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31 00:55:39

FSP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버츄얼 유튜버 기획사에 대한 내용은 FIRST STAGE PRODUCTION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Fortron Source Power
<nopad> 파일:fsplogo.png
<colbgcolor=#043591><colcolor=#ffffff> 기업명 FSP Technology Inc.
설립 1993년
국가
[[대만|]][[틀:국기|]][[틀:국기|]]
본사 No. 22, Jianguo East Road, Taoyuan District, Taoyuan 330, Taiwan
대표자 야오원춘(姚文春)
유형 상장회사
제품 파워 서플라이
증권코드 TWSE : 3015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제품 목록
3.1. 파워서플라이
3.1.1. Mainstream3.1.2. Professional3.1.3. Premium3.1.4. Mini3.1.5. 단종 제품
4. 기타
4.1. 다나와 미노출

[clearfix]

1. 개요

대만파워 서플라이 제조회사. 가장 많은 80Plus 인증을 받은 업체로도 나름 유명하다. 2000년대 중국산 저질 뻥파워들이 점령해버린 한국의 파워서플라이 시장에서 제대로 된 파워들을 대표하는 롤모델이기도 했다.

2. 상세

자체 제조와 더불어 OEM/ODM 방식으로도 수많은 판로를 열어두었으며, 삼성전자, LG전자 등의 한국의 대기업 완제품 PC 제조업체에도 ODM 형식으로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삼성 매직스테이션은 대부분 뜯어보면 FSP 아니면 Acbel이었으나 2010년경부터 히로이찌로 변경되었다고 한다. 보통 완제품 PC 납품용은 200W~250W의 출력이 표기되지만, 실 출력은 300~350W 정도이다. 표기출력이 낮게 표시되는 건 완제품 PC이기 때문에 최대한 안정성만 고려해서 임의로 낮추기 때문. 그렇다 보니, 출시된지 3~4년 이상이 지난 PC를 해당 모델에서 구성 가능한 최고사양으로 업그레이드하고자 하는 고객의 문의가 들어오게 되면 상담원한테로 부터 업그레이드를 사실상 단념하는 쪽으로 유도하는 듯한 답변을 받게 된다. 특히, Dell이나 HP, Lenovo, ACER 등의 해외 완제품 PC 제조업체들은 아예 모듈선은 모듈선대로, 파워 규격은 파워 규격대로 ATX, SFX, TFX가 아닌 독자 규격을 고집한 모델들이 있는 등 표준을 준수하는 파워로 교체하기가 거의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이다.

FSP의 장점은 뛰어난 가성비와 낮은 초기불량률로, 2000년대엔 10만 원대 이하의 보급형 파워 서플라이 시장에서 절대본좌이던 시절도 있었다. 2009년 출시한 APN 시리즈는 컴갤에서도 푸쉬를 받았다. 효율이 82%에 가까운데, 그도 그럴 것이 이 APN 시리즈는 원판이 80Plus 브론즈 등급이다. 스파클에서 새로 라인업을 꾸리면서 국내용 220V 전용으로 출시하였기 때문에 인증을 붙일 수 없을 뿐이다. 참고로 80Plus는 프리볼트 기능이 없으면 OEM/ODM으로 생산되더라도 인증을 붙일 수 없다.

그러다 2010년대 초반 들어 이상하게 초기불량률이 높아진 것도 있고, 결정적으로 여러 파워 회사들이 FSP-APN 시리즈가 승승장구하는 것을 본받아 제법 가성비 좋은 보급형 제품들을 많이 출시하면서[1] 절대본좌 자리에선 내려왔다. 물론 여전히 괜찮은 파워서플라이 회사로 평가받는다. 다만 고가형 파워의 경우에는 Delta, CWT 등에서 만든 파워와 이들의 ODM 제품인 ANTEC, 에너맥스에 밀린다. OEM으로 뽑는 제품은 최고급이지만 자체 제작은 한두 개 문제가 있다는 평. 당시 FSP의 중고가 라인을 담당하던 제품군인 엡실론과 에베레스트의 품질이 최고급 하이엔드 제품이라기보단, 어느정도 믿을 수 있는 퍼포먼스급 파워 서플라이 정도라서 AURUM 시리즈를 새로 내놓기 전까지는 그냥 가성비는 좋은 파워 수준에 머물렀다. 하이드로 시리즈 이후로는 꽤 개선된 편.

오히려 다른 제조사들도 보급형에 신경을 쓰면서 보급형 가성비는 고만고만하나 골드~플래티넘급 라인에서 선호도가 높아졌다. HYDRO G 이상급 모델은 타사의 같은 가격대 제품과 비교했을 때, 부품 구성이 알차게 잘 되어있다는 평. 비슷한 가격대의 시소닉의 포커스 시리즈가 성능과는 별개로 심한 원가절감으로 비판이 나오는 것과 비교된다. 다만 고급형 제품의 풀로드시 전압변동은 살짝 아쉽다는 평을 받는다. 그 외 다른 지표는 상급기답게 매우 좋은 평가를 받는다. Delta도 있으나 500W 모델의 스캔들도 있고, FSP에 비해서는 좀 더 비싸다. 보급형도 내부 구성을 따져보면 여전히 가성비는 제일 좋은 수준이다. 단일품종 대량생산이 가능한, 얼마 안 되는 대규모 파워서플라이 제조업체라서 그런 듯.

일부 듀얼 레일 제품의 경우 레일 분배가 제대로 되어있지 않아 12V 출력을 18A로 잘라버리는 문제가 있다. 특히 HEXA 제품군 중 일부 초기형 모델은 거의 뻥파워로 낙인찍히다시피 했는데, 레일당 18A면 충분한 것 같지만 레일당 216W밖에 공급하지 못하는 관계로 고성능 그래픽카드를 달면 OCP가 작동하여 재부팅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한쪽 레일에 6+2핀과 SATA, 20+4핀 등을 모두 몰아서 연결하고, 다른 한쪽 레일에다가는 4+4핀만 연결했다.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CPU가 200W씩이나 먹을 일은 없을 테니 차라리 6+2핀만 독립적으로 연결하는 편이 나았다. 괜히 싱글 레일을 찾는 게 아니다.

이걸 가장 극명하게 체감할 수 있는 사례는 295x2. 8+8핀 구성이라고 냅다 기본으로 딸려 나오는 케이블만 대충 꽂아 쓰면 웬만한 멀티레일 파워에선 100% 재부팅. 물론 그냥 퍼포먼스급까지는 쓰는 데 별문제 없으니깐 바꾸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FSP HEXA 시리즈 같은 경우 GTX 980 혹은 R9 NANO나 R9 380까지는 쓰는 데 문제가 없다. 후에 HEXA+로 어느 정도 개선이 되긴 했지만, 레일 분배 문제는 여전해서 VGA 전력 소모량이 충분하지 못하기는 마찬가지였고 그 결과 고성능에도 저전력을 잡아먹는 NVIDIA의 GTX 900번 대 그래픽카드를 찾는 사람들이 크게 늘었다. 결국 출시 당해인 2014년 11월에 개선판을 내놓고 이후에 나온 HEXA+ II 및 HEXA 85+, 2018년에 나온 HYPER K까지 모두 싱글 레일이다. 현재 발매되는 FSP 파워들은 싱글 레일이 주력이니 맘 놓고 사면 된다.

3. 제품 목록

국내 유통중인 일반 소비자용 제품 위주로 서술한다.

3.1. 파워서플라이

특이하게 프리볼트를 지원하는 모델을 내놓고 있다. 어지간하면 FSP는 OCP, OVP, OPP, SCP 정도는 챙겨 넣으려는 모습을 보이다 못해, 고급형 제품에는 컨포멀로 기판 내부를 코팅하기도 하며 업체 측 주장으로는 원래 산업용 파워에 적용하던 코팅인데 처음으로 고급형 리테일 제품에 적용한 것이며 습기에 대한 저항성을 높여서 파워 제품의 고장률을 줄이기 위한 것이며 일반적인 상황에서 코팅이 쉽게 벗겨지지 않으며 벌써 테스트도 철저히 하고 적용한 거라고 설명하고 있다. 파워 서플라이에 쓰이는 보호 회로는 크게 아래와 같은 종류가 있다.

마이크로닉스의 Classic II를 시작으로 국내에서 판매되는 가성비 메인스트림에선 Hyper 제품군이 가장 인기 있는 편이며 괜찮은 효율과 내구성, 사후 지원으로 입지를 톡톡히 하고 있다. 그에 반해, 하이엔드 제품으로 갈수록 압도적인 효율성과 모듈러 케이블 등을 이용한 튜닝성을 자랑하는 시소닉, ANTEC, SuperFlower 등 강력한 경쟁사 제품으로 기우는 쪽. 더군다나 EVGA의 Supernova 제품군 등의 쟁쟁한 상대가 있어 선택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특이한 디자인이나 RGB LED, 수랭 등의 기행으로 눈길을 끌어도 Thermaltake의 ToughPower 제품군이나 ASUS의 ROG 파워 제품군에도 밀리는 편. 특히나 가장 지적받는 점은 팬 특유의 소음이지만, 한동안 슬리브 베어링을 고집하며 고칠만한 태도를 보이지 않다가 점점 FDB로 갈아타며 소음에도 신경 쓰는 모습을 보이려고 한다.

3.1.1. Mainstream

+12V 싱글 레일을 채택한 케이블 일체형의 일반적인 제품군. 올블랙의 플랫 케이블이라는 외형적 특징과 함께 80Plus 230V EU 스탠더드 효율 인증, 대기전력 0.5W 미만의 2013 Erp/Eup 인증 및 액티브PFC 적용, IEC62368 인증과 함께 최소한의 보호 회로[2]를 채택해 효율과 안정성을 높였다. 독특하게 여전히 FDD 커넥터를 제공한다. 120mm의 라이플 팬을 적용한 것이 단점.
파일:fsp-hyperk.jpg
HYPER K 시리즈
규격 ATX
쿨링팬 120mm, 슬리브 베어링[3]
출력 500, 600, 700W
효율성 인증 80+ Standard
보호 회로 OCP, OVP, SCP
80Plus 스탠더드급 효율의 평범한 엔트리급 제품. 올블랙의 플랫 케이블을 적용했고, 20+4핀의 형태를 지녔던 메인 케이블이 2018년도 11월부터 24핀으로 변경되었다.
파일:fsp-hyperkpro.jpg
HYPER K PRO 시리즈
규격 ATX
쿨링팬 120mm, 슬리브 베어링[4]
출력 500, 600, 700W
효율성 인증 80+ Standard
보호 회로 OCP, OVP, OPP, SCP
효율이 높아지고 보호 회로, 기판이 강화된 HYPER K의 후속작. +12V 가용률이 향상되고 더 좋은 품질의 컨덴서로 바뀌었다.
파일:fsp-hydrok.jpg
HYDRO K 시리즈
규격 ATX
쿨링팬 120mm, 슬리브 베어링[5]
출력 500, 600W
효율성 인증 80+ Bronze
보호 회로 OCP, OVP, OPP, SCP
80Plus 브론즈급 효율을 자랑하는 제품. 쿨링팬 그릴이 일체형인 독특한 셸을 지녔다. Intelligent Silent Fan이라 적혀있지만, 여전히 라이플 베어링.

3.1.2. Professional

미드레인지급으로 최소 80Plus 브론즈급의 효율을 자랑하는 제품군. 부하율에 따라 쿨링팬의 동작 속도가 달라지고, 제품에 따라서는 아예 일정 부하율이 될 때까지 팬이 동작하지 않는 세미 팬리스 기능도 제공한다. 출시 일자를 생각해봐도 메인스트림 제품군에 비해 보호회로 구성이나 외형적인 특징이 다소 밀리는 애매한 점도 있다.
파일:fsp-hexa.jpg
HEXA 시리즈
규격 ATX
쿨링팬 120mm, 슬리브 베어링[6]
출력 350, 450, 550, 650W
효율성 인증 80+ Bronze
보호 회로 OCP, OVP, OPP, OTP, SCP
블랙 케이블이 아니지만, 주 전원 케이블에 슬리빙 케이블을 적용했다. 여전히 주 전원은 20+4핀 구성에 FDD 커넥터를 지원한다. 이름은 헥사인데 팬 그릴은 옥타다
파일:fsp-hydroyd.jpg
HYDRO YD 시리즈
규격 ATX
쿨링팬 120mm, 슬리브 베어링[7]
출력 550, 650W
효율성 인증 80+ Bronze
보호 회로 OVP, OPP, SCP
블랙 케이블이 아니지만, 아쉬운 대로 메시 슬리빙 케이블을 적용했다. 자동 팬 조절과 팬리스 모드를 지원한다. 여전히 주 전원은 20+4핀 구성에 FDD 커넥터를 지원한다.
파일:fsp-hydropro.jpg
HYDRO PRO 시리즈
규격 ATX
쿨링팬 120mm, 슬리브 베어링[8]
출력 500, 600, 700, 800W
효율성 인증 80+ Bronze
보호 회로 OCP, OVP, OPP, SCP
올블랙 플랫 케이블이 적용되었지만, 여전히 FDD를 지원한다.
파일:fsp-hydrogsmpro.jpg
HYDRO GSM PRO 시리즈
규격 ATX
쿨링팬 120mm, 라이플 베어링[9]
출력 750W, 550[출시예정], 650W[출시예정]
효율성 인증 80+ Gold
보호 회로 OCP, OVP, OPP, OTP, SCP
슬리빙 처리된 주 전원 케이블과 플랫 케이블을 적용한 CPU 보조전원 케이블만 연결되고, 나머지 케이블은 세미 모듈러로 구성된 제품. 웬일로 슬리브 베어링이 아닌 FDB 라이플 베어링 쿨링팬을 채택했다. 여전히 FDD를 지원한다.
파일:fsp-hydrogtpro.jpg
HYDRO GT PRO 시리즈
규격 ATX
쿨링팬 120mm, 유체 베어링(FDB)[12]
출력 850, 1000W
효율성 인증 80+ Gold
보호 회로 OCP, OVP, OPP, OTP, SCP
플랫 케이블을 적용한 주 전원 케이블과 CPU 보조전원 케이블만 연결되고, 나머지 케이블은 세미 모듈러로 구성된 제품. 독특하게 간이 파워 테스터를 제공한다. 부하율 30% 미만일때 쿨링팬이 동작하지 않는 세미 팬리스 모드를 지원한다. FDD 커넥터는 지원하지 않고, IDE 커넥터도 SATA 커넥터와 함께 단 2개만 제공한다.

3.1.3. Premium

풀 모듈러 방식의 가장 고급 제품. 보통 산업용 PCB에 적용하는 컨포멀 코팅으로 방습을 꾀하거나, 수랭 솔루션이 적용된 특이한 제품도 존재했다.
파일:fsp-twins.jpg
Twins 시리즈
규격 PS2/ATX 리던던트
쿨링팬 모듈 당 40mm 1개, 더블 볼 베어링[13]
출력 500, 700W
효율성 인증 80+ Gold
보호 회로 OCP, OVP, OPP, FPP[14]
ATX와 PS2 규격 모두에 사용할 수 있는 리던던트 제품으로 핫 스왑을 지원한다. 더불어 상태를 알려주는 인디케이터 LED가 존재하고, 전용 모니터링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모듈 방식은 아니지만, 모두 올블랙 플랫 케이블을 적용했다.
파일:fsp-hydrogpro.jpg
HYDRO G PRO 시리즈
규격 ATX
쿨링팬 120mm, 유체베어링(FDB)[15]
출력 750, 850, 1000W
효율성 인증 80+ Gold
보호 회로 OCP, OVP, OPP, OTP, SCP
내부에 컨포멀 코팅 처리를 해 내구성을 높이고 습도 95%의 환경에서도 작동하게 만든 제품으로, 찾아보기 힘든 부분적 방수 제품. 필요에 따라 세미 팬리스 기능을 켜거나 끌 수 있는 하이브리드 팬 컨트롤 스위치를 지원한다. 케이블 모두 올블랙 플랫 케이블이며, 풀 모듈러 방식을 채택했다. 감성을 위한 측면 스티커도 제공한다. 모듈 커넥터 디자인이 케이지에 각인된 방식이 아니라 스티커 방식인 건 아쉬운 점. 이 와중에 여전히 FDD 커넥터를 제공한다. 2022년도에 PCIe5.0(ATX3.0)을 지원하는 제품이 추가되었다. 한국에는 사실상 최초로 ATX 3.0 업데이트 버전이 나온 파워서플라이다.
파일:fsp-hydroptmpro.png
HYDRO PTM PRO 시리즈
규격 ATX
쿨링팬 135mm, 유체베어링(FDB)[16]
출력 750, 850, 1000W
효율성 인증 80+ Platinum
보호 회로 OCP, OVP, OPP, OTP, SCP, UVP
FSP의 플래그십 제품군. 플래티넘 등급. 괜찮은 가성비를 가진 최고급 제품으로 HYDRO G PRO에서 지원하는 내부 컨포멀 코팅 처리, 풀 모듈러 방식, 하이브리드 팬 컨트롤 스위치를 모두 지원한다. 측면 스티커도 제공. 80+ 플래티넘으로 효율은 향상되고, 저전압 보호회로까지 추가했다. 외국 리뷰에서는 적용된 유체 동압 베어링 팬의 성능과 내구력이 우수하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외형 면에서 아쉬웠던 모듈 커넥터 디자인이 케이지에 인쇄하는 방식으로 변경된 것은 덤. 아니나 다를까 이 와중에 FDD 커넥터를 제공한다. ATX 규격이지만 190mm나 되는 엄청난 길이를 갖고 있다. 다만 이 파워만한 대형 파워들도 많으니 이 제품만의 단점만은 아니다. ATX3.0 소식은 2022년 11월에 출시된다고 한국 유통사 스파클텍에서 말했다. 개발은 되었으나 여러 제품의 동시 생산에 문제가 있어 한꺼번에 출시하기 어려워서 2022년 11월로 미뤄진 거라고 들린다.
파일:fsp-hydroptmxpro.jpg
HYDRO PTM X PRO 시리즈
규격 ATX
쿨링팬 120mm, 유체베어링(FDB)[17]
출력 750, 850, 1000W
효율성 인증 80+ Platinum
보호 회로 OCP, OVP, OPP, OTP, SCP, UVP
기존 HYDRO PTM PRO의 190mm라는 엄청난 덩치를 130mm로 줄여버린 새 플래그십 제품군. 그 외의 특징은 HYDRO PTM PRO와 공유한다.

3.1.4. Mini

파일:fsp-fspghs85.jpg
FSP-60GHS85 시리즈
규격 SFX
쿨링팬 80mm, 자성 베어링[18]
출력 300, 400W
효율성 인증 80+ Bronze
보호 회로 OCP, OVP, SCP, UVP
출력 전압은 낮지만 SFX 특성상 고전압 빌드가 많지 않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지 않는 수준. 적당한 효율성과 내구성을 지녔지만, 별다른 도장없는 은백색 케이지와 알록달록한 일반형 케이블을 적용했다.
파일:fsp-tfx300.jpg
FSP-60GHT 시리즈
규격 TFX
쿨링팬 80mm, 슬리브 베어링[19]
출력 300W
효율성 인증 80+ Bronze
보호 회로 OCP, OPP, SCP
아주 기본적인 요소만 구성한 TFX 규격의 제품.
파일:fsp-daggerpro.jpg
DAGGER PRO 시리즈
규격 SFX
쿨링팬 92mm, 더블 볼 베어링[20]
출력 650, 850W
효율성 인증 80+ Gold
보호 회로 OCP, OVP, OPP, OTP, SCP
80mm 팬이 적용된 일반 제품군과 다르게 92mm 팬이 적용된 고급형으로, FSP에서 가장 강력한 SFX 폼팩터 제품. 당연히 ATX용 마운트도 들어있다. 모든 케이블이 플랫 케이블인 동시에 풀 모듈러 방식이 적용되었다.

3.1.5. 단종 제품

파일:fsp-hydroptmplus.jpg
HYDRO PTM+ 시리즈
규격 ATX
쿨링팬 135mm, 유체베어링(FDB)[21]
출력 850, 1200W
효율성 인증 80+ Platinum
보호 회로 OCP, OVP, OPP, OTP, SCP
세계 최초로 수랭 솔루션을 적용한 변태적인 제품. 표준 ATX보다 약간 더 큰 150×200×86mm의 크기를 자랑한다. 공랭+수랭 하이브리드 쿨링이 가능하게끔 Bitspower와 공동 개발한 수랭 블럭이 적용되었고, 수랭 블럭의 맞은편에는 쿨링팬이 장착되어있다. 당연히 전용 펌프, 라디에이터, 쿨링팬, 피팅과 연질 호스도 제공되며, 워터블럭에선 동기화가 가능한 RGB LED도 점등된다. 일반 제품은 올블랙 플랫 모듈러 케이블이 제공되나, 한정판 제품은 FSP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한 한정판 검빨 조합의 슬리빙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도 특징.
파일:fsp-hydroptm.jpg
HYDRO PTM 시리즈
규격 ATX
쿨링팬 135mm, 유체베어링(FDB)[22]
출력 550, 650, 750W
효율성 인증 80+ Platinum
보호 회로 OCP, OVP, OPP, OTP, SCP, UVP
독특한 디자인의 케이지를 지닌 제품으로, HYDRO PTM PRO에게 자리를 내어주고 단종.
파일:fsp-hydrogewhite.jpg 파일:fsp-hydroge.jpg
HYDRO GE 시리즈
규격 ATX
쿨링팬 135mm, 유체베어링(FDB)[23]
출력 450, 550, 650W
효율성 인증 80+ Gold
보호 회로 OCP, OVP, OPP, OTP, SCP, UVP
FSP에서 흰색 선택지를 제공하던 몇 안 되는 제품군. 이 제품도 측면부 스티커를 제공하고, 세미 팬리스 기능은 없다.
파일:fsp-hydrogwhite.jpg 파일:fsp-hydrog.jpg
HYDRO G 시리즈
규격 ATX
쿨링팬 135mm, 유체베어링(FDB)[24]
출력 650, 750, 850W
효율성 인증 80+ Gold
보호 회로 OCP, OVP, OPP, OTP, SCP, UVP
FSP에서 흰색 선택지를 제공하던 몇 안 되는 제품군. 이 제품도 측면부 스티커를 제공하고, 세미 팬리스 기능은 없다. HYDRO G PRO에게 자리를 내어주고 단종.
파일:fsp-hpn.jpg
HPN 시리즈
규격 ATX
쿨링팬 120mm, 볼 베어링[25]
출력 500, 600, 700W
효율성 인증 인증 없음[26], 평시 85%~최대 부하 시 82%[27]
보호 회로 OCP, OVP, OPP, OTP, SCP
이렇다 할 특징이 없지만, 낮은 가격대의 엔트리급 파워임에도 어지간한 보호 회로와 효율을 모두 챙겼다는 점에서 상당한 가성비 제품. 슬리빙 처리된 알록달록한 케이블이 단점이지만, 케이블용 벨크로 타이를 제공하고 케이지도 꽤 깔끔한 검은색으로 잘 도장 되어 있다. HYPER 제품군에 역할을 넘겨주고 단종.
파일:fsp-dagger.jpg
DAGGER 시리즈
규격 SFX
쿨링팬 80mm, 더블 볼 베어링[28]
출력 500, 600W
효율성 인증 80+ Gold
보호 회로 OCP, OVP, OPP, OTP, SCP
적절한 인기를 가진 DAGGER PRO의 이전 라인업. 경쟁작들 대비 늦은 출시와 약간 짧은 모듈러 케이블이 단점으로 꼽힌다.

4. 기타

4.1. 다나와 미노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다나와 문서
번 문단을
광고계약 미체결 제조사 노출차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24년부터 다나와에서 최신 제품에 대한 정보가 검색되지 않는다. 공식적인 입장을 내지는 않았으나 다나와와의 광고계약이 종료되었기 때문이라 답변한 바 있다고 한다. 신제품의 상세 스펙이나 구매는 홈페이지나 컴퓨존 등 별도의 사이트를 참고하는 것이 좋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7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7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사실 파워는 다른 컴퓨터 부품들 대비 만들기 쉬운 편에 속한다.[2] 과전류 보호(OCP), 과전압 보호(OVP), 단락 보호(SCP)[3] Yate Loon D12SH-12[4] Yate Loon D12SH-12[5] Yate Loon D12SH-12[6] Yate Loon D12SH-12[7] Yate Loon D12SH-12[8] ADDA AD1212HS-A71GL -> HK FAN AS12025V12[9] PROTECHNIC MGA12012HF-A25[출시예정] [출시예정] [12] 라벨이 Yate Loon D12BH-12로 오기[13] PROTECHNIC MGT4012ZB-W28[14] 팬 고장 보호[15] PROTECHNIC MGA12012XF-O25[16] PROTECHNIC MGA13512XF-A25[17] PROTECHNIC MGA12012XF-O25[18] MAGIC MGA8012XS-A15[19] Yate Loon D80SH-12C[20] POWER LOGIC PLA09215B12H[21] PROTECHNIC MGA13512XF-A25[22] PROTECHNIC MGA13512XF-A25[23] POWER LOGIC PLA13525S12M -> PROTECHNIC MGA13512XF-A25[24] PROTECHNIC MGA13512XF-A25[25] ADDA AD1212MB-A71GL[26] 80PLUS 규칙상 프리볼트여야 하는데, 프리볼트 없이 220v 전용으로 나와서 그렇다.[27] 효율성 분석 링크[28] POWER LOGIC PLA08010B12HH[29] 홈페이지에 들어가 보면 FSP 뿐만 아니라 경쟁사인 Seasonic 제품도 유통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