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7 18:31:22

KBS 제3방송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00년에 개국한 라디오 채널에 대한 내용은 KBS 제3라디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1981년에 개국하고 1990년에 폐국한 텔레비전 채널에 대한 내용은 KBS 3TV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1972년 개국 및 폐국하고 사회교육방송으로 전환한 동명의 대북/대공 라디오 방송에 대한 내용은 KBS 한민족방송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KBS 로고.svg파일:KBS 로고 화이트.svg 송출 채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라디오
방송
중파
초단파
파일:KBS 1Radio 로고.svg · 파일:KBS 제2라디오 로고.svg · 파일:KBS 3Radio 로고.svg · 파일:KBS 한민족방송 로고.svg · 파일:KBS ClassicFM 로고.svg · 파일:KBS CoolFM 로고.svg · 파일:EBS FM 로고.svg · 파일:KFN 로고.png
단파파일:KBS 한민족방송 로고.svg · 파일:KBS 월드 라디오 로고.svg
텔레비전
방송
지상파 파일:KBS 1TV 로고.svg · 파일:KBS 2TV 로고.svg · 파일:EBS 1TV 로고 2023.svg · 파일:EBS 2TV 로고 2023.svg
기타파일:KBS 월드 로고.svg · 파일:KBS KOREA.png
인터넷
방송
보도파일:KBS NEWS D 로고.svg
폐국 제3중파방송 ·라디오서울 · 파일:KBS 3TV 로고.svg · 교육 FM
† 위탁 송신, EBS 1, 2TV는 비수도권 한정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40><tablebordercolor=#fff,#2282b9> 파일:KBS 로고(1973-1984).svg파일:KBS 로고(1973-1984) 화이트.svgKBS 3Radio
KBS 제3중파방송
}}}
<colcolor=#ffffff,#2282b9> 국가 <colbgcolor=#fff,#1f2023>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전신
개국 1964년 5월 9일 (RSB 라디오서울)
1965년 8월 2일 (JBS 중앙라디오)
1966년 7월 16일 (TBC 동양라디오)
1980년 12월 1일 (KBS 제3방송)
폐국 1980년 11월 30일 (TBC 라디오)
1981년 9월 6일 (KBS 제3방송[1])
채널 구분 지상파 라디오
운영 유형 민영방송 (1964.5.9-1980.11.30)
공영방송 (1980.12.1-1981.9.6)
장르 라디오 종합편성채널
호출부호 HLKC (서울), HLKB-FM[출처] (부산)
주파수
AM
639㎑ (수도권)|558㎑ (대구·경북)|
1224㎑ (광주·전남)|675㎑ (전북 일부)
표준FM
97.1㎒[3] (부산·양산 일부)
언어 한국어
가청취
권역
AM
수도권, 동해안, 서해안권 (주간)
대한민국 전역 (야간)
표준FM
부산직할시, 경상남도 양산군 일부 (FM)
운영주체
한국방송공사 방송총국
당시 소속 한국방송공사

1. 개요2. 역사3. 특징

[clearfix]

1. 개요

KBS에서 1980년 12월 1일부터 1981년 9월 6일까지 방송하던 라디오 채널. 중파로만 방송했다.[4] 당시 주파수는 639 kHz.

2. 역사

3. 특징



[1] 폐국 당시 제2라디오에 흡수[출처] 1993년 전기연감(498~503p, 호출 부호는 1992년 자료) 현재는 HLKE-FM으로 바뀌었으며 HLKB-FM은 같은 지역 음악FM이 쓰고 있다.[3] '라디오 부산'이라는 애칭이 있었으며 서울 본사 '라디오서울'과 대응하는 의미에서 작명한 것으로 보였으나 얼마 못 가 채널 자체가 사라졌다.[4] 표준FM방송은 부산에서만 진행.[5] 천주교 계열. 설립 준비 당시의 과정에서 일본의 '분카 방송'처럼 천주교(중에서도 '성 바오로 수도회')가 일정 부분 관여했다.[6] 이재형을 회장으로, 이병철 삼성그룹 회장과 구인회 럭키금성그룹 회장, 그리고 조병학을 이사로 추대했다.[7] KBS 라디오서울과는 명칭만 동일하다. 정확히는 '라디오서울' 부분.[8] 우선 본디 허가된 출력보다 더 높은 출력으로 송신하고 있었던 게 문제였다. 또한 라디오서울 철산송신소와 당시 1230 kHz로 방송했던 DBS 동아방송 개봉송신소 송신탑 사이의 직선거리가 고작 700m밖에 되지 않아 혼신이 많이 생겼던 관계로 정상적인 송출이 거의 불가능했다.[9] 본래는 문화방송(현재의 부산문화방송)이 서울 진출을 위해 1958년 가허가 받았던 호출부호였으나 한 차례 좌절되면서 유휴 상태로 놓여있다 라디오서울이 넘겨받았다. 이후로도 문화방송은 1961년 HLSB로 호출부호를 새로 받고 다시 서울 진출을 시도했으나 재정난으로 또 다시 고배를 마시고 신규 허가 대신 기존 방송면허를 인수하는 쪽으로 방향을 선회한다.[10] 기존 JBS에서 TBC로 바꾼 경위에 대해 재밌는 썰이 있다. 동양방송/역사의 개국 문단 참조.[11] 아메리카 대륙은 10 kHz 간격 유지.[12] 제3방송을 흡수한 이후 'KBS 제2라디오'로 개칭한다.[13] 구 라디오서울 → JBS → TBC 철산송신소.[14]동아방송-KBS 제4방송. 1991년 3월 11일 폐국하고, 주파수는 SBS AM 라디오에 넘어갔다.[15] 1라디오는 1TV 특집 프로그램과 스포츠 중계 프로그램을 수중계했을 때에 한해서 광고가 나왔고, FM 채널과 교육라디오는 일절 광고를 안 했다. 사회교육방송(현 KBS 한민족방송)은 공영방송사 대북방송이라 이 역시 광고가 없다.[16] 송해 선생이 1975년부터 무려 14년간 DJ를 맡았다.[17] 동아방송(DBS)은 언론통폐합 이전에는 명랑교차로라는 출근길 교통정보 프로그램을 방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