티 거리로 나와 매춘으로 먹고 살았다고 한다. 근데 그 매춘이란게 다름 아닌 돈 받고 믹서기인 본인 몸으로 밀크쉐이크 만들어주기(...) 그렇게 지내다가 MCS의 사장인 주퍼스의 믹서기가 고장나자 MCS의 직원들이 믹서기 산답시고 본인들 월급 쓰기 싫다고 블렌더리를 납치했다.(...) 어쨌든 MCS에 납치된 블렌더리는 MCS에 일하게 되었다고…
| |
인게임 | 일러스트 |
- 덕 젤리(Duck Jelly)
설정 상 영 좋지 않은 성격의 소유자로 이 양반이 들고 있는 오리 악기도 원래 악기 용도보다는 스트레스 해소용이였다고 한다.
| 파일:Guy_22.webp |
인게임 | 일러스트 |
- 더브스타드(Dubstard)
3.3. 멜로디 (Melodies)
| |
인게임 | 일러스트 |
- 론도그(Londog)
| |
인게임 | 일러스트 |
- 엘리엇 E. 오노(Elliot E. Ohno)
로어에 따르면 엘리엇은 상당한 천재 소년이나 이를 좋지 않은 쪽으로 활용해 부모는 물론이고 다니던 학교와 정부에게서까지 버림받아 MCS에서 직원들의 주치의로 일하고 있다. 근데 여전히 성향은 괴악한지 매드 사이언티스트 성향을 보이고 있다고 한다.
| | |
인게임(신 버전) | 인게임(구 버전) | 일러스트 |
- 비웨스위스 비즈닙(Bweswees Bizznip)
게임이 업데이트되면서 외형이 많이 바뀌었다. 우선 날씬했던 몸매가 상당히 후덕해졌으며 날개만 파닥거렸던 구 버전과 달리 여러 표정을 짓는 움직임이 추가되었다. 또한 엉클 샘소나이트와 같이 배치하면 어릴 때부터 자신을 무섭게 한 존재와 같이 있어서인지 축 처진 표정을 짓는다.
| |
인게임 | 일러스트 |
- 빅 밴드(Big Band)
| |
인게임 | 일러스트 |
- 하이하이(Hi-Hi)
3.4. 보이스 (Voices)
| |
인게임 | 일러스트 |
OH MUSTARD, WE ARE MUSTARD! OH MUSTARD, WE ARE MUSTARD! OH MUSTARD, WE ARE MUSTARD! BEWARE THE MUSTARD SYNDICATE!
오 머스타드, 우리는 머스타드! 오 머스타드, 우리는 머스타드! 오 머스타드, 우리는 머스타드! 머스타드 신디케이트를 경계해라!
오 머스타드, 우리는 머스타드! 오 머스타드, 우리는 머스타드! 오 머스타드, 우리는 머스타드! 머스타드 신디케이트를 경계해라!
- 머스타드 맨(The Mustardman)
로어에 따르면 MCS에서 일하는 암살자 비슷한 인물로 머스타드를 쏘는 최첨단 바주카포로 무장했다. 한때 모 사이비 종교를 박살낸 적이 있었는데[5] 거기서 셀린을 구출했다.
PC 포팅 업데이트 이후 움직임이 가면의 표정이 움직이는 것으로 바뀌었다.
| |
인게임 | 일러스트 |
- 로지타(Rosita)
로어를 보면 알겠지만 나만 정상인 기믹이 있는데다 그 때문인지 상당히 고생이 많은 인물, 앞서 말한 '라 로지타' 가게가 위치한 인디애나주 사우스 벤드 출신으로 고향에서 아이스크림 장사를 하면서 평범하게 살다가 'Musteezer'라는 음악 밴드를 시작하는 동시에 MCS에 스카웃을 받아 맥머스타드의 지배인이 되면서 오하이오주 신시내티로 내려와 그곳의 사장이 되었는데 문제는 직원들이 하나같이 비정상들 뿐인데다 소도시인 사우스 벤드에 비해 대도시인 신시내티에서는 몸집이 작은(...) 본인을 보는 시선이 달라서 향수병에 걸리게 되었다고, 거기다 나이가 고작 17살이다.
| |
인게임 | 일러스트 |
Heya kid, what you got there? Don't think twice it's only a... ‘nother condiment that's full of scares, let alone shriveled and given stares.
Hey, what's up kid, Prick your eyes. Lay your wisdom teeth under the PILLOW... YOU'RE MINE!
이봐, 꼬마야, 뭐 알아? 두 번 생각하지 마. 그냥... 공포로 가득 찬 또 다른 조미료일 뿐이야. 말라죽고 응시당하는 건 말할 것도 없고.
이봐, 무슨일이야 꼬마야, 너의 눈을 찔러. 네 사랑니를 베개 아래에 놓으렴... 너는 내꺼야!
Hey, what's up kid, Prick your eyes. Lay your wisdom teeth under the PILLOW... YOU'RE MINE!
이봐, 꼬마야, 뭐 알아? 두 번 생각하지 마. 그냥... 공포로 가득 찬 또 다른 조미료일 뿐이야. 말라죽고 응시당하는 건 말할 것도 없고.
이봐, 무슨일이야 꼬마야, 너의 눈을 찔러. 네 사랑니를 베개 아래에 놓으렴... 너는 내꺼야!
- FNF 몬스터(FNF Monster)
로어를 보면 본인이 만드는 음식에 인육을 넣는 듯 하다. 당장 앨범에 나와 있는 사진도 사람을 토막내서 요리를 하려다가 지배인인 로지타에게 걸린 모습이다.(...)
| |
인게임 | 일러스트 |
- 매티 "스탬피디"(Matty "Stampeedy")
매티가 비명을 지를 때 나오는 동영상의 출처는 이 영상인데, 해당 영상은 미국의 만화가인 매튜 리틀모어(Matthew Littlemore)가 본인의 오너캐를 기반으로 제작한 만화인 카툰매니아라는 웹 애니메이션의 한 장면을 모비즌으로 대충 찍어 올린 것이다.
| |
인게임 | 일러스트 |
- 옐러 (The Yeller)
3.5. 올 스타즈 (All-Stars)
| |
인게임 | 일러스트 |
It's time to have some fun, with Uncle Samsonite...
엉클 샘소나이트와 즐거운 시간을 보낼 때란다...
엉클 샘소나이트와 즐거운 시간을 보낼 때란다...
- 엉클 샘소나이트(Uncle Samsonite)
| |
인게임 | 일러스트 |
DO THE BARTMAN!
- 바트맨(THE BARTMAN)
PC 포팅 버전에서는 멜로디에서 색스폰 연주가 삭제되었다.
| |
인게임 | 일러스트 |
- 웹드라이버 토르소(Webdriver torso)
PC 포팅 버전 출시로 업데이트가 되면서 음정이 바뀌고 Never Gonna Give You Up의 보컬 부분과 춤추는 릭 애스틀리의 실루엣이 보이는 효과가 추가되었다. 이는 원본 유튜브 계정이 해명글을 올리면서 해당 노래의 가사로 장난을 친 것과 그 이후에 올린 영상을 고증한 것.
| 파일:Guy_53.webp |
인게임 | 일러스트 |
- 플래시 모노리스(Flash Monolith)
| |
인게임 | 일러스트 |
Umm, Terrance, what colour is the wind?
Hmm, I don’t know. Why don’t you check?
어... 테런스, 바람이 무슨 색이였더라?
흠... 나도 몰라. 왜 확인 안 해봤어?
Hmm, I don’t know. Why don’t you check?
어... 테런스, 바람이 무슨 색이였더라?
흠... 나도 몰라. 왜 확인 안 해봤어?
- 테런스와 필립(Terrence and Phillip)
| |
인게임 | 일러스트 |
- 지 즈위즐(Zee Zwizzle)
3.6. 보너스(Bonuses)
| |
인게임 | 일러스트 |
- 셀린(Celine)
| |
인게임 | 일러스트 |
- 주퍼스(Joopers)
| |
인게임 | 일러스트 |
- 하워드(Howard)
| |
인게임 | 일러스트 |
- 펜타츄(Fentachu)
4. 도전과제
- The Boss: summon the boss(사장: 사장을 소환하시오.)
모든 폴로를 배치해 주퍼스 모드를 해금한 후, 주퍼스 모드를 실행해 주퍼스를 불러내면 달성된다.
- Crimes against moshikind: have the boss get rid of them all(모시킨드에 맞서는 범죄: 사장이 모두를 없애게 하세요.)
주퍼스가 모든 폴로들의 아이콘을 없앤 후, 화면 가운데로 가서 모션을 취하면 달성된다.
- WTF is mixing: place all the Allstars(이게 대체 뭐야: 모든 올스타즈를 놓으세요.)
모든 올스타즈 폴로들을 배치하면 달성된다. 폴로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엉클 샘소나이트, 바트맨, 웹드라이버 토르소, 플래시 모놀리스, 테런스와 필립,지 즈위즐[Z])
- Smurfette Rule: place all female characters(스머페트 규칙: 모든 여성 캐릭터들을 놓으세요.)
모든 여성 폴로를 배치하면 달성된다. 폴로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베티 페어, 애슐리 케첩슨, 비웨스위스 비즈닙,하이하이[13], 로지타,지 즈위즐[Z])
해당 도전과제의 이름인 스머페트 규칙은 홍일점을 의미한다. 여성들만 배치할 시 오른쪽 상단의 주기를 표시하는 표정이 요염하게(...) 바뀌는 것을 볼 수 있다.
- The Laboratory: place everyone seen in the lab(실험실: 실험시에서 볼 수 있는 모든이들을 놓으세요.)
앨범 중 MCS Lab코너에서 볼 수 있는 모든 폴로들을 배치하면 달성된다. 단, 셀린은 배치할 수 없는 폴로임으로 제외된다. 폴로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슬러지 버디, 시그니, 블렌더리, 더브스타드, 엘리엇 E. 오노, 옐러)
- The Yellow Album: place all 4 members of Musteezer(노란색 앨범: Musteezer 멤버 4명을 놓으세요.)
Musteezer에 속한 폴로들을 배치하면 달성된다. 폴로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덕 젤리, 빅 밴드, 하이하이, 로지타)
- So far So familiar: place all traditional polos(So far So familiar: 모든 전통적인 폴로들을 놓으세요.)
원작 인크레디박스 폴로들의 모습을 한 폴로들을 놓으면 달성된다. 해당 도전과제의 이름인 So far So familiar은 인크레디박스의 제작사인 So far So good의 good만 familiar로 바꾼 것. 폴로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베이직 에스 킥 드럼 가이, 시그니, DJ스크래치, 머스타드 맨, 매티 "스탬피디")
- Kids Table: round up the children(키즈 테이블: 아이들을 데려오세요.)
모든 미성년자 폴로를 배치하면 달성된다. 폴로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슬러지 버디, 더브스타드, 엘리엇 E. 오노, 로지타, 옐러)
- Inhuman Gunga: place all the weirdos(비인간 건가: 모든 괴상한 폴로들을 놓으세요.)
모든 비인간형 폴로들을 배치하면 달성된다. 폴로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슬러지 버디, 블렌더리, 덕 젤리, 더브스타드, 론도그, 몬스터, 옐러)
- I'll take you to the toilet: make the most obnoxious mix ever(화장실로 가게해주마: 가장 지릴듯한 믹스를 만드세요.)
해당 도전과제에 요구되는 폴로들은 제작자들이 플레이하면서 가장 만족한 궁합인듯 하다. 다음과 같이 두면 달성된다.
(팅키 통크, 블렌더리, 더브스타드, 비웨스위스 비즈닙, 엉클 샘소나이트, 바트맨, 플래시 모노리스)
- Cuckstard: cuck DJ scratchy(컥스타드: DJ 스크래치에게 NTR을 보여주세요.)
DJ 스크래치와 비웨스위스 비즈닙을 양끝에 배치하고, 비웨스위스 비즈닙 옆에 특정 폴로들 중 한명[15]을 배치하면 달성된다. 해당 조건을 만족 후 앨범에 들어가게 되면 수배지에서 원래 사진 위에 비웨스위스 비즈닙이 해당 폴로를 안고 있는 사진이 붙는다.[16]
- Lank the LONG way: spend 10 minutes in Lanky box mode(언제 끝나냐: Lanky box 모드 상태로 10분을 소비하세요.)
설정에 있는 Lanky box mode[17]를 사용한 채로 10분을 기다리면 달성된다.
- YOU DID IT WOW!: read the credits like a good boy(해냈어!: 착한 아이처럼 크레딧들을 읽으세요.)
왼쪽위에 있는 크레딧들을 다 읽어주면 달성된다.
- Zwizzle who?: see the Z(즈위즐이 누군데?: Z를 보세요.)
게임 실행 중 키보드 Z키를 꾹 누를시 나타나는 폴로인 지 즈위즐을 놓으면 달성된다.
5. 여담
모드 치고는 설정이 꽤 명확한 작품이다. 작품에 폴로들의 설정을 포함한 모티브와 이름을 따로 정리한 설정집들을 만들어놨을 정도.제작자 중 한 명인 Pawsy의 믹스이다.
[1] 해당 캐릭터가 내는 소리인 Basic kick drum(베이직 킥 드럼)의 킥(kick) 부분에 엉덩이(ass)를 넣어 서양권 속어인 '엉덩이를 걷어차다(kick ass)'를 섞은 말장난이다.[2] 론도그 탈의 안에 있는 론도그의 본체 같은게 아닌, 엄연한 별개의 존재이다. 사진첩에서 서로를 똥씹은 표정으로 쳐다보는 사진도 있다.[3] 원래는 다른 폴로들보다 살짝 큰 정도지만, 해당 로어의 사진에서는 혼자서 얼굴이 잘릴 정도로 크기가 매우 크게 나온다.[4] 여성처럼 생긴 남자라는 의미로, 즉 이 캐릭터는 남성이다. 이 때문에 여성 폴로들을 모두 놓으면 발생하는 이벤트의 조건에서도 제외된다. PC 포트에서는 한술 더 떠서 아예 이 폴로를 배치하면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다. 참고로 여성이 아닌 다른 폴로들은 놓아도 이벤트가 문제 없이 발생한다.[5] 참고로 이 종교는 제작자 slapbread가 만든 공포 모드인 Tragic Breakout의 배경이 되는 종교다.[6] 이름만 봐서는 무슨 스페인쪽 업체인 것 같지만 미국 인디애나주 사우스 벤드에 위치한 멕시코 아이스크림 가게이다. (공식 인스타그램) 이 캐릭터를 통해서 해당 가게를 처음 알게 된 플레이어들이 많다.[7] 과거에는 스프런키에 등장하는 웬다랑 같이 갇혀 있었다는 설정이 있었는데 안 그래도 안 좋은 쪽으로 불타고 있는 모드에 되도 않는 떡밥을 투척해서 스프런키 팬덤이 난리를 피울 게 우려됐는지는 몰라도 해당 설정은 PC 포팅 업데이트 판에서는 삭제되었다.[8] 원작이 되는 시리즈는 유튜브에서 아마추어 감독으로 활동하던 제이크 보웬(Jake Bowen)이 감독했으며, 2014년에 Uncle Samsonite Pays a Visit이라는 파일럿 애니메이션를 올린 것을 시작으로 2017년에 각각 시즌 1, 2018년에 시즌 2를 제작했다. 이후 2020년 부터 시즌 3를 제작했으나 감독의 개인사정 때문인지 시즌 3는 2편만 올라오고 연재가 중단된 상태이다. 여담으로 한국에서는 해당 캐릭터 자체를 알고 있는 사람이 적지만 영미권에서는 작중에서 악역으로 나오는 엉클 샘소나이트의 불쾌한 골짜기 외모와 더불어 벽장 속 귀신 컨셉이라기에는 무섭긴 커녕 심하게 나사가 빠진 모습이 묘하게 시너지를 일으켜 인터넷 밈으로 많이 이용되었다.[9] 이를 리뷰하던 유튜버들도 반응 생각보다 찰져서 따로 리액션을 모아둔 영상까지 만들어졌다.[10] 로어에서 테니스공을 보고 침을 흘리는 찢어진 사진이 유일하게 그녀가 나온 사진이라고 한다.[11] 종이 같겠지만 네모난 검은 모서리 부분을 보면 알 수 있다.[Z] 해금시에만 놓으면 된다.[13] 이쪽은 페이크이다. 하이하이는 펨보이, 즉 여성처럼 생긴 남성이기 때문이다.[Z] [15] 베이직 에스 킥 드럼 가이, 베티 페어, 팅키 통크, 시그니, 하이하이, 머스타드 맨, 매티 "스탬피디", 지 즈위즐.[16] 이때 사진 아래에 적힌 글은 'nvm she found her new Big Band'(신경쓰지마 그녀는 그녀의 새로운 빅 밴드를 찾았어.)이다. 예외적으로 지 즈위즐에 경우 다른 사진들과 다르게 비웨스위스 비즈닙이 당황한 표정이고 아래에 적힌 글이 'She found the Z'(그녀는 Z를 찾았어.)로 대체된다.[17] 사용 시 화면 색채가 바뀌고 중간중간 소음과 함께 사진들이 마구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