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142b43><colcolor=#fff> Katie @KatieE18729 | |||
| |||
장르 | 애니메이션 | ||
성별 | 여성 | ||
출생 | 2008년 10월 30일 ([age(2008-10-30)]세) | ||
국적 | 불명[1] | ||
유튜브 채널 개설일 | 2022년 2월 28일 | ||
첫 영상 업로드일[2] | 2022년 12월 14일 [dday(2022-12-14)]일째, [age(2022-12-13)]주년 | ||
플랫폼 현황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Kaaatie |
구독자: 109만명 | |||
조회수: 18,090,935회[3] | |||
| 🍁 | ||
팔로워: 17.3만명 | |||
2025년 2월 14일 기준 |
링크 |
[clearfix]
1. 개요
Hi, it's me, Katie!🍁 Katie의 유튜브 채널 소개[6] |
애니메이션 제작 유튜버 및 일러스트레이터. 본인의 자작 캐릭터들이 등장하는 영상을 제작한다.
Fundamental Paper Education 시리즈로 본격적인 큰 유명세를 얻기 시작했다. 그러나 FPE 시리즈로 시작된 극성 팬덤과 Katie를 무분별하게 비난하는 사람들 때문에 큰 스트레스를 받아서 X의 모든 게시글을 삭제했고 모든 유튜브 영상을 비공개 처리했다. 당연히 복귀 시점도 알 수 없고, 아예 돌아오지 않을 수도 있다. [7]
평상시에는 컬러풀하고 아기자기하면서 아름다운 색감과 명암, 배경 연출이 일품인 동화책같은 분위기지만, 영상과 일러스트 대부분이 고어, 폭력, 자살, 살인 행위, 식인, 호러 요소 등 다소 하드코어한 내용을 다루며 그 외에도 글리치 이펙트 등 아기자기한 색감과 그림체에 비해 내용이 상당히 어두운 편이다.
또한 자캐들의 디자인이 전체적으로 성중립적이며, 속눈썹이나 가슴이 묘사되지 않은 여캐, 장발 남캐 등의 요소가 많고 남캐는 한색, 여캐는 난색과 같은 색배치에 따른 구분도 하지 않으며 캐릭터 중 하나인 아가사처럼 성중립 인칭대명사인 They/Them을 사용하는 캐릭터도 있다. 이 때문에 처음 입문하는 팬들은 캐릭터들의 성별을 헷갈리는 경우가 잦다.
2. 자작 캐릭터 목록
2.1. Fundamental Paper Education
2.2. 주요 자캐 8인
Katie가 Fundamental Paper Education 대신 집중하고 싶다고 언급한 자캐 8명. 다만 소피아와 다니엘은 2024년 5월 이후로 언급이 없으며, 감정 일러스트에서는 둘 대신 에이든과 코너가 등장했었다.나이와 키에 대한 정보는 Katie의 삭제된 자캐 소개 일러스트를 바탕으로 작성하였다. 새 일러스트에서는 나이와 키가 없었는데, 그 이유는 아직 고칠 게 많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2.2.1. 아노바
아노바 Anova | |
| |
<colbgcolor=#33314f><colcolor=#fff> 성별 | 여성 |
나이 | 16세 |
키 | 148cm |
검은 피부와 4개의 팔을 가지고 있는 인외형의 소녀.[8] 자신의 온실에서 선인장을 키우는 등 온화한 성격을 가진 듯 하다. 여담으로 아노바가 웃고 있는 모습은 유일하게 위 일러스트에서만 볼 수 있으며, 다른 일러스트에서는 대부분 겁에 질려있거나 울고 있다. 그만큼 온실 가꾸기에 진심임을 알 수 있다.
클레어와 비스킷과 항상 함께 다니는 절친인 듯하나 호기심이 많은 둘과 달리 조금 겁이 많은지 눈덮인 숲 일러스트에서 혼자 쩔쩔매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그 외 슬픈 감정을 느낄 때는 목에 에반스 매듭을 메고 있는 모습으로 나오고 있다.[9] 좋아하는 '음식'마저도 자살이라고 한다.
"What the hell are they doing?😭" 일러스트에서는 다른 캐릭터들과 다르게 우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2.2.2. 비스킷
비스킷 Biscuit | |
| |
<colbgcolor=#c46354><colcolor=#fff> 성별 | 남성 |
나이 | 17세 |
키 | 165cm |
Biscuit: Hi Claire, i made you some cookies. |
초기에는 머리 뒤에 연이 달려 있었지만 최근 일러스트에서는 연이 없다.
좋아하는 음식은 생선과 쿠키, 당근이라고 한다.
후술할 클레어와 모에모에가 처음 만났을 때의 상황에서 모에모에를 질투하는 모습을 보였다.
2.2.3. 클레어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클레어 Claire | |
| |
| |
<colbgcolor=#a4a66c><colcolor=#fff> 성별 | 여성 |
나이 | 15세 |
키 | 160cm |
숲 속이나 어딘가를 탐험하는 등 모험가 기질이 있는데, 그 과정에서 시리즈 내내 도사리는, 인간의 형태를 한 크리쳐급 괴물 캐릭터들에게 위협당하거나 살해당하는 등 영고라인 및 사망전대 캐릭터이다.
클레어, 펜, 시스터가 서로 사이가 있다는 추측이 있다. 아가사와는 아는 사이라고 추측되기도 한다.
어린 시절에 엥겔과 함께 케이티에게 고고학 강의를 듣는 일러스트가 공개되었었다.
이전 디자인에서는 새싹이 든 목걸이를 차고 있지만 요즘에는 그냥 두 줄 달린 후드만 입고 목걸이를 차고 있지 않다.
초록색 눈으로 나올 때도 있고 갈색 눈으로 나올 때도 있다.
2024년 8월 14일 공개된 일러스트에서는 케이티와 어린 클레어가 손을 잡고 숲속 풍경을 보고 있다. 클레어의 모습을 보면 어렸을 때의 머리카락은 숏컷 머리이나, 단발로 자란 것을 보면 좀 더 나이를 먹었을 때로 추정된다. 또한 케이티와의 관계도 추정할 수 있는데, 위 일러스트에서 케이티가 고고학 강의를 한다든지, 어린 클레어와 손을 잡고 함께 풍경을 본다든지 원만한 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보아 이 세계관에선 케이티와의 관계는 괜찮은 것으로 보인다.
좋아하는 음식은 팬케이크와 계란 후라이라고 한다.
2.2.3.1. 모에모에
모에모에 Moemoe | |
| |
| |
<colbgcolor=#151e2f><colcolor=#fff> 성별 | 불명 |
평소에는 귀엽고 작은 고양이지만, 눈과 꼬리가 여럿 달린 괴수의 형태로 변신할 수 있는 듯 하다. 클레어와 우호적인 관계인지 Therefore you and me(현재 비공개)에서는 괴수 모습의 모에모에와 클레어가 포근한 분위기 속에서 함께 자는 장면도 있다.
클레어,비스킷과 처음 만났을 때의 상황을 묘사한 일러스트가 공개되었다.
2.2.4. 아가사
아가사 Agetha | |
| |
| |
<colbgcolor=#4e3b98><colcolor=#fff> 성별 | 불명 |
나이 | 불명 |
키 | 163cm |
하지만 어느 시점에서 바뀐 두번째 디자인은 기존의 알록달록한 옷 색에서 따온 듯한 강한 빨강-노랑-파랑 색배치에 시안색 눈과 입, 목에 에반스 매듭을 걸고있는 모습으로, 이 때는 평범한 인간에서 벗어나 컴퓨터 세계 속으로 들어가 마치 컴퓨터 귀신과 같은 행적을 보이는 모습[11]이 되며 성격도 기존의 인상과 다소 다른 장난꾸러기 인상으로 완전히 캐릭터성이 바뀐다. 목을 매 자살한 이후로 이 모습이 된 듯 하나 왜 자살했는지에 관한 것과 어떻게 이런 모습으로 변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미공개 상태다.
크레이지, 밀러가 속한 밴드의 기타리스트로도 활동한다. 그 외에는 후술할 이름 없는 늑대인간과 친하게 지내는 것으로 보인다.
장난꾸러기같은 인상이지만 톱을 들고 매섭게 노려보기도 하고, 그동안 세계관 최강자로 여겨지던 앨리스를 비웃기도 했던 것으로 보아 실제로는 꽤 강할지도 모른다.
인칭대명사는 they/them이고 정확한 성별은 밝혀지지 않았다. 아가사라는 이름 영어권에서 주로 여자 인명이므로 여성일 수도 있지만 남자 인명으로 자주 쓰이는 이름을 사용하는 에이든도 여캐로 등장하기 때문에 정확한 성별은 알 수 없다.
영문 이름이 아가사의 일반적인 스펠링인 'Agatha'가 아닌 'Agetha'이다.
2.2.5. 소피아
소피아 Sofia | |
| |
<colbgcolor=#7c6e63><colcolor=#fff> 성별 | 여성 |
나이 | 15세 |
키 | 168cm |
2.2.6. 올리버(케이티)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올리버(케이티) Oliver(Katie) | |
| |
| |
| |
<colbgcolor=#435f63><colcolor=#fff> 성별 | 남성(올리버) 여성(케이티) |
나이 | |
키 | 182cm |
가족 | 아버지 바포메트(추정) 어머니 ???(추정) |
앨리스와 커플 관계이며, 둘은 일명 'Olice'라 불린다. 지네를 먹는 앨리스를 보며 하트눈이 되거나, 앨리스에게 자신의 심장을 꺼내보이기도 했다. 발렌타인 데이 기념 일러스트에서 토끼를 앨리스에게 선물하고, 이를 먹어치우는 앨리스를 보고 기뻐했다.
2024년 5월 13일에 앨리스와 함께 어린 시절의 모습이 공개되었는데, 남성의 통념과 달리 치마에 긴 속눈썹 등 여성스러운 모습을 하고 있어 화제가 되었다. 오너캐인 올리버는 남캐지만 Katie 본인은 여성이라는 점에서 남성도, 여성도 아닌 혹은 둘 다 될 수도 있는 중성적인 캐릭터이거나, 여>남 트랜스젠더가 아니냐는 추측이 있었다.[12] 하지만 이후 일러스트에서는 현재 모습도 거의 여성형에 가까워졌는데, 설정이 바뀌었거나, Katie의 오너캐이면서 성별이 여성인 버전이 따로 있다는 추측이 돌고 있다. 그도 그럴게 Katie가 자신을 '케이티' 또는 '올리버'라 불러 달라고 했기에 가능성이 있다. 이후 팬덤에서는 여성 버전을 주로 케이티라 부른다. 올리버의 여러 모습을 스파이더맨 밈에 빗댄 짤이 생겨나기도 했다.#
Fundamental Paper Education에서는 끝까지 클레어를 괴롭히다 죽여버리고 엥겔을 절망에 빠뜨린, 그야말로 원한이 맺힐 원수로 나왔으나, 이후 게시물을 보면 어린 클레어와 같이 있거나 어린 클레어와 엥겔에게 고고학을 가르쳐주는 등 서로 친한 사이로 나왔다. 이 점으로 인해 팬덤에서는 원래는 친구사이였다가 모종의 이유로 관계가 썩어버렸거나, 케이티와 올리버가 서로 도플갱어일 뿐 다른 인물이라는 추측이 있다.
2024년 7월 6일에는 케이티(올리버)의 아버지가 바포메트라는 것을 암시하는 듯한 일러스트가 공개되었다. 만약 케이티의 종족이 염소 계열이라면 케이티가 비누 먹는 것을 좋아하는 것도 설명이 된다. 염소가 별의별 물건을 먹는 것으로 유명하기 때문. 자세한 건 염소 문서 참조.
같은 오너캐인 클레어는 후술 할 펜과 강제로 데이트를 할 때 두려워하고 다른 크리쳐들에게 위협받고 살해당하기도 하는 반면에 자신은 같은 크리쳐인 앨리스와 잘 지내는 걸 넘어 아예 사귀는 모습을 보여주고 크리쳐에게 위협을 덜 당하거나 오히려 친구가 되는 것을 고려하면 클레어와 반대되게 설정된, 즉 클레어의 안티테제 캐릭터인 듯하다.
2.2.7. 앨리스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앨리스 Δlice | |
| |
| |
| |
| |
| |
<colbgcolor=#92564c><colcolor=#fff> 성별 | 여성 |
이명 | Princess Δlice |
나이 | |
키 | 165cm |
왕관과 찢어진 옷, 앨리스를 상징하는 심볼이 형상화된 삼각형 모양(🜁)의 목걸이가 특징이다. 'Princess Δlice', 즉 공주님으로 불리기도 한다. 변신하여 진짜 모습이 된 이후에는 눈이 붉은 빛으로 물들며 어둠을 다룰 수 있고 촉수가 생긴다.
올리버와 공식 커플링이며, 이 둘은 일명 'Olice'라 불린다. 트위터 계정의 팬들과의 여러 대화에서 앨리스를 향한 독보적인 애정을 확인할 수 있다.[13] 심지어 시리즈가 갑자기 인기를 얻으면서 야짤이나 괴롭힘 등 온갖 못 볼 꼴에도 침묵을 이어가는 등 불만 표시를 잘 안하는 Katie 본인이 올리버 혹은 앨리스가 다른 캐릭터와 엮이는 것에 공식 커플이며 절대 다른 캐릭터들과 엮지 말라 라고 하며 강한 거부반응을 보인 적도 있을 정도다.[14] Katie가 Olice 팬아트를 주로 리트윗했던 것도 이 이유이다. 실제로 애정을 넘어 사랑에 가까운 감정을 가진 듯.
상시 엄청난 위압감을 풍기는 캐릭터로, 사람의 몸을 아무렇지도 않게 두 동강 내버린 것, 종이 학교 ‘최고의 선생님들’[15]이 앨리스를 두려워하는 모습을 보인다는 것을 보면 전투력은 해당 세계 내에서 최강으로 추측된다. Basics in Behavior에서 본모습으로 변하자 이전보다 더 빠르게 이동하는 것을 보면 본모습에 가까울수록 강해지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2024년 12월 7일에 공개된 일러스트에서는 눈물까지 흘리며 처참하게 엉망이 된 상태로 앉아있는 걸 보면 항상 최강인 것은 아니었거나 자신보다 더 강한 상대[16]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름 표기는 작중 외적으로는 'Δlice'로 표기되나, 작품 내에서는 'Alice' 로 표기된다.[17][18]
토끼를 좋아하는 것으로 보인다. 발렌타인데이 기념 일러스트에 올리버가 토끼를 선물해 줬고, 어렸을 때의 모습이 그려진 일러스트에도 까만 토끼 인형을 들고 있다.
앨리스의 문양(🜁)은 Katie가 올린 그림에서 카메오로 등장하기도 한다. 이를 보아 이 세계관 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2025년 1월 27일 앨리스와 관련된 모든 게시물들이 삭제되었다. 때문에 Katie의 앨리스에 대한 애정이 식었다는 추측이 있기도 했다.
2.2.8. 다니엘
다니엘 Daniel | |
| |
<colbgcolor=#b38a56><colcolor=#fff> 성별 | 남성 |
나이 | 15세 |
키 | 160cm |
자세하게 밝혀진 정보는 없지만, 소피아와 티 파티를 즐기는 일러스트가 공개된 적이 있어 소피아와 자주 엮인다. 이외에 발렌타인 데이 기념 일러스트에서도 둘이서 조그맣게 등장하는 것을 보면 어느 정도 관계가 있는 것은 확실하다.
소피아가 등장하기 전에는 클레어, 비스킷, 아노바와 같이 다녔던 것 같다.[19]
2.3. 기타
2.3.1. 펜
펜 Fen | |
| |
| |
<colbgcolor=#efb16f><colcolor=#fff> 성별 | 여성[20] |
키 | 3m |
신체 부위를 자유자재로 변형하는 모습이 묘사되는, 숲 속의 흉포한 크리쳐와도 같은 캐릭터로 세계관 내에서도 매우 위험도가 높은지 펜이 서식하는 영역에는 ⚠️표지판[22]이 끊임없이 놓여있다.
I Am Going to K!ll Your Family(현재 비공개)에서는 어떤 엑스트라 캐릭터를 온갖 잔인한 방법으로 때려 죽인 뒤 오체분시를 해버리는 끔찍한 장면이 나오기도 하며, Therefore You and Me(현재 비공개)에서는 온갖 시체들을 산더미처럼 쌓아올린 언덕 위에서 아래를 노려보고 있다.
하지만 의외로 후술 할 시스터와 연인 관계로 추정되며, 시스터 앞에서는 홍조까지 띄우며 얌전히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I Am Going to K!ll Your Family(현재 비공개) 애니메이션에서도 모에모에와 함께 앉아 있기도 하는데,[23] 자의식도 없이 의사소통이 아예 불가능한 괴물은 아님을 보여주는 부분이다.
위에서 시스터와 연인 관계로 추정된다고 했지만, Why are you blinking so much?(현재 삭제됨)영상에서 클레어와 데이트를 하는 모습[24]으로 인하여 클레어와 엮이는 경우가 많다.
2.3.2. 시스터
시스터 Xister | |
| |
<colbgcolor=#000><colcolor=#fff> 성별 | 여성[25] |
키 | 198cm |
가족 | 자매 비비안 |
상당한 애주가 및 골초로, 음주를 하며 약을 복용하거나, 한번에 담배를 2개 피우는 등의 모습을 보였다.
후술 할 비비안과 자매 관계이다. 나이 관계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2차 창작에서는 시스터가 철없는 여동생으로 그려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상술했듯 펜과 연인 관계로 추정된다.
고양이를 키우는 듯하다. Machine girl에서[26] 시스터와 함께 잠깐 등장했다.
2.3.3. 비비안
비비안 Vivian | |
| |
| |
<colbgcolor=#e93a53><colcolor=#fff> 성별 | 여성 |
가족 | 자매 시스터 |
Sigh... I hate my sister |
상술했듯 시스터와 자매 관계이며[27] 담배를 피우는 시스터를 못마땅해한다. 공식 일러스트에서도 시스터가 싫다고 직설적으로 말해서 확실히 둘의 관계가 좋지 않게 묘사된다.[28] 자매 아니랄까봐 이쪽도 모자를 벗으면 시스터처럼 작은 뿔이 있다.[29]
Machine girl(현재 비공개)에서의 행적도 그렇고 묘하게 당하는 모습이 많다.
2.3.4. 코너
코너 Connor | |
| |
| |
<colbgcolor=#d49e97><colcolor=#fff> 성별 | 남성 |
Connor: Hey Katie~ |
케이티와는 아는 사이로 보이며 그것도 꽤 옛날부터 친분이 있는 듯 하다. 어린 시절의 케이티와 함께 들판에 누워있다가 나뭇잎이 자신에게 떨어지자 잠시 눈을 뜨는 모습을 보였으며, 이후 일러스트에서 케이티에게 플러팅하는 모습을 보였다.
최근에 케이티가 등장하는 일러스트에서는 항상 함께 있는 등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2.3.5. 에이든
에이든 ∆iden | |
| |
<colbgcolor=#1d2641><colcolor=#fff> 성별 | 여성 |
Katie: Oh Connor! Look at this gun 에이든에 관한 케이티와 코너의 대화 |
한 게시물[31]의 마지막 네 번째 사진의 명도를 올리면 "그 여자애 총 가지고 있어, 여기서 당장 나가 클레어(That girl has a gun, get out of here Claire)." 라는 문구와 함께 어두운 숲 속에서 부릅 뜬 눈이 보인다. 그 이후 다른 게시물[32]에서도 배경에 등장하는 등 비중이 높아지는가 싶더니 위 대화에서도 간접 등장했고, 또 다른 일러스트[33]에서는 아예 케이티와 친분이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이 일러스트에서 현재까지 가장 구체적인 모습이 묘사되었으며, 큰 사백안 눈을 가진 겨울옷을 입은 소녀의 모습을 하고 있다. 또, 어째서인지 뒤에있는 다른 종이와 앨리스의 상징 문양이 그려진 칠판에 삼각관계처럼 A.K.A라는 문구들이 적혀있는데, A는 앨리스, K는 케이티라고 생각하면 이 캐릭터는 또 다른 A로 시작하는 이름을 가진 것으로 추정되었었고, 이후 이름이 에이든(Aiden)[34]인 게 밝혀졌다. 또한 앨리스와 마찬가지로 A가 들어갈 자리에 ∆가 들어가있다.
그러다 마침내 2024년 7월 3일 일러스트[35]에서 주역으로 등장하는데, 그 정체는 평범한 소녀처럼 보이지만 사람을 잡아 가둬 고문하고[36] 피부를 벗겨내는 극한의 사디스트 혹은 사이코패스 살인마처럼 보이는 캐릭터임이 드러났다. 이런 성향 탓인지 항상 포커페이스를 유지하고 있다. 팬덤에서는 케이티가 앨리스도 그렇고 가학적인 여자를 좋아하는 것 같다 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또한 이쪽도 앨리스의 문양이 그려진 모자를 쓰고 있다.
케이티의 리디자인 일러스트(?)[37]와 상술한 일러스트[38]에서 케이티가 총을 들고 말할 때와 이 캐릭터를 그릴 때 묘하게 얼굴을 붉히고 있어서 팬들이 공식커플인 앨리스는 어떻게 되냐는 의문을 수없이 제기했는데, Katie는 단순히 친한 친구(Close Friend)라는 답변을 했으나, 이후 에이든의 팬아트에 ∆IDEN MY BELOVED!라며 케이티가 꽃을 들고 있는 일러스트로 반응[39]하는 등, 친한 친구 그 이상의 관계로 추정된다. 이후 케이티(혹은 Katie 본인)는 앨리스와 에이든 중 누구를 더 좋아하냐는 질문에 Katie는 "둘 다 좋아한다"고 밝힌 걸 보면 삼각관계일 수도 있거나, 단순히 Katie 본인이 에이든을 좋아한다는 것을 올리버로 표현한 것일 수 있다.
Katie의 세계관 내에서 숲은 불길한 일이 생기는 대표적인 장소로 꼽히는데다가 어둡고 추운 숲 속에서 혼자서 살고, 여러 캐릭터들을 엿보는 등 여러모로 범상치 않은 음산한 캐릭터의 포스를 풍기는데, 단순히 총을 지닌 인간 소녀인지, 아니면 비슷한 환경에서 사는 펜이나 이름없는 늑대인간처럼 초인적인 힘을 가진 크리쳐인지 정체는 아직은 불명이다. 동일 장소인지는 불명이지만 '눈덮인 숲' 과 비슷해보이는 장소가 기존의 이름없는 늑대인간의 일러스트[40]에서 나온 적이 있다. 현재까진 아직 많은 것이 수수께끼인 캐릭터지만, 계속해서 여러 게시물로 떡밥을 나눠 뿌리는 것으로 보아 비중이 어느 정도 있는 주요 캐릭터 중 하나일 것으로 보인다.
시베리안 허스키 견종으로 추정되는 애완견을 기른다. 여담으로 위 일러스트[41]에 한 유저가 '다음 애니메이션에 대한 떡밥이 아니냐'는 댓글을 달았었는데, Katie가 여기에 좋아요를 누르며 추후 애니메이션에서 이 애완견과 에이든 및 눈 덮인 숲이 다뤄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키가 180cm대인 올리버/케이티와 비교해 보았을때 상당한 장신임을 알 수 있다.[42]
2.3.6. 스노위
스노위 Snowie | |
| |
<colbgcolor=#b4c0cb><colcolor=#fff> 성별 | 불명 |
2024년 6월 16일에는 Katie의 X 계정 배너에 스노위가 추가되었었다. 약 2024년 6월 경부터 Katie가 눈 덮인 숲(Snowy Forest) 관련 이야기[43]를 주로 다루기 시작했던 것을 표현했던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배너에서 삭제되었다.
2.3.7. 크레이지
크레이지 Crazie | |
<colbgcolor=#e25c57><colcolor=#fff> 성별 | 여성 |
성격은 순진해보이나 소리를 못 듣는 건지 다른 사람이 밀러의 괴성에 귀를 막고 엎드려 있었는데도 상황 파악을 못 하고 혼자만 서 있다.
가끔씩 병아리 세 마리들과 같이 있었어서 병아리를 기르고 치즈를 좋아하는 소녀인줄... 로 알았으나 2024년 10월 17일 일러스트에는 크레이지가 평소 자신과 같이 있던 병아리를 살해한 장면이 묘사되어 있었다.[44]
2.3.8. 스캐리
스캐리 Skary | |
| |
| |
<colbgcolor=#000><colcolor=#fff> 성별 | 남성 |
감정에 따라 동공의 모양이 바뀌는 모습이 나오기도 한다.
2차 창작에서는 거의 인간 모습으로 묘사된다.
2.3.9. 루-메-이
루-메-이 Lu-me-ii | |
| |
<colbgcolor=#91d3c7><colcolor=#fff> 성별 | 불명 |
2.3.10. 밀러
밀러 Miller | |
| |
| |
| |
<colbgcolor=#000><colcolor=#fff> 성별 | 남성 |
Machine Girl(현재 비공개)에서는 알 수 없는 이유로 스캐리를 방망이로 때리거나 밀어버리기도 했다.
2.3.11. 이름 없는 늑대인간
이름 없는 늑대인간 Nameless Werewolf | |
| |
<colbgcolor=#000><colcolor=#fff> 성별 | 여성 |
말 그대로 이름이 없는 늑대인간이며, Nameless Werewolf도 사실상 가칭이다. 무시무시한 분위기를 풍기고 있지만 친분이 있어보이는 아가사는 등에 올라타도 신경 쓰지 않는 모습을 보이는 걸로 보아 아가사의 애완동물 또는 친한 친구인듯. 키는 아가사의 2배 정도 된다.[48]
이름도 없고 두 일러스트에서만 나오는 단역처럼 보이지만 꽤나 오래전부터 등장한 공식 자캐다.
2.3.12. 바포메트
바포메트 Baphomet | |
| |
<colbgcolor=#1b1336><colcolor=#fff> 성별 | 남성 |
키 | 248cm |
가족 | 배우자 ???(추정) 아들(딸) 올리버(케이티)(추정) |
모티브는 악마 바포메트로 보이며, 진짜 악마일 수도 있다.
올리버(케이티)의 아버지일 가능성이 있다.
3. 영상 목록
현재는 모든 영상이 비공개 처리되었다. 아래 영상들은 모두 백업본이다.===# I am going to k!ll your family! #===
주역으로 펜이 등장한다.
모에모에를 향해 꽃 한송이를 따다 주는 친근한 모습을 보여주다가, 갑자기 어떤 엑스트라 캐릭터를 피가 사방에 튈 정도로 잔혹하게 살해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그렇게 피투성이가 된 상태로 모에모에와 함께 정면을 바라보며 평화롭게 앉아있는 것으로 끝나는 짧은 영상이다.
===# Moonlight #===
주역으로 시스터가 등장하며, 펜 등의 다른 캐릭터들도 잠깐씩 등장한다.
원곡은 칼리 우치스의 Moonlight. 단 이틀만에 완성했다고 한다.
===# Therefore you and me #===
클레어와 모에모에, 루-메-이,비스킷, 펜 등 다양한 캐릭터들이 한 컷씩 등장한다.
원곡은 VOCALOID 오리지널 곡 그러니 유 앤 미.
===# V1RUS #===
주역으로 아가사가 등장하며 그 외 다양한 캐릭터들[49]이 잠깐 등장한다.
원곡은 Sacristuff의 VIRUS. 9일만에 완성했다고 한다.
===# Machine girl - うずまき #===
밀러와 아가사가 속한 밴드, 비비안 등 다양한 캐릭터들이 등장한다.[50] 원곡은 머신 걸의 うずまき.
===# Basics in Behavior #===
Katie의 인지도를 크게 높여준 영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작품으로, 원래 그닥 유명하지 않던 개인 애니메이터 채널의 작품이 2024년 11월 14일 기준으로 무려 7천만을 상회하는 조회수를 얻은, 인디 애니메이션 역사 전반으로 봐도 엄청난 성공을 거둔 작품이다.[51]
현재 4달이라는 역대 최장의 제작 기간만큼 현재 katie가 공개적으로 게시한 애니메이션들 중 가장 높은 완성도와 퀄리티를 자랑하며, 따라그리기 쉬운 간단하지만 개성적인 화풍과 캐릭터 디자인, Alight Motion내에 있는 움직임 이펙트 툴을 잘 활용하여 종이 세계라는 분위기를 한껏 살린 매력적인 세계관 덕에 단순히 작은 팬덤이 만들어지는 수준을 넘어 전세계적인 인기를 끌었다.
본래 시리즈화 될 예정이였으나, 이 거대한 인기에 비례하는 무개념 팬과 안티팬들에게 수개월 동안 시달린 Katie는 현재 해당 시리즈에 대해 비관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고, Katie의 지인이 언급하기를 다른 시리즈에 집중하고 싶다는 소식을 전한 바 있다. 원래 Katie는 본작에 사용된 Basics in Behavior가 최애곡이라고 밝혔는데, 이 때 해당 지인이 공개한 개인적인 DM을 통해 "이젠 해당 노래를 듣기만 해도 정신적으로 부담이 간다." 라고 밝혀 크게 심적 고생을 했음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하지만 2024년 12월 이후 바뀐 영상 설명에서 그럼에도 본인이 긴 시간을 들여 완성한 작품인만큼 애정이 완전히 식은 것은 아니며, 적은 빈도이겠지만 여전히 관련 애니메이션이나 그림을 종종 업로드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2024년 11월 25일 17시 이후부터 일부 공개로 설정되었다. 자세한 내막은 항목 참고.
4. 여담
- 성별, 나이, 국적 등 개인 정보를 밝히지 않았지만 2024년 12월 21일 이후로 성별과 나이를 공개했다.
- 트위터에서 팬들의 창작물에 종종 마음, 리트윗을 남기기도 한다.
- 2차 창작에서 Fundamental Paper Education 외의 자작 캐릭터들(예시로 비스킷, 아노바, 에이든 등)을 다룰 때에는 #Katieverse라는 태그를 사용한다.
- 2025년 1월 27일 22시경, Katie의 X 계정에서 FPE 관련 모든 게시물 및 일부 Katieverse 게시물[52]이 삭제되었고, 게시물 24개와 리트윗 1개만 남게 되었었다. X 계정 자기소개는 'I just want to start all over again.(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고 싶습니다)'으로 바뀌었었으며, 바로 다음날인 28일에는 자기소개를 지운 상태였다.
- 2025년 2월 12일, Katie의 X 계정에서 모든 게시물이 삭제되었고 팔로잉도 0명으로 바뀌었다. 닉네임도 원래는 'Katie🍁' 였지만 현재 '🍁'으로 바뀌었다. 비슷한 시기에 누군가가 Katie의 자캐로 NSFW[53]를 만들어 Katie의 계정을 태그하는 만행을 저지른 적 있는데, 이것이 Katie에게 영향을 줬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 Katie와 친한 친구인 Edgyaludon이 새로 업로드 된 유튜브 영상의 설명란에서 Katie는 자기가 진심으로 원하는 것을 찾기 위해 떠났다고 언급했다. 다시 돌아올 가능성도 낮다고 했다. [54]Katie left to find what she truly wanted.She no longer wants to be remembered on the internet for who she is now.(중략) Even if she does come back, which is low chance, no one knows whether she will still use the account named Katie or create a new account.Katie는 진정으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찾기 위해 떠났습니다.그녀는 더 이상 지금의 모습으로 인터넷에서 기억되기를 원치 않습니다.(중략) 가능성은 낮지만, 그녀가 돌아온다 하더라도, 그녀가 Katie라는 계정을 계속 사용할지 아니면 새 계정을 만들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 2025년 2월 14일 10시 경, 유튜브 채널에서 모든 영상이 비공개 처리되었으며, 자기소개도 지웠다.
[1] 스페인어를 잘 못한다고 언급한 적이 있기에 스페인어권 출신은 아니고, 사용하는 영어의 경우 문법이 번역기를 쓴 듯 어색한 것으로 보아 영어권 출신도 아닌 것으로 추정된다. 포스트 시간이 오전이 아닌 오후라는 걸 봤을때 아시아권일 가능성이 높으며, 친한 한국인 유튜버와 영어로 대화하는 걸 보면 한국인 또한 아닌듯 하다. 이 이상의 추측은 Katie가 언급을 해야 알 수 있을듯 하다.[2] 유명해지기 전 과거 영상들을 삭제했으므로 엄밀히 따지면 첫 번째 영상 업로드일은 아니다. 이 날짜는 'Katie'로 활동헸을 때 업로드한 첫 영상인 'I am going to k!ll your family!'의 업로드일이다.[3] 2025년 2월 16일 이후로는 조회수를 볼 수 없다.[4] 2025년 2월 14일 모든 영상이 비공개 처리되었으며 채널 소개도 삭제되었다.[5] 2025년 2월 12일 게시물이 모두 삭제되었고 팔로잉도 0명이 되었다.[6] 현재 삭제됨.[7] 자세한 내용은 여담과 FPE 문서의 Basics in Behavior 참조[8] 이 때문에 팬덤에서는 거미 종족 캐릭터로 보기도 한다.[9] 추측이지만 조울증세와 유사하게 정신적으로 꽤 불안정한 상태인 듯 하다. 화날 때에는 안광이 팍 식어버린다.[10] Fundamental Paper Education 외 자작 캐릭터들(비스킷, 아노바, 에이든 등)을 다룰 때 쓰는 태그.[11] 대화를 할 때 Windows 에러 창이 뜨면서 아가사의 말인 "Hello?"가 뜨는 형식.[12] 트랜스젠더가 맞다면 아마 앨리스와 사귀기 위해서 일듯.[13] 한 팬이 앨리스는 내 것이라고 하자 "NO(안 돼)"라고 대문자로 강하게 답글을 단다던가, 한 팬이 그린 앨리스의 팬아트에 올리버가 장미를 물고 매혹적인(?) 자세로 누워 "Ok, let her eat me now(좋아, 그녀가 날 먹게 놔둬.)"라는 그림과 함께 답장하는 등 본인의 최애 자캐임을 강하게 어필한다.[14] 심지어 앨리스를 다른 캐릭터와 엮는다면 자신의 팬이 아닌 것으로 간주하겠다고 했다.[15] 이들도 두꺼운 책을 휴지자르듯 잘라버리거나 책상이나 벽을 아무렇지도 않게 부수는 것을 보면 인간의 수준을 아득히 능가했다.[16] 해당 일러스트에 같이 등장하는 아가사가 가장 유력하다.[17] 예시로 Fundamental Paper Education에서는 'We love Alice'라고 적힌 낙서나 Miss Circle의 대사 "Don't go to Alice's room!" 등에서 Alice라고 불리는 것을 볼 수 있다.[18] 간단하게 평범한 인간이 아니라는 암시를 주는 이름 덕에, 2차 창작 자작 캐릭터들 중 앨리스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들은 대부분 Δlice처럼 이름이 리트로 치환되는 클리셰를 따른다. 타락한 애비(Abbie)에게 'Δbbi3'라는 이름이 붙는 게 예시이다.[19] Machine girl과 They look happy[20] Katie가 she라고 지칭하였다.[21] 현재까지 공개된 Katie의 캐릭터들 중 최장신이다.[22] 이 표지판이 바로 Katie의 프로필 사진이다.[23] 영상의 설명창을 보면 'Cruel but still loves cats(잔인하지만 고양이를 좋아한다)' 라고 쓰여 있다.[24] 사실 저 영상을 업로드한 때는 모스부호 밈이 유행했던 시기라서 밈으로 올렸을 확률도 있다.[25] 비비안이 sister라고 칭하였다.[26] 1분 5초[27] 'sister'라고 칭했기에 둘 중 누가 언니인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28] 하지만 반대로 시스터가 비비안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없는 걸로 보아 서로를 혐오하는 관계는 아닌 듯하다.[29] 현재 디자인에서는 뿔이 있는 지 확인이 안됐다.[30] 클레어와 펜이 주로 등장하는 숲과는 별개의 숲인지는 불명이나 굳이 눈 덮인 숲이라고 따로 부르는 것과 판타지 세계관임을 고려하면 다른 장소일 가능성이 높다.[31] It's too cold outside[32] "It's still cold today❄️"[33] "Warm nights📚"[34] 에이든은 주로 남자에 쓰이는 인명이다.[35] 성인 제한[36] 살아있는 캐릭터는 탈출조차 못 하도록 한 손과 양 발을 절단해놓았다.[37] "⚠️"[38] "Warm nights📚"[39] 팬들과의 소통에 소극적인 편인 Katie가 적극적으로 반응했던 극히 드문 사례이다.[40] "Nameless Werewolf?"[41] "He looks so silly"(유튜브 게시글)[42] "Yum!"(성인 제한)[43] 케이티와 코너의 과거로 보이는 모습들과 신규 캐릭터 에이든에 관한 것들[44] "🧀"[45] 이 때문에 분위기가 후술 할 이름없는 늑대인간과 비슷하여 종종 두 캐릭터를 혼동하는 경우가 있다.[46] Nameless Werewolf?[47] 이름 없는 늑대인간이 등장하는 일러스트 (1/2)[48] 이름 없는 늑대인간이 등장하는 일러스트 (2/2)[49] 밀러, 비비안, 크레이지, 스캐리추정[50] 1분 5초 부터 시스터, 펜과 구 디자인의 다니엘, 아노바, 클레어, 비스킷이 짧게 지나간다.[51] 덕분에 유튜브에서 공식적으로 만든 유명 인디 애니매이션의 재생 목록인 'Set in motion'에도 포함되어 있다.[52] 앨리스와 일부 기타 캐릭터(시스터, 비비안, 스캐리, 바포메트, 밀러)의 모든 일러스트[53] Katie가 엄연한 미성년자이며 자신의 캐릭터로 NSFW를 그리는 것을 싫어했음을 감안하면 정말 말도 안되는 짓이다. 때문에 진정한 팬이 아닌 안티팬이거나 원작자를 생각하지 않는 극성팬으로 추측된다.[54] 번역본의 풀버전은 Edgyaludon 문서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