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17:29:26

CANAAN

카난 (2009)
CANAAN
파일:attachment/4_49.jp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장르 액션, 범죄, 느와르, 스릴러
원작 춘소프트
원안 나스 키노코
캐릭터 원안 타케우치 타카시
감독 안도 마사히로(安藤真裕)
시리즈 구성 오카다 마리
캐릭터 디자인 세키구치 카나미
총 작화감독
미술 감독 와키 타케시(脇 威志)
색채 설계 이노우에 카츠에(井上佳津枝)
촬영 감독 나미키 사토시(並木 智)
특수 효과 무라카미 마사히로(村上正博)
3D 감독 야마자키 요시오(山崎嘉雅)
편집 타카하시 아유무(高橋 歩)
음향 감독 아케타가와 진
음악 나나세 히카루
음악 제작 란티스
프로듀서 오오시마 야스시(大島 靖)
이시이 지로(イシイジロウ)
사이토 시게루(斎藤 滋)
카와무라 히토시(川村 仁)
호리카와 켄지
후쿠라 케이(福良 啓)
라인 프로듀서 츠지 미츠히토(辻 充仁)
애니메이션 제작 P.A.WORKS
제작 Project CANAAN
방영 기간 2009. 07. 04. ~ 2009. 09. 26.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도쿄 MX / (토) 22:3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플러스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13화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9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9세 이상 시청가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

1. 개요2. 줄거리3. 특징4. 등장인물
4.1. 스포일러 포함 캐릭터.
5. 관련 단어6. 음악
6.1. 주제가
6.1.1. OP6.1.2. ED
6.2. 삽입곡
7. 회차 목록8. 해외 공개
8.1. 대한민국
9. 평가10. 기타

[clearfix]

1. 개요

2009년 7월부터 9월 말까지 총 13화 구성으로 방영되었다. 감독은 안도 마사히로(安藤真裕), 제작사는 P.A.WORKS.

춘소프트 작품이 애니메이션화 되는 건 이 작품이 최초로, 한을 풀었는지 춘소프트 관련 게임의 캐릭터, 물건들이 대놓고 대거 카메오 출연한다.

428 본편에서 등장한 캐릭터이자 보너스 시나리오의 주인공이기도 한 카난(CANAAN)을 주인공으로 한 스핀오프 작품이며 주요 무대는 시부야가 아니라 상하이로 428로부터 2년쯤 뒤의 후일담 격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제목은 성서에 나오는 그 가나안(Canaan)에서 따온 것이 맞다.

2. 줄거리

때는 시부야를 덮친 UA 바이러스 테러로부터 2년 후. 사건의 피해자 중 한 사람인 오오사와 마리아는 카메라맨이 되어 헤븐 출판의 신인으로 입사하고, 선배인 미노리카와 미노루와 함께 상하이를 방문한다. 마리아는 현지에서 횡행하는 범죄 조직 '뱀'의 음모에 휘말리게 되지만 과거에 친구가 된 철의 투쟁 대행인 카난이 나타나 위기로부터 그녀를 구해준다. '뱀'의 수장이자 숙연의 상대인 알파르드 알 슈야와의 싸움을 반복하던 카난은 그녀를 추적하기 위해 마리아, 미노루와 함께 행동한다. 이와 함께 뱀의 음모에 관련된 각국의 첩보조직도 머리를 내밀고, 카난을 중심으로 사람들의 운명이 움직이기 시작한다.

3. 특징

타입문이 원안을 맡아 몇가지 설정과 캐릭터 디자인을 담당했으나 적극적인 개입은 하지 않았다. 오히려 춘 소프트 쪽 스태프가 많이 개입해서 그쪽 색깔이 강하다. 애초에 오프닝의 제작진을 보면 원안을 나스 키노코가 맡고 각본을 오카다 마리가 담당했다. 그러나 타입문의 영향인지 춘소프당(...)에 달빠들이 대량으로 유입되어 당내 계파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428 본편과 무관계고 보너스 시나리오에서만 이어지는 거라고 얘기하는 사람도 많은데, 428 보너스 시나리오 '카난편'이 428 본편보다 과거의 이야기이므로 이야기 시열은 428 카난편 → 428 본편 → CANAAN이 된다. 즉 428 후속작 맞다. 일단 춘 소프트의 세계관에 속해있으므로 기존 타입문 세계관과는 무관하다.

428 본편이나 428의 보너스 시나리오로 수록된 '카난 편'하고도 작품의 분위기나 스타일이 완전히 다르다. 애니는 소프트 백합과 우정을 넘나드는 느낌에 가까운 내용. 이 애니를 보고 '428도 이런 내용인가...' 하고 생각하면 실수.

또 성우진이 화려해서 주목을 받는 작품이기도 하다. P.A.WORKS 애니인만큼 작화나 연출도 OVA 수준. 음악을 나나세 히카루가 맡았고 주제가는 당시 신인이던 페이란이 담당했다.

일각에서는 이 작품을 428 프로듀서 이시이 지로의 성우 빠심 + 타입문 빠심의 결정체라고 평하기도 한다. 너무 그쪽 계열을 노린 듯한 캐릭터 디자인과 설정이 많아 428 본편 골수 팬들은 반감을 가지고 있다.

428의 후속작이므로 어쩔 수 없이, 원작의 스포일러가 되는 부분이 있는데 이 애니메이션을 보는 것만으로도 게임의 스토리상 반전 중 2개 이상의 반전을 이미 알게 된 거나 마찬가지다. 물론 반전이 워낙에 많은 게임이라 큰 문제는 안 된다. 또한 다른 반전들은 이 애니를 보고난 뒤에 게임을 하면 오히려 간파하기 어렵게 된다. 어차피 한국발매예정이 없으니 확인하기는 어렵겠지만

무대라 상하이라서 중국어가 나오는데, 상하이 근처 출신인 중국인의 말로는 하나도 못 알아듣겠다고... 아니 사실 외국인이 듣기에도 성조부터 안 들리는게 일단 중국어는 절대 아니다.(...) 일본인이 중국어 독음을 가나로 옮겨적고는 그대로 읽는 느낌.

감독이 게임 428을 하지 않으면 알 수 없는 미싱 코드를 많이 집어넣을 것이라고 밝혔으며 실제로 428에 등장했던 인물들과 고유명사들이 등장하기 때문에 한국의 달빠나 일반 시청자들이 상당한 혼란을 겪었다. 솔직히 428을 플레이 해 본 사람이 한국에 몇이나 되겠는가. 그 영향인지 한국 블로그나 사이트의 감상 글을 보면 스토리의 감을 잘 잡지 못하거나 이미 게임에서 다 밝혀진 사실을 추측하는 경우가 많다. 이 항목은 대부분 게임에서 밝혀진 것 위주로 작성된 것임을 밝힌다. 또한, 본작은 캐릭터들의 대사 못지 않게 미장센으로 스토리를 전달하려는 면이 크기 때문에 미장센을 해석하면서 보지 않으면 스토리를 이해하기 어렵다. TVA 중에서 이 정도로 장면밀도가 높은 애니는 보기 힘들다. ##2

이시다 아키라(石田あきら)에 의해서 만화화되었다. 월간 콤프에이스에서 연재하였고, 전 3권 완결. 한국에서도 대원씨아이에서 발매 중이다.

4. 등장인물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4.1. 스포일러 포함 캐릭터.

5. 관련 단어

6. 음악

6.1. 주제가

6.1.1. OP

OP
mind as Judgment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페이란(飛蘭)
작사 하타 아키
작곡 아게마츠 노리야스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안도 마사히로(安藤真裕)
연출
작화감독 세키구치 카나미
원화 호리우치 히로유키, 카와츠라 코스케(川面恒介), 이시이 아키하루(石井明治), 마츠바야시 타다히토, 카이 야스유키, 이시이 유리코, 요시다 유코, 스즈키 미사키(鈴木美咲), 오오히가시 유리에(大東百合恵) 등
}}}}}}}}} ||

6.1.2. ED

ED
My heaven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Annabel
작사 하타 아키
작곡 myu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안도 마사히로(安藤真裕)
연출
원화 세키구치 카나미
}}}}}}}}} ||

6.2. 삽입곡

1~4화 삽입곡
チャイナ気分でハイテンション!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네네(CV: 타카가키 아야히)
작사 오카다 마리
작곡 슌류(俊龍)
편곡 안도 타카히로(安藤高弘)

6, 8화 삽입곡
いのちなんだよ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네네(CV: 타카가키 아야히)
작사 오카다 마리
작곡 슌류(俊龍)
편곡 니지온(虹音)

13화 삽입곡
LIFE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네네(CV: 타카가키 아야히)
작사 yozuca*
작곡
편곡 안제 히지리(安瀬 聖)

7.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제목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ruby(洪色魔都, ruby=コウショクマト)] 안도 마사히로
(安藤真裕)
안도 마사히로
(安藤真裕)
세키구치 카나미 日: 2009.07.04.
韓:
제2화 [ruby(邪気乱遊戯, ruby=ジャケラユウギ)] 아사이 요시유키 요시다 유코 日: 2009.07.11.
韓:
제3화 [ruby(阿断事, ruby=アダゴト)] 오카무라 텐사이 허종 홍석표
(洪錫杓)
日: 2009.07.18.
韓:
제4화 [ruby(呉れ泥む, ruby=クレナズム)] 안도 마사히로
(安藤真裕)
야하기 토시유키
(矢萩利幸)
이시이 아키하루
(石井明治)
호리우치 히로유키
日: 2009.07.25.
韓:
제5화 [ruby(灯ダチ, ruby=トモダチ)] 오카무라 텐사이 안자이 타케부미 요시다 유코 日: 2009.08.01.
韓:
제6화 [ruby(LOVE & PIECE, ruby=ラブアンドピース)] 안도 마사히로
(安藤真裕)
아사이 요시유키 카와츠라 코스케
(川面恒介)
日: 2009.08.08.
韓:
제7화 [ruby(慕漂, ruby=ボヒョウ)] 오카무라 텐사이 안자이 타케부미 이시이 유리코 日: 2009.08.15.
韓:
제8화 [ruby(乞, ruby=コイ)] 마스이 소이치 오오타 토모아키
(太田知章)
홍석표
허재선
(許宰銑)
日: 2009.08.22.
韓:
제9화 [ruby(過去花, ruby=カコバナ)] 니시무라 준지 허종 이시이 아키하루 日: 2009.08.29.
韓:
제10화 [ruby(想執, ruby=ソウシツ)] 아사이 요시유키 타니구치 모리야스
스즈키 미사키
(鈴木美咲)
日: 2009.09.05.
韓:
제11화 [ruby(彼女添, ruby=シーソー)] 안도 마사히로
(安藤真裕)
안자이 타케부미 이시이 유리코 日: 2009.09.12.
韓:
제12화 [ruby(忌殺劣者, ruby=キセツレッシャ)] 허종 허재선
코타니 쿄코
(小谷杏子)
日: 2009.09.19.
韓:
제13화 キボウノチ 안도 마사히로
(安藤真裕)
안자이 타케부미
세키구치 카나미
이시이 아키하루
야마시타 요시미츠
(山下喜光)
日: 2009.09.26.
韓:

8. 해외 공개

8.1. 대한민국

한국에서는 애니플러스에서 2010년 3월 방영하였다.

9. 평가

고의로 난해하게 만들어 내공을 많이 요구하는 애니이기 때문에 주제를 잘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본작이 말하고자 하는 바는 현실에 대한 '직시'와 하나의 '가나안'에 집착해선 안 된다이다. 상하이의 주민들이나 주요 캐릭터들이 현실을 왜곡해서 보고, 자신의 또 다른 '가나안'이 될 수 있는 사람을 보지 못해 씁쓸한 최후를 맞기도 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P.A.WORKS에서 극장판 제작을 발표하기도 했었다. DVD 평균 판매량은 4천 7백장 정도로 그럭저럭 중박은 했지만 그 이후 소식도 없고 큰 인기도 끌지 못했으니 흐지부지해졌을 가능성이 다분하다.

그래도 수준 높은 연출 호흡과 미장센, 메타포를 고도로 활용한 화법은 평론가와 업계인들 사이에서 극찬을 받은 작품이다. 문화청 미디어 예술제 심사위원 추천상을 받았으며, 당시 심사위원이였던 이쿠하라 쿠니히코가 극찬을 하였다.

10. 기타


[1] 사실 다른 감염자들 상태를 생각해보면 부작용이 없다는 것만 해도 승리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