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kheed Martin-Sikorsky CH-53K King Stallion |
1. 개요
록히드 마틴의 CH-53K 홍보 영상 |
Only the K can
― 록히드 마틴의 CH-53K의 캐치프레이즈
― 록히드 마틴의 CH-53K의 캐치프레이즈
시코르스키사의 CH-53 계열의 대형 수송 헬기로, 기존 CH-53E 슈퍼 스탤리온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러시아의 Mi-26에 이어 전세계의 양산 헬리콥터 중 최대이륙중량이 2번째로 큰 헬리콥터로 최대탑재량은 떨어지지만 엔진출력은 거의 따라잡았다. 다만 현재 개발 중인 Mi-26M이 나오면 3번째로 큰 헬리콥터가 될 예정이다.
2. 제원
Sikorsky CH-53K King Stallion | ||
개발사 | 시코르스키 항공 | |
제조사 | 시코르스키 항공 | |
첫비행 | 2015년 10월 27일 | |
생산기간 | 2019년 5월 이후 예정 | |
생산대수 | 18기 총 227대 생산 예정 | |
전장 | 동체 : 22.28m 로터 포함 : 30.2m | |
전폭 | 동체 : 5.36m 로터 포함 : 23.99m | |
전고 | 8.46m | |
메인 로터 지름 | 23.99m | |
회전면적 | 460m² | |
공허 중량 | 15,071kg | |
적재 중량 | 15,900kg | |
최대 이륙 중량 | 34,000kg | |
로터 시스템 | 메인로터 7엽, 테일 로터 4엽 | |
엔진 | General Electric GE38-1B (T408) 터보샤프트 엔진 x3기 | |
엔진 출력 | GE38-1B (T408) 7,500HP (x3 22,500HP) | |
순항 속력 | 261km/h | |
최대 속력 | 315km/h | |
항속 거리 | 841km | |
전투 행동 반경 | 204km | |
분당 상승률 | 13m/s | |
실용상승한도 | 4,383m | |
항전장비 | AN/APR-39B(V)2 레이더 경보 장치 AN/ALE-47(V) 채프/플레어 사출기 AN/AAQ-24 DIRCM 지향성 적외선 방해 장치 | |
승무원 | 5명 (조종사 2명, 좌측/우측/후방사수 3명) | |
무장 | 양쪽 도어 거치 GAU-21/A 12.7 mm 기관총 x2정 후방 램프 GAU-21/A 12.7 mm 기관총 x1정 |
3. 운용국
3.1. 미국
2018년부터 미합중국 해병대에 도입되어 현재 운용 중에 있다.2021년 10월 3일, 코네티컷 공장에서 제작된 첫번째 CH-53K 헬리콥터가 미 해병대에 인도되었다. #
VMX-1 소속 CH-53K의 고중량 화물 수송 중 공중급유 시연 |
3.2. 이스라엘
이스라엘 공군 CH-53K CG |
이후 같은 해 7월 30일, 이스라엘 공군이 미화 34억 달러 규모로 CH-53K 대형 헬리콥터 18대 도입 계약을 요청했으며, 미 국무부가 판매를 승인했다고 밝혔다. 이번 이스라엘용 패키지는 코네티컷 주 셸턴에 있는 록히드 마틴에서 제작한 킹 스탤리온 헬리콥터와 매사추세츠주 '린'에 있는 GE 항공에서 제작한 최대 60개의 T408-GE-400 엔진 및 최대 36개의 임베디드가 포함된다. 아울러 GAU-21 기관총이 탑재된 탐색 시스템도 갖춰진 패키지라고 한다. #
2022년 2월, 록히드 마틴과 미군의 FMS 계약이 공식적으로 체결되어 이스라엘 공군용 CH-53K 12대의 생산이 시작되었다.#
4. 수출 시도
4.1. 대한민국
2021년, 대한민국의 대형기동헬기 도입 사업에 CH-47F 치누크와 함께 후보로 검토되었다. 다만 이전부터 CH-53K의 높은 가격으로 인해 CH-47F의 낙승이 예측되었고 결국 제151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를 통해 CH-47F의 선정이 발표되었다.# 하지만 2023년, 육군의 특수작전용 및 공군 탐색구조용 헬기를 대체하는 특수전 지원헬기 사업에서 다시 CH-47F와 경합하게 되었다.특수전 지원용 CH-53K CG |
KforKOREA
― CH-53K의 한국 내 캐치프레이즈
2023년 10월, ADEX 2023에서 록히드마틴 시코르스키와 KAI가 CH-53K의 특수작전용 대형기동헬기 사업 참여를 위해 상호협력 의향서(LOI)를 체결하였다.# 이후 2024년 5월 24일, 시코르스키가 한국 내에서 처음으로 방위산업 행사를 개최하고 "KforKOREA"라는 홍보 문구도 공개하는 등 적극적인 영업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운용국과 대수에서 CH-47F에 밀리는 상황에서 도입 대수가 20여대 규모로 추정되는 한국의 특수작전용 대형기동헬기 사업을 수주하여 CH-53K의 추가 수출 활로를 서둘러 뚫어야 한다는 모기업 록히드 마틴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 CH-53K의 한국 내 캐치프레이즈
아울러 특수작전용 헬기의 특성상 항법, 생존, 통신 등 특수임무용 장비가 대거 탑재되어야 함으로 헬기 자체의 가격은 CH-53K의 가격이 더 높더라도, 이러한 탑재 장비들의 자체 가격과 통합 비용을 산정하면 경쟁사의 적극성 여부에 따라서 CH-53K이 CH-47F와 대비하여 가격경쟁력에서 크게 밀리지 않을 수 있다는 계산이 있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또한 시코르스키 측은 국내 기업들과의 절충교역 규모를 대폭 키워 승부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이 역시 주목되고 있다.[1]
5. 수출 실패
5.1. 독일
독일 공군의 기존 CH-53을 대체하는 차기 대형 수송헬기 사업에 록히드 마틴과 시코르스키, 라인메탈이 팀을 이루어 CH-53K로 참여했다.#2022년 6월, 사업에서 CH-47F가 선정되면서 CH-53K의 독일 수출은 불발되었다.#
6. 미디어
7. 둘러보기
현대 이스라엘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001E50> 이스라엘 공군 (1948~현재) זְרוֹעַ הָאֲוִיר וְהֶחָלָל | ||||
회전익기 | <colbgcolor=#001E50> 경헬기 | <colbgcolor=#fefefe,#191919>SA 313B 알루에트 IIR, MD500 TOWR | |||
다목적 헬기 | UH-1DR, AS565 | ||||
수송헬기 | CH-53(D/{K}), UH-60A | ||||
공격헬기 | AH-1(G/Q/F), AH-64(A/D) | ||||
전투기 | 프롭 | F-51(D, J26)R, 스핏파이어 Mk IXcR, S-199R, 브리스톨 보파이터R | |||
1세대 | 미티어(NF.13, F.8)R, M.D.450B 우라강R, 미스테르 IIR, 미스테르 IVAR, F-84FL/R | ||||
2세대 | SMB2R | ||||
3세대 | F-4ER/ | ||||
4세대 / 4.5세대 | |||||
5세대 | F-35I | ||||
공격기 | A-4(E/F/M/N)R | ||||
폭격기 | B-17GR, S.O.4050 보투르(IIA, IIB, IIN)R | ||||
수송기 | 아라바R, C-130J | ||||
지원기 | 조기경보기 | G550 CAEW | |||
정찰기 | DH.98(FB.IV/NF.30/T.3/PR.16/TR.33)R, RF-4E | ||||
공중급유기 | KC-707, KC-130H, {KC-46} | ||||
무인기 | UAV | 헤론, 헤르메스 450, 헤르메스 900, 헤르메스 1500 | |||
UCAV | 하피, 에이탄 | ||||
훈련기 | 프롭 | T-6R, G 120A, T-6A | |||
제트 | M-346 | ||||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스라엘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
✈️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3D3137>1차 세계대전 | 협상군 | 동맹군 | |||||||
전간기 | 프랑스 | |||||||||
2차 세계대전 | 미국 | 영국 | 나치 독일 | 일본 제국 | ||||||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 소련 | 노르웨이 | 스웨덴 | |||||||
핀란드 | 덴마크 | 스위스 | 태국 | |||||||
프랑스 | 중화민국 |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 |||||||
헝가리 왕국 | 스페인 | 만주국 |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미 공군 | 미 해군 | 서독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북미 | 미 공군 | 미 해군 | 캐나다 | 멕시코 | ||||
''' 중미/카리브 '''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 도미니카 공화국 ]] | 쿠바 |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 엘살바도르 ]] | 온두라스 | ||||||
<colbgcolor=#3d3137>남미 | 브라질 | 우루과이 |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 아르헨티나 ]] | 칠레 | ||||||
볼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 에콰도르 | |||||||
콜롬비아 | 베네수엘라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아일랜드 | 룩셈부르크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체코 |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슬로바키아 ]] | ||||||
스위스 |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 오스트리아 ]] | 헝가리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 슬로베니아 ]]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 크로아티아 ]] | |||||||
세르비아 |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 몬테네그로 ]]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 북마케도니아 ]] | |||||||
알바니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 우크라이나 ]] | 벨라루스 | 몰도바 | ||||||
조지아 |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 아르메니아 ]]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 아제르바이잔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몽골 | |||||||||
''' 동남아시아 ''' | 태국 | 베트남 |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 말레이시아 ]] | 싱가포르 | ||||||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 인도네시아 ]] | 필리핀 | 브루나이 | 미얀마 | |||||||
캄보디아 | 라오스 | |||||||||
''' 중앙아시아 '''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 카자흐스탄 ]]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 우즈베키스탄 ]]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 타지키스탄 ]]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 키르기스스탄 ]] |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 투르크메니스탄 ]]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 방글라데시 ]] | 스리랑카 | ||||||
네팔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 아프가니스탄 ]]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 사우디아라비아 ]] | 이란 | 이라크 | ||||||
쿠웨이트 | 시리아 | 레바논 | 요르단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 아랍에미리트 ]] | 카타르 | 바레인 | 오만 | |||||||
예멘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 파푸아뉴기니 ]] | |||||||
''' 북아프리카 ''' | 이집트 | 리비아 | 튀니지 | 알제리 | ||||||
모로코 | 수단 | 자유 리비아 (~'11) | ||||||||
''' 동아프리카 '''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 에티오피아 ]] | 지부티 | 소말리아 | 케냐 | ||||||
탄자니아 | 모잠비크 | 우간다 | 르완다 | |||||||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 마다가스카르 ]] | 코모로 | |||||||||
''' 서아프리카 '''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 나이지리아 ]] | 세네갈 | 니제르 | 말리 | ||||||
기니 | 모리타니 | 가나 | 토고 | |||||||
''' 중아프리카 ''' | 차드 | 카메룬 | 가봉 |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 콩고 공화국 ]] | ||||||
콩고민주공화국 | 앙골라 | |||||||||
''' 남아프리카 ''' | 남아공 | 보츠와나 | 나미비아 | 레소토 | ||||||
잠비아 |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 러시아 | 프랑스 | 유럽 | 아시아 | }}}}}}}}}}}} |
[1] 이러한 모습은 대한민국 공군의 대형 수송기 2차 사업에서 엠브라에르 사의 C-390이 이미 1차 도입 사업에서 선정되어 운용 중이었기에 낙승이 예측되던 록히드 마틴의 C-130J를 상대로 성능, 가격, 절충교역에서 우위를 점하고 그 중 절충교역에서 결정적으로 점수 차를 벌리는 데에 성공하면서 예상 밖의 승리를 따낸 영업 전략을 모방한 행보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