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6 17:41:25

HLKZ-TV

대한방송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1f2023> 파일:HLKZ-TV 로고.pngHLKZ-TV }}}
국가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개국 1956년 5월 12일
폐국 1961년 10월 15일
구분 지상파 방송
유형 민영방송
본사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일대로 385-1 (관철동, 동일빌딩)
채널 TV HLKZ-TV
HLKZ-TV, VHF-High 채널 9
장르 종합편성채널
'''''' 화질 CCIR System M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10101,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525-line/60㎐)]
음향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10101,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모노럴 사운드(WBFM))]
모기업 한국RCA
(1956년 5월 12일 ~ 1957년 5월 11일)
한국일보
(1957년 5월 12일 ~ 1961년 10월 15일)
후신 KBS 1TV

1. 개요2. 특징3. 역사
3.1. 개국 배경3.2. 개국
3.2.1. 개국식
3.3. KORCAD-TV의 경영난과 한국일보의 인수
4. 편성5. AFKN과 HLKZ-TV6. HLKZ와 드라마
6.1. 한국 최초의 TV 드라마 <천국의 문>
7. 폐국8. 기타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최초의 텔레비전 방송국이자 최초의 상업방송국. 1956년에 개국했다가 1961년국영 서울텔레비전방송국(KBS-TV)에 채널 9번을 회수함으로써 폐국됐다.

2. 특징

한국RCA(KORCAD)에서 만든 방송사다. 텔레비전 방송은 NTSC식 방식을 채택했고, 세계에서는 15번째, 아시아에서 4번째로 개국했다. 서울을 가시청권으로 한 이 방송은 처음부터 경영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다. 1957년 5월에 한국일보 사주에게 양도되어 DBC(대한방송)로 개편하고 미국식 상업방송에 충실한 종합편성을 했다. 그러나 1959년 2월 화재로 시설이 완전 소실되자 AFKN-TV의 도움을 받아 겨우 방송을 하다가 결국 1961년 개국하는 KBS-TV에 채널 9와 제작 요원들을 대부분 넘겨주고 문을 닫는다.

HLKZ-TV의 약사(略史)는 다음과 같다.
HLKZ라는 이름은 호출부호를 그대로 채널이름으로 붙인 것이다. 방송용 호출부호는 전 세계적 공통 규정이 있다. 남한은 HL을 부여받았고 북한은 HM을 부여받았다.(다만 잘 쓰지는 않는듯.)[2] 각 방송사는 각 채널별로 자사의 표준방송 호출부호를 뒤에 덧붙여 채녈 호출부호로 쓰고 있다. KBS 1TV는 HLKA-TV를, KBS 1라디오는 HLKA-SFM, KBS 1FM은 HLKA-FM의 호출부호를 사용하는 식이다. 지금은 폐국된 동양방송은 HLKC를 사용했으며[3], MBC는 HLKV, SBS는 HLSQ를 사용하고 있다.[4][5]

3. 역사

3.1. 개국 배경

한국인 앞에 최초로 TV가 모습을 드러낸 것은 1954년 초였다. 카메라가 잡은 시내 풍경을 TV 수상기를 통해 보여주었다곤 하지만, 당시엔 ‘진열대’에 디스플레이된 ‘전시품’ 수준에 그쳤을 뿐이었다. 그러던 것이 1956년 들어 경성방송국의 방송기술자였던 황태영이 주도하여 HLKZ-TV가 개국했다. 황태영은 이리방송국의 방송기술자였으나, 단파방송 사건으로 유죄 판결을 받고 이리방송국 기술과장 자리에서 물러나게 된 후 통신기기 제작업을 운영하였고 광복 후에는 미국 RCA 한국 총대리점[6]도 경영하게 되었다(유병은, 1988).

한국방송이 6.25 전쟁1.4 후퇴 때 부산에서의 피난생활을 끝내고 서울로 환도해 방송 시설의 복구와 방송 장비 현대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황태영은 RCA 제품인 우수 방송 장비의 납품업자로 활약한 바 있었다. 황태영은 1954년 공보처의 의뢰를 받고 KBS의 기자재를 도입하러 미국에 갔다가 뉴욕의 한 호텔에서 TV를 처음 접했다. 그는 ‘TV의 마력’에 빠졌고, 한국에도 TV 방송을 차려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황태영은 RCA 사장과의 담판을 통해 RCA로부터 받을 예정이었던 커미션을 현금 대신 TV 기자재로 받아 HLKZ-TV를 설립했던 것이다. 이에 자신이 RCA 본사로부터 받을 수수료를 담보로 한국에 TV 방송국을 세울 방송 장비를 외상으로 달라고 RCA 사장에게 건의했다. RCA 사장은 TV 방송 장비를 팔면 TV 수상기의 판로도 자연히 개척하게 되는 일거양득의 재미를 보게 될 것이라고 판단해 TV 방송국 건설용 장비를 외상으로 주고 기술도 제공하기로 승낙했다. 이렇게 1955년 봄, 종로네거리 동일빌딩 RCA 한국 총대리점 쇼윈도는 24인치 대형 흑백 TV 수상기가 첫선을 보였다(유병은, 1988).

황태영 개인의 호기심과 집념에 의해 별다른 준비 없이 초스피드로 개국하다보니 HLKZ-TV는 개국부터 순탄치 않았다. 개국식을 거행하는 날까지도 TV 방송국 허가서가 교부되지 않았고, 결국 개국식 시작 직전에서야 교부되었을 만큼 이른바 ‘날림 개국’의 징후가 농후했다[7](유병은, 1998). 하지만 그런 날림 개국에도 불구하고 HLKZ-TV는 개국식 때 세종대로 네거리를 비롯해 서울역, 파고다공원 등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공공장소에 30여 대의 대형 수상기를 설치해 사람들의 이목을 끌어 모으는 데 성공했다.

3.2. 개국

한국 최초의 텔레비전 방송은 1956년 5월 12일 선보인 KORCAD(Korean RCA Distributor)의 HLKZ-TV다. 이 텔레비전 방송은 NTSC식 방식(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method)을 택했으며, 세계에서는 15번째이며, 아시아에서 4번째로 개국한 것이다. 이 방송사는 속칭 '종로방송국'으로 불렸다.

영상출력 0.1㎾, 채널 9번이었다. 스튜디오는 50평짜리 단 1개였으며, RCA제(製) '이미지 · 올시콘' 카메라 2대, '비디콘' 카메라 1대, 슬라이드 영사기와 16mm영사기 각각 1대, 송신시설이 있었다. 실내조명은 40W 형광등 250개와 백열구 500W, 1000W 대형 전구 총 30개였으며, 동일빌딩 옥상에 높이 30미터의 TV 송신 안테나를 세웠다.

1956년 6월 1일부터 정규방송이 시작되었다. 격일 방송으로 저녁 8시부터 10시까지 2시간씩 방송되었다. 11월 1일부터 금요일만 빼고 매일 2시간씩 방송을 내보내기 시작했다. 시청시간대는 프라임 타임인 저녁 8시에서 10시까지였다. 하지만 TV 방송은 고전을 면치 못했다.(노정팔, 1995).

HLKZ-TV의 가시청 거리는 반경 30킬로미터밖에 안 되었다. 개국을 앞두고 가장 큰 고민거리는 TV 수상기를 수입해 팔아야 하는 것이었다. 당시에는 TV 수상기는 사치품으로 분류, 180%의 높은 통관세를 부과한 고가 상품으로 서민들에게는 그림의 떡이 될 수밖에 없었다. 24인치의 가장 큰 수상기는 47만 환, 21인치는 43만 환, 17인치는 39만 환, 14인치가 34만 환, 가장 작은 8.5인치가 19만 환이었는데, 당시 쌀 한 가마니에 18,000환 정도였고 공무원 급여가 월 2만환대였고, 일반인들은 그 보다 훨씬 못받았던 시절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터무니없는 사치품에 가까웠다. 그래서 고심 끝에 서울 시내에서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 즉 사직공원, 파고다공원, 명동 입구, 서울역 광장, 광화문네거리, 동대문운동장 등 총 20여 곳에 24인치 대형 TV 수상기를 설치해 활동사진을 겸한 무료 방송을 보여 주었다(유병은, 1988).

당시 TV는 오늘날과는 달리 공용매체였고, 가정집에 TV가 있으면 동네에서 TV가 있다고 사람들이 모여서 TV있는 집주인이 유세를 떠는것이 당연한 시대였다. 따라서 이른바 시청률 계산도 비교적 간편했다. 당시 시청률 조사는 시내 주요 번화가 40여 개 지점에 수상기를 설치한 후, 여기 모여드는 군중의 규모를 보고 가늠하는 수준이었다(강태영·윤태진, 2002). 한국 최초의 텔레비전 드라마 PD로 개국을 지휘한 최창봉은 “매일 밤 프로그램을 연출하는 도중에도 부조정실 창 너머로 넘겨다보이는 종각 옆 수상기 앞에 모여든 시민들의 머릿수를 헤아리며 많이 모였을 땐 신나게, 적게 모였을 땐 맥이 풀린 채 방송을 진행했다.”라고 말하며 당시 TV방송의 환경을 이야기했다.

3.2.1. 개국식

HLKZ-TV는 1956년 5월 12일 저녁, 아악(雅樂)[8]인 '만파정식지곡(萬波停息之曲)'[9]으로 개국식을 치렀다. 미술담당인 민병욱이 밤새 만든 궁전 뜰 모양의 세트에서 전통복장을 한 연주단이 '만파정식지곡'을 연주했다. 만파정식지곡에 이어서 민속무용단의 승무가 방송되었고, 뒤를 이어 박시춘이 지휘하는 악단 연주에 맞추어 현인, 남인수, 백설희 등이 노래를 불렀다. 그렇게 저녁 7시 30분부터 9시 30분까지 2시간 동안 한국 최초의 TV방송이 계속되었다.

이날 방송계 통틀어 첫 광고가 나갔는데, 영창산업의 유니버셜 레코드 광고였고 슬라이드 형식이었다. 당시 해당 업체가 스폰서를 맡은 <유니버설 레코드 아워> 시간에 나온 것이다.(기사, 제작자 최병수의 인터뷰)

3.3. KORCAD-TV의 경영난과 한국일보의 인수

서울을 가시청권으로 한 이 방송은 처음부터 경영난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HLKZ-TV는 민영방송으로 주 수입원이 광고가 되어야 했는데, 당시 한국 경제 사정은 매우 열악해 광고에 의존하는 데 한계가 있었기 때문이었다.[10]

광고 수입에만 의존하는 순수 민간 상업방송인 HLKZ-TV는 OB맥주, 크라운맥주, 경성전기회사[11], 천도제약[12], 수도피아노 등 극히 소수의 광고주에게만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결국 막대한 적자에 허덕이다가 1957년 5월 6일 자로 대한방송주식회사 장기영(당시 한국일보 사장)에게 넘겨주게 되어 'DTV'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바뀌면서 KORCAD-TV는 사라지게 되었다.

장기영은 KORCAD를 DBC 대한방송으로 이름을 바꾸고 DBC의 광고를 늘리기 위하여 자매기관인 한국일보 광고국에서 광고를 지원함에 따라 스포츠 경기 중계나 3·1절 혹은 광복절 중계, 시청자 참여 공개 방송 등도 하게 되어 방송국의 기틀이 잡히게 됐다.

4. 편성

개국 당시 편성은 매일 저녁 8시에서 10시까지 2시간 방송으로 출발했으며, 두 달 후인 7월부터는 평일 3~4시간, 주말 5시간으로 확장되었다. 뉴스, 어린이 프로그램, 주부 시간, 교양 강좌, 스포츠, 퀴즈, 공개 오락쇼, 드라마 등이 당시에 편성된 프로그램들이다. 뉴스는 통신을 받아 아나운서가 읽어 주는 식이었으며, 모든 프로그램은 부문을 막론하고 생방송으로 진행되었으며, 광고 역시 생CM이었다(오명환, 1995). 참고로 최초의 아나운서는 현재 미주방송인협회 명예회장으로 있는 김봉구씨.

KORCAD의 편성 특징을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박기성)

1957년 5월에 한국일보 사주 장기영에게 양도되여 DBC(대한방송주식회사)로 개편할 즈음 프로그램 편성에도 일대 변화가 있었다.(오명환)

처음에는 한국일보 관계자가 이해하지 못해서 방송편성에 파행이 일부 있었지만 장기영이 미국에서 유학하다 온[15] 최창봉과 대화를 나눈 후에 방송인 출신에게 전권을 주기로 하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방송 체계를 갖출 수 있었다.

당시 방송관련 사진들과 자세한 정보는 여기에서 찾아볼수 있다.

5. AFKN과 HLKZ-TV

AFKN(American Forces Korean Network)의 텔레비전 방송은 이미 1년 전에 개국했지만 경험이 많지 않았던 HLKZ-TV의 제작진에게 적지 않은 도움이 되었으며 많은 연구 자료를 제공해 주었다(한국방송공사, 1987). 게다가 AFKN의 대형 스튜디오 신설과 자체 생방송 제작이 이루어진 지 한 달이 지나 일어난 HLKZ-TV 방송국 화재는 한국의 텔레비전 초창기 역사에서 AFKN의 역할을 한층 더 돋보이게 했다.

AFKN은 불의의 화재로 방송 시설을 모두 잃어버린 HLKZ-TV 제작진에게 비록 하루에 30분간씩이나마 임시 방송을 할 수 있도록 채널과 스튜디오를 대여해 주었다. 만약 AFKN 생방송 체제가 이뤄지지 않았다면 HLKZ-TV는 화재와 동시에 그 방송의 명맥마저 영영 끊겨 버리는 상황에 직면할 뻔했다. 그런 점에서 AFKN은 주한미군들을 위한 방송 제작·송출이라는 본래의 목적에 추가하여 대한민국의 TV방송 초창기에 발전을 돕고, TV 수상기 보급에도 적지 않은 영향과 도움을 주었다는 평가를 받는다(한국방송공사, 1987).

6. HLKZ와 드라마

6.1. 한국 최초의 TV 드라마 <천국의 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천국의 문(드라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폐국

그렇게 TV 수상기 보급도 나름대로 늘어나고[16] 광고도 많아지면서 경영에 어느 정도 숨통이 트이는가 싶었으나......

1959년 2월 3일 오전 1시 방송국 건물 2층 난방기에서 합선으로 인해 불이 나서 2~3층 전체를 불태웠다. 다행히 방송국이 보험에 들어서 부활(?)이 가능할 것으로 보였으나 현실은 시궁창. 아무리 광고 수익이 있어도 아직은 빚이 많은 DBC의 임원들과 주주들이 그냥 보험금을 빚갚는데 쓰기로 한 것이다. 장기영 사장은 방송국이 재건되기를 원했지만, 어차피 텔레비전이 상류층의 전유물이었던지라 텔레비전의 파급력이 미약했을때이니[17] 결국 주주의 뜻에 따랐다. 그나마 AFKN에 부탁해서 7시부터 30분동안 임시방송했는데 무광고로 내보냈으니 돈이 될리는 없었고, 결국 1961년 10월 15일 DBC 사장의 인사와 문화명화[18] '무궁화 새로 피네'를 끝으로 5년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이후 운영권은 2개월 후인 1961년 12월 31일에 개국한 국영 서울텔레비전방송국(KBS-TV)으로 넘어갔고 본격적인 텔레비전 방송의 시대를 열게 되었다. 여기에 소속된 직원들과 배우들은 새로 개국한 방송국으로 이적하였고, 일부는 KBS를 거쳐 동양방송(TBC-TV)과 문화방송(MBC-TV)의 개국과 함께 이적하였다.

이 방송사 출신의 방송인으로는 전술한 최창봉과 이기하 외에 김봉구 아나운서, 최덕수 PD(전 대광기획 대표), 홍의연 PD(전 강릉MBC 사장), 오승룡[19] 엔지니어(전 KBS 시설국장), 신면식 카메라맨(전 MBC 영상미술국 영상제작위원), 배우 이순재, 김영옥, 전계현 등이 있다.

8. 기타


[1] 당시 신고를 늦게 한 탓에 모두 소실되었다. 퓨즈가 직접 탄 것으로 보아 그 옆에 있는 난로에 의해 탄 것으로 추정된다.[2] 그리고 북한에 새로 할당되기 전에는 대한민국이 HL과 HM을 모두 부여받아 사용했는데 일례로 1956년 12월에 개국한 국제복음방송(한국극동방송의 전신)은 54년 무선국을 허가 받을 때 HMBN으로 허가받았다.[3] 언론통폐합 이후 송신소, 주파수, 호출부호 등의 물적 자산은 KBS로 넘어가 1996년까지 KBS 2TV(HLKC-TV), KBS 제3방송KBS 제2라디오KBS 제3라디오(HLKC), KBS 2FM(HLKC-FM)으로 존속되었다. 2라디오 혼자 호출부호가 달랐던 이유는 태생 자체가 서로 다른 방송국이었던 흔적인 것. 1997년부터는 구 KBS 제3라디오를 제외하고 모두 HLSA 계열로 통일했다.[4] 여담으로 SBS가 새로 부여받았던 HLSQ는 본래 KBS 흑성산 TV 중계소에서 쓰던 부호였다.[5] 다만 1998년 전기연감을 살펴보면 현재와 호출부호가 달랐던 지역이 많았던 편이었는데, 당시에는 호출부호 규정이 좀 달랐던 것으로 보여진다.(예시로 KBS 1라디오 표준FM은 HLKA가 아닌 HLCK-SFM이었으며 MBC는 아예 표준FM을 뜻하는 -SFM 대신 일반적인 FM방송에 붙는 -FM을 적용했다. 그리고 KBS 1TV는 HLCK-TV였다.) 이후 1999년 전기연감(480~482p)을 통해 표준방송 중심으로 부호를 단일화했음을 알 수 있다.[6] 현 서울 보신각 오른쪽 마당 위치[7] 실제로 방송 주무기관인 공보처에서 방송국 설립 허가를 안 내주니까 이승만 대통령에게 영어로(!!) 청원을 해서 통과시켰다(!!). 역시 의지의 한국인[8] 국악의 클래식 분야라 할 수 있는 정악.[9] '만파정식지곡'은 '취타(吹打)'라는 이름으로 많이 알려져있다. '취타대'라고 하는 연주단이 걸어가면서 연주하는 것으로 주로 행진곡으로 많이 사용하는 곡이다.[10] 참고로 당시에 프랑스, 소련같은 강대국들도 TV가 대중화 된것은 1950년대의 일이고 당시 후진국을 갓 벗어났던 일본은 1960년대나 돼서야 대중화가 되었다 세계최강대국이라는 미국도 이제 TV가 대중화 된지 10년쯤 되었다. 선진국들도 TV가 사치품 취급을 받았을 지경인데 한국에서 TV가 널리 대중화될리가 없었다[11] 이 방송국이 화재사고로 폐국된 직후 현재의 한국전력공사로 출범했으며 이 회사는 훗날 개국한 YTN의 최대주주가 된다.[12] 1949년 설립된 대한민국 역사상 최악의 막장 제약회사이다. 이 방송국이 폐국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경영진들이 구속되면서 도산되었다.[13] 다만, 여기서 생각해야할 것이, 6.25 전쟁이 종전된 지 겨우 3년 뒤에 생긴 방송사인데다가 애초에 대한민국 방송계가 걸음마 단계였던 때였으니 법적인 제반 규정이 존재하지 않았다.[14] 보도 부문도 어쩔 수 없는 것이, 그 미국도 1950년대에 들어서야 방송사가 독자적인 뉴스리포팅을 시작하던 단계였다. 여전히 신문사나 취재원(agent)의 도움이 있어야 뉴스를 진행할 수 있었다.[15] 당시 미국은 텔레비전 방송에 있어서 다른나라들이 따라올수없는 최첨단을 달리던 나라였다. 전후 경제붐에 따라 텔레비전이 일찌감찌 대중화 되었고. 소수의 부자들이나 보던 것이기는 했지만 컬러텔레비전 방송도 이미 시작되었다. 지금도 파급력이 세지만 당대에는 TV프로그램 제작에 있어서 미국을 따라올수있는 나라는 전혀 없었다고 할수있었다. 텔레비전 방송 자체는 영국, 독일, 프랑스가 더 일찍 시작했지만 아무래도 전쟁의 직격탄을 맞았던지라 미국보다 다소 발전이 더딜수밖에 없었으니... 그런 상황이다 보니 방송연수하고 오기에는 그야말로 적격이었던 셈이었다.[16] 그래봤자 하루에 약 3~5대 정도 판매되는 정도였지만 한국전쟁 이후 불과 10년이 지난 시절이었음을 감안하면...[17] 참고로 1959년은 라디오가 TV 수준의 대접을 받던 시기였다.[18] 문화명화라고하니까 예술 영화로 보이지만, 해당 영화는 그런 개념의 예술 영화와는 거리가 멀며 콘서트 촬영 영상이나 음악 프로그램이나 예능 프로그램을 녹화 촬영한 영상을 보여주는 것에 가깝다. TV가 별로 보급되지 않았던 1970년대 이전에는 국립영화제작소에서 현대의 예능 프로그램 촬영하듯이 콘서트나 재담을 촬영한 다음에 날잡아서 시골 순회 상영을 했다. 비록 TV용으로 제작된 것은 아니지만 TV 방송 영상이 빈약한 당대의 예능 프로그램이 어땠는지 알 수 있는 참고자료이기도 하다.[19] 성우 오승룡과는 동명이인.[20] 전 KBS 제주방송총국장 및 관재국장 이장춘(李長椿, 1941~, 현 방우회 이사)의 블로그이다. 참고로 이 블로그에는 과거 한국의 방송과 관련된 귀중한 자료들이 많이 보관되어 있다.[21] 8½인치 TV를 제외한 모든 TV 가격이 영세 농가 연수입을 훌쩍 넘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