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10 13:12:46

BedWars(Roblox)/키트/일반 키트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BedWars(Roblox)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BedWars(Roblox)/키트

파일:bedwars icon.png
<colbgcolor=#0080ff> 모드 <colbgcolor=#2462db> 아이템 <colbgcolor=#495bb6> <colbgcolor=#6d4992> 업그레이드 <colbgcolor=#92376d> 마법부여대 <colbgcolor=#b62549> 명령어 및 스크립트 <colbgcolor=#db1224> 키트(일반/배틀패스/스킨) <colbgcolor=#f00> 번들
배틀패스 논란 및 사건사고 문제점 맵 투표(시즌 10) 클랜 유물(시즌 6) 대장간(시즌 8)

일반 키트
<colbgcolor=#63deff> 공격 키트⚔️(Fighter) <colbgcolor=#63deff> 자원 키트💎(Economy) <colbgcolor=#63deff> 이동기 키트💨(Movement)
목록
[펼치기 / 접기]
유지
트리톤
아라크네
탱커 키트🛡️(Tank) 원거리 키트🏹(Ranged) 방어 키트🔨(Defender)
목록
목록
[펼치기 / 접기]
아처
라일라
바네사
제노
목록
[펼치기 / 접기]
빌더
벌칸
마리나
지원 키트⏫(Support) 파괴 키트🪓(Destroyer)
목록
[펼치기 / 접기]
해적 데이비
번들 키트

[배틀패스 키트 펼치기/접기]
배틀 패스 키트
시즌 1 키트 시즌 2 키트 시즌 3 키트 시즌 4 키트
목록
시즌 5 키트 시즌 6 키트 시즌 7 키트 시즌 8 키트
목록
[ 펼치기 · 접기 ]
라니

슈롯
워든
칼리야
목록
목록
시즌 9 키트 시즌 10 키트 시즌 11 키트 시즌 12 키트
목록
편집 예정
#########
[스킨 펼치기/접기]
스킨
일반 스킨 이벤트 스킨 번들 스킨 특별 스킨 배틀패스 스킨

1. 개요2. 현존 키트 목록
2.1. 빌더(Builder)2.2. 바바리안(Barbarian)2.3. 농부 클레투스(Farmer Cletus)2.4. 베이커(Baker)2.5. 아처(Archer)2.6. 인페르널 쉴더(Infernal Shielder)2.7. 멜로디(Melody)2.8. 해적 데이비(Pirate Davey)2.9. 엘더트리(Elder Tree)2.10. 래시(Lassy)2.11. 사신(Grim Reaper)2.12. 제노(Zeno)2.13. 벌칸(Vulcan)2.14. 트리니티(Trinity)
2.14.1. 장단점
2.15. 아홀로틀 에이미(Axototl Amy)
2.15.1. 장단점
2.16. 바네사(Vanessa)
2.16.1. 장단점
2.17. 프레이야(Freiya) 2.18. 유지(Yuzi)2.19. 광부(Miner)
2.19.1. 장단점
2.20. 사이버(Cyber)
2.20.1. 장단점
2.21. 이블린(Evelynn)2.22. 한나(Hannah)2.23. 크립트(Crypt)
2.23.1. 장단점
2.24. 제니스(Zenith)
2.24.1. 장단점
2.25. 아데툰드(Adetunde)2.26. 위스퍼(Whisper)
2.26.1. 장단점
2.27. 라일라(Lyla)
2.27.1. 장단점
2.28. 탈리야(Taliyah)
2.28.1. 장단점
2.29. 마일로(Milo)
2.29.1. 장단점
2.30. 엘드릭(Eldric)
2.30.1. 장단점
2.31. 리안(Lian)
2.31.1. 장단점
2.32. 마리나(Marina)
2.32.1. 장단점
2.33. 트리톤(Triton)
2.33.1. 장단점
2.34. 아라크네 (Arachne)
2.34.1. 장단점
2.35. 트릭시(Trixie)
2.35.1. 장단점
3. 삭제된 키트 목록
3.1. 마법사(Wizard)
3.1.1. 장단점

1. 개요


BedWars(Roblox)의 일반 키트 목록.

399 로벅스를 소비하여 얻을 수 있으며[1][2] 매주 3개가 무료로 풀린다.[3][4] 예전에는 밸붕을 우려하여 좋은 키트들은 기껏해야 1~2개 정도 풀렸으나 요즘에는 3, 4개 모두가 사기 키트로 풀리기도 한다.

아주 가끔씩[5] ez.gg에서 이벤트로 무료 키트를 뿌리기도 한다. 물론 그냥 받는 건 아니고 여러 스테이지들을 깨야 얻을 수 있다.

여담으로 현재 벌칸은 유일하게 무료로 풀린 적이 없다.

2. 현존 키트 목록

2.1. 빌더(Builder)

파일:bedwars icon.png
Builder
파일:Builder.webp
전용 효과/아이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빌더(BedWars(Roblox))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빌더(BedWars(Roblox))#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빌더(BedWars(Roblox))#|]]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바바리안(Barbarian)

파일:bedwars icon.png
Barbarian
파일:Barbarian.webp
구 모습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전용 효과/아이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스킨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바바리안(BedWars(Roblox))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바바리안(BedWars(Roblox))#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바바리안(BedWars(Roblox))#|]]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농부 클레투스(Farmer Cletus)

파일:bedwars icon.png
Farmer Cletus
파일:Farmer_Cletus.webp
구 모습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전용 효과/아이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농부 클레투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농부 클레투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농부 클레투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 베이커(Baker)

파일:bedwars icon.png
Baker
파일:Baker.webp
전용 효과/아이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베이커(BedWars(Roblox))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베이커(BedWars(Roblox))#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베이커(BedWars(Roblox))#|]]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5. 아처(Archer)

파일:bedwars icon.png
Archer
파일:Archer.webp
전용 효과/아이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처(BedWars(Roblox))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처(BedWars(Roblox))#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처(BedWars(Roblox))#|]]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6. 인페르널 쉴더(Infernal Shielder)

파일:bedwars icon.png
Infernal Shielder
파일:BedWars(Roblox)인페르노 쉴더.webp
전용 효과/아이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페르널 쉴더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페르널 쉴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페르널 쉴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7. 멜로디(Melody)

파일:bedwars icon.png
Melody
파일:BedWors(Roblox)Melody.webp
전용 효과/아이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멜로디(BedWars(Roblox))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멜로디(BedWars(Roblox))#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멜로디(BedWars(Roblox))#|]]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8. 해적 데이비(Pirate Davey)

파일:bedwars icon.png
Pirate Davey
파일:BedWars(Roblox)Pirate_Davey.webp
전용 효과/아이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해적 데이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해적 데이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해적 데이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9. 엘더트리(Elder Tree)

파일:bedwars icon.png
Eldertree
파일:BedWars(Roblox)Eldertree.webp
전용 효과/아이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엘더트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더트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더트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0. 래시(Lassy)

파일:bedwars icon.png
Lassy
파일:BedWars(Roblox)Lassy.webp
전용 효과/아이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래시(BedWars(Roblox))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래시(BedWars(Roblox))#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래시(BedWars(Roblox))#|]]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1. 사신(Grim Reaper)

파일:bedwars icon.png
Grim Reaper
파일:BedWars(Roblox)Grim_Reaper.webp
전용 효과/아이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사신(BedWars(Roblox))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신(BedWars(Roblox))#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신(BedWars(Roblox))#|]]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2. 제노(Zeno)[6]

파일:bedwars icon.png
Zeno
파일:BW_Zeno.png
전용 효과/아이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노(BedWars(Roblox))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노(BedWars(Roblox))#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노(BedWars(Roblox))#|]]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3. 벌칸(Vulcan)[7]

파일:bedwars icon.png
Vulcan
파일:BedWars(Roblox)Vulcan.webp
전용 효과/아이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벌칸(BedWars(Roblox))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벌칸(BedWars(Roblox))#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벌칸(BedWars(Roblox))#|]]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4. 트리니티(Trinity)

파일:bedwars icon.png
Trinity
파일:BedWars(Roblox)Trinity.webp
변신 모습 {{{#!folding [ 펼치기 · 접기 ]
Upon reaching three kills, choose between a Light and Void transformation. As the Light Angel, heal nearby teammates when damaging enemies. As the Void Angel, attacks will life steal.

3킬을 달성 시 빛과 공허 변신 중 하나를 고를 수 있습니다. 빛의 천사로서는 적에게 피해를 입히면 주변 아군을 치유합니다. 공허의 천사로서는 공격 시 흡혈을 합니다.
[리메이크 이전]
이름의 뜻은 삼위일체이며, 보이드로 변신하면 정말 좋았던 키트였다. 사람을 3명 처치하고 나면 빛의 천사이나 공허 천사 중 하나로 변신할 수 있다. 빛의 천사은 상대를 타격할 경우 구슬이 아군에게 날아가 아군을 힐해주고, 공허 천사는 상대를 타격할 경우 구슬이 자신에게 날아와 피흡이 된다.이때 힐량은 자신이 적에게 넣은 피해량에 비례한다.[8] 또한 자신이 설치한 테슬라로도 힐이 가능하다.[9] [10][11]
공허 천사는 적 공격시 적의 피 흡수, 빛의 천사은 적 공격시 주변에 있는 아군에게 힐을 주는데 문제는 자동 힐이 달려있기 때문에 아이템이 상대와 동급인 경우 확실한 우위를 점할수 있다[12][13] 이점이라면 3킬만 해도 변신이 가능하기에, -그리고 가디언과 타이탄을 잡아도[14] 게이지가 오르기에 실력이 부족한 초보자들도 타 키트에 비해 운용하기 쉽다.-[15]

현재로서 빛의 천사은 상당히 저평가 받지만[16] 공허 천사는 자힐 이라는 상당히 유용한 기능으로 좋은 키트로 평가받는다.

상술한 듯이 저평가 받는 빛의 천사도 2 빛의 천사 플레이시 아군을 서로 회복해주며 끈질기게 버틴다.[17]

상술한 장점들 때문에 현재로써는 가장 좋은 키트로 평가 받는다. 엘더트리의 초~중후반의 높은 생존력이라는 점과 그림리퍼의 죽이면 얻는 힐 이라는 모든 장점을 소화하며 제한도 3킬 밖에 안 되기에 사기키트인 저 둘의 단점은 빼버리고 장점만 넣은 키트라 할 수 있다.

여담으로 베드워즈에 게임패스가 넘치는 관계로 정식 게임패스 등록이 안 돼있다.[18] 또한 사기키트인 점 때문에 결국 너프를 먹어 공허 천사의 경우 근접공격[19]만 힐이되고 회복량이 15%에서 12%로 줄어들었다.

그러나 변수가 있다. 바로 근접무기가 아닌 말 그대로 '근접'은 힐이 된다. 그러니까 일정 거리 이내에서 공격한다면 활이든, 테슬라든, tnt든 공격무기이기만 한다면 모두 힐이 된다!

5월 15일 업데이트로 평가가 급상승했다. 그 이유는 다름아닌 새로나온 'Life steal' 인챈트 때문. 빛의 천사로 변신해서 라이트와 보이드의 역할을 동시에 둘 다 수행 할 수 있고, 공허 천사로 변신해서 키트 효과와 라이프 스틸 인챈트 효과가 시너지를 이루어 어마어마한 피흡으로 절대 죽지 않는다.[20]
추천 조합은 2 빛의 천사, 또는 파이로다 [21].

지금 라이프 스틸까지 너프당해 트리니티+라이프 스틸의 시대는 끝난 것 같지만 절대 아니다. 라이프 스틸이 너프당하긴 했지만 1대 1을 유리하게 만들어줄 정도는 되고, 다수 흡혈이 불가능한 트리니티의 단점을 완벽히 해결한다. [22] 무엇보다 라이프스틸 자체도 쓸만한데 여기에 트리니티의 능력까지 붙어버리면 혼자서 적진에 들어가 100킬 넘게 찍을 수 있다.

또 공허 천사와 공허 인챈트의 조합도 좋은데 그 이유는, 무려 공허 인챈트 효과가 발동되면 피가 무한대로 차기 때문이다! [23][24]

여담으로 죽으면 키트 모습이 엔젤로 변하기 전으로 고정되는 버그가 있다. 또한 지금도 이를 알고 있는 유저는 드물지만, 올드 유저는 알 것이다. TNT로 대미지를 받고 자살하면 킬수가 올라간다! 지금은 당연히 막혔다.

2024.7.27일에 업데이트로 인하여 트리니티가 리메이크됐다.
이제는 120대미지를 입히면 기본적으로 빛의 천사로 시작을 하고, 30초마다 R키로 빛의 천사 상태에서 공허 천사로, 공허 천사 상태에서 빛의 천사로 바꿀 수 있다. 빛의 천사는 1단계라면 적을 때릴 때마다 아군과 자신에게 적은 보호막을 주며, 최대치는 30이다. 공허 천사는 1단계라면 적을 때릴 경우 적의 최대 체력이 최대 50HP까지 낮아진다.[25]

당연히 단계가 오를수록 회복량과 최대 체력 감소량은 많아지나, 기본적으로 최대 30보호막과 50HP까지는 변함이 없다.
[26] 현재의 트리니티는 과거보다 더 좋은 성능을 자랑한다

여담으로 해당 리메이크에서 패치노트를 보면 대명사가 She/her이다! 여자였던 것이다. 영어 팬덤위키에서도 혼란(?)스러움을 표하는 댓글이 종종 보인다.

2.14.1. 장단점

장점
단점

2.15. 아홀로틀 에이미(Axototl Amy)

파일:bedwars icon.png
Axototi Amy
전용 효과/아이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Use your pet axolotls to empower yourself and nearby teammates with shields, increased attack damage, faster break speed and health regen.
반려 아홀로틀들을 이용하여 자신과 근처 아군을 실드, 증가된 공격력, 더 빠른 파괴 속도, 체력 회복으로 강화하세요.

2021년 11월 1일에 추가된 키트.[30]
상점에서 각각의 아홀로틀를 구매해 자신과 아군에게 버프를 줄수있다.

철 50개로는 쉴드를 주는 아홀로틀을, 철 100개로는 공격력을 올려주는 아홀로틀을[31], 철 80개[32]로는 파괴 속도를 올려주는 아홀로틀을, 에메랄드 6개[33]로는 체력을 재생시키는 아홀로틀을 구입할 수 있다.

아홀로틀은 플레이어 주위를 따라다니며 죽어도 사라지지 않는다.[34][35]

여러 키트와 두루 어울리며, 한쪽에 치우쳐지거나 강한 장점과 단점 보다는 밸런스형 캐릭터라고 보는게 맞다. 다만 아홀로틀들의 사기적인 능력은 좋으나, 쿨타임이 너무 긴 것이 큰 단점이다.

특이점이 있다면 몸 모델링이 일부 다르다.[36]

장비 차이도 극복 할 수 있는 꽤 좋은 편에 속하는 키트이다. 최근 루돌프 에이미 스킨이 홀리데이 번들에 포함 됐는데, 이때 바바리안 처럼 루돌프 에이미가 없는 사람은 번들을 사면 키트도 같이 얻게 되었다.

또한 럭키블록 모드에서 강력한 무기와 갑옷 그리고 모든 아홀로틀로 무장한다면 사실상 올라운더 딜러가 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담으로 아홀로틀 자체는 출시 몇주전부터 유출돼있었다. 때문에 시즌2 업데이트 이후 어부가 아홀로틀 관련 키트로 추정됐다.

또 Easy.gg 에서 베드워즈 이후 만든 prop hunts 에서 사람들을 인게임으로 텔레포트시키는 역할을 한다.

2.15.1. 장단점

장점

단점

2.16. 바네사(Vanessa)

파일:bedwars icon.png
Vanessa
파일:BedWars(Roblox)Vanessa.webp
Super charge your bow to perform a triple shot.

트리플 샷을 수행하기 위해 활을 끝까지 조준하세요.

활과 쇠뇌,헤드헌터를 사용할때 3발을 연속으로 쏠수 있다. 첫번째 화살의 대미지는 정상이지만 2번째, 3번째 화살로 갈수록 대미지가 약해진다. 대미지가 약해진다는 점만 본다면 특별한 이점이 없을것 같으나, 이 키트의 진가는 3발을 연속으로 맞히면 넉백이 엄청나다는 것에 있다[38], 석궁을 사용하면 활처럼 긴 차징 필요없이 3발을 쏠수있기 때문에 매우 사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몇몇 아이템 위치변환기등은 3발 연속으로 쏘지 못하며, 럭키블록 모드에서 택티컬 보우를 얻어도 사용하지 못한다.

넉백을 재외한다면 후반에 애메한 성능을 보유한 활을 넉백, 3연발으로 보충했기 때문의 전체적인 평가는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능력 면에서 아처와 비교되나, 바네사는 넉백과 속사가 장점이고 아처는 후반 원거리 딜러의 역할을 맡기 때문에 공격적인 현재 메타를 고려하면 바네사가 평가가 조금 높은편, 물론 전술 석궁으로 화살을 전부 다 적중시킨다면 아처가 더 좋다.

현재 배드워즈에서 당하는 유저들에게는 가장 짜증나는 키트 소리를 듣는다. 활쟁이 자체도 비호감인데 낙사까지 하면... 타타당

하지만.. 2023년 5월 26일 업데이트로 인해 넉백이 절반 가까이 줄어버려 평가가 확 떨어졌다. 예전에는 전부 맞추면 최대 17칸을 넉백시켰으나, 지금은 잘해봐야 9칸이다. 초탄은 넉백이 동일하나 나머지 차탄 2발의 넉백이 75% 가까이 줄었다. 그럴 만도 한 게, 낭떠러지가 즐비해있고, 판이 15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가 많은 베드워즈 특성상 후반에도 아처보다 바네사의 픽률이 훨씬 높았다. 한 번에 3발을 맞춰도 되지만 다리 위에서 대치 중 3점사 중 하나만 맞춰도 바로 떨굴 수가 있었기에 이러한 조치를 취했다. 초탄을 맞춰야만 떨굴 수 있는 수준.

2023년 8월 업데이트로 차탄 넉백이 어느 정도 복구되었다. 전부 맞추면 최대 12칸을 민다.

2.16.1. 장단점

장점
단점

2.17. 프레이야(Freiya) [41]

파일:bedwars icon.png
Freiya
파일:BedWars(Roblox)Freiya.webp
전용 효과/아이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레이야(BedWars(Roblox))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레이야(BedWars(Roblox))#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레이야(BedWars(Roblox))#|]]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8. 유지(Yuzi)

파일:bedwars icon.png
Yuzi
파일:BedWars(Roblox)Yuzi.webp
전용 효과/아이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유지(BedWars(Roblox))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유지(BedWars(Roblox))#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유지(BedWars(Roblox))#|]]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9. 광부(Miner)

파일:bedwars icon.png
Miner
파일:BedWars(Roblox)Miner.webp
전용 효과/아이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Killing enemies turns them into stone. The Miner can then break down the stone for valuable resources (scaled by price of enemy's armor + sword). Unable to purchase Axes.
적을 처치하면 그들을 돌로 변하게 합니다. 광부는 그 돌을 부수어 값진 자원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적의 갑옷+검의 가격에 비례합니다.) 도끼를 구매할 수 없습니다.

2022년 2월 25일에 번들로 출시된 키트.[42][43]

적을 죽이면 적이 조각이 된다.[44] 조각을 캐면 자원을 얻을 수 있는데 적의 갑옷과 자신의 검에 비례해서 자원을 준다.[45][46] 자원의 양은 상대의 장비 비례여서 초반에는 빠르게 가죽 갑옷을 구매할 수 있고, 후반에도 장비 티어를 올리는데 유용하다. 하지만 이러한 좋은 성능에도 도끼를 구매 할 수 없기에 혹평을 듣기도 하지만 농부, 벌칸, 양봉가, 빌더 키트 등등 꼭 러쉬 하지 않아도 충분히 게임을 잘 굴리는 키트들이 도끼가 필요 없듯이 광부 역시 도끼가 크게 필요한 키트는 아니기에 광부 키트 자체의 성능에는 큰 타격을 주지 못하였다.

바운티 헌터와 비교했을때 바운티의 장점을 단점으로, 단점을 장점으로 바꾼 키트나 다름 없어서 호불호가 갈리는 편이다.
비교 항목 광부 바운티 헌터
자원 획득 갑옷에 따라 다르지만 철갑옷 기준 다이아 4~8개와 철 50개 가량 획득한다. 운이 좋을 시 에메랄드도 조금 얻음 철은 약 20~30개 정도 획득하지만 다이아몬드와 에메랄드를 약 4~7개 정도 획득한다. 평균값은 광부보다 높다.
초반 난이도 아무나 싸워서 자원 획득 가능, 하지만 철 조금밖에 얻지 못함 무조건 타겟과 싸워야 함, 하지만 더 많고 질 좋은 자원 획득 가능
후반 난이도 장비에 따라 다르지만 초반보다 훨씬 많은 철과 에메랄드 획득 가능 초반과 비슷한 양의 자원 획득 가능하지만, 난이도가 높음
러쉬 난이도 힘듦. 실력이 있거나 상대가 집을 비웠다면 가능하겠지만 도끼가 없어 힘들다. 거기에 상대가 나무판자에 강화까지 해놨다면 더더욱. 쉬움. 얻은 자원으로 tnt와 다이아몬드 도끼 등 좋은 장비와 도구를 마련하고 빠르게 러쉬를 갈 수 있음.
이렇게 정리해도 사람에 따라 다르니 참고하는 용도로만 보자.

그러나 광부는 2차례에 걸쳐 획득하는 자원량이 버프를 먹으면서 잊힌 키트에서 재평가 받는 키트로 떠오르고 있다. 사실상 침대 부수는 것은 다른 팀원에게 맡기면 되는 간단한 문제라 요즘 광부는 안전빵을 해줄 팀원이 있는 듀오나 스쿼드에서 간간히 보인다.

시즌 9에서 다이아가 매우 중요해져서 다이아 획득량이 많은 마이너가 큰 떡상을 하였다.

최근 1499로벅스 짜리 홀리데이 번들이 판매되고 있는데 광부가 없는 유저들은 번들을 사면 스킨과 함께 키트를 동시에 얻는다. 작년 2021년 홀리데이 번들과 같은 가격을 자랑할만큼 비싸지만 구성품을 보면 오히려 일반적인 키트 구매보다 훨씬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47]

2.19.1. 장단점

장점
단점

2.20. 사이버(Cyber)

파일:bedwars icon.png
Cyber
파일:bedwars cyber.png
전용 효과/아이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Deploy and control drones to pickup resources from around the map. Drones can also airdrop primed TNT.

드론을 설치하고 조종하여 맵 곳곳에서 자원을 수집합니다. 드론은 점화된 TNT 역시 투하할 수 있습니다.

2022년 5월 1일에 출시한 키트이다.[49]

철괴 50개로 드론을 살 수 있다. 드론으로 한 종류의 아이템을 개수 제한 없이 가져갈 수 있고, X 키를 누르면 버릴 수 있다. 만약 TNT를 소유하고 있으면 드론으로 TNT 테러가 가능하다. 만약 드론이 파괴 되어도 자원이 바로 증발하기 때문에, 적들이 드론을 파괴해 자원을 수급 할 수가 없다.

장점은 고작 철괴 50개로 기지 외부에 가지 않아도 자원 수급이 가능한 것. 이 때문에 얼마 안되어 티어 3 까지 올릴 수 있어서 출시 몇 시간만에 BedWars 최강 키트 중 하나로 바로 군림하게 되었다.
그리고 게임을 시작하면 드론을 들고 시작한다

단점은 드론의 내구도가 15라는 점이다. 하지만 후반부에는 몰라도, 초반에는 큰 피해가 되지 않을 뿐더러, 드론이 빠른 속도로 이동 하기에 근접은커녕 활로 쏘기도 힘든 편이다.

하지만 이 키트의 엄청난 단점 또한 있는데, 조종 키트 특성 상, 자원을 수집 할 때는 무방비 하다는 것이다. 한 순간에 자원을 수집하는데 집중하다가 영문도 모른채 You were killed by [ ] 라고 뜨는 경우도 적지 않고 이 키트의 쉬운 자원 수집이 양날의 검이 되어 상대에게 엄청난 자원을 수급하는 대참사가 일어날 수도 있다. 때문에 솔로에서의 사이버는 매우 낮은 평가를 받는다. 즉, 팀원이 있어야 안전하게 수급이 가능하는 것.

사기 키트라고 불리나, 버그도 정말 많은 키트이다. 드론 화면 조종 불가나, 플레이어 화면 고정 버그, 드론 파괴 불가 버그 등 상당히 심각한 버그들이 많고, 재빨리 고쳐야 할 문제가 있는 키트이다.

다만, 철괴 15개에서 50개로 가격이 상향되어 입지가 조금 밀려난 상태이다. 때문에 초반에 철괴 50개라는 부담스러운 가격으로 평가가 살짝 낮아진 상태.[50]

드론 복사 버그가 있었는데, 이 점을 이용하여 팀 상관없이 모두가 드론을 소유할 수 있는 치명적인 버그가 존재하였다. 얼마 안 되어 제작진들이 패치한 상태이다.

에어리와 함께 삭제 요구를 많이 받는 키트다. 물론 삭제하면 이걸 산 사람들은 호구가 되는 것이고, 그러면 개발자들의 돈줄도 끊어지기 때문에 삭제하지 못한다. 그래서 합리론적 플레이어들은 드론을 에메랄드로 구매하게 해야한다고 주장한다[51].

시즌 8 업데이트로 인해 공격력과 넉백이 매우 심해졌다.

시즌 9 에서 현재 다이아 위치가 에메랄드가 되고 다이아는 플레이어 기지 바로 앞에 있어서 이제는 다이아 모으는 용도로는 쓰기 어려울 것이다. 즉 이젠 에메랄드 모으는 용도로 사용해야 할 것이다. 현재 다이아가 매우 중요해졌으므로 현재 사이버의 평가는 하락했다.

그러나 시즌 10에서 복구(?)되어서 다시 평가가 좀 상승했다.

그리고 드론이 부서젔을때 죽으면 복구가 되는 기현상이 일어난다.

여담으로 외형상 본다면 여성처럼 보이지만, 이 문서의 따르면 (Uncomfirmed) 즉, 아직 성별이 공개되지 않았다.

2.20.1. 장단점

장점

단점

2.21. 이블린(Evelynn)

파일:bedwars icon.png
Evelynn
파일:Evelynn.png
전용 효과/아이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블린(BedWars(Roblox))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블린(BedWars(Roblox))#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블린(BedWars(Roblox))#|]]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2. 한나(Hannah)

파일:bedwars icon.png
Hannah
파일:Hannah.png
전용 효과/아이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나(BedWars(Roblox))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나(BedWars(Roblox))#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나(BedWars(Roblox))#|]]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3. 크립트(Crypt)

파일:bedwars icon.png
Crypt
파일:Crypt.png
전용 효과/아이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laim souls to build your undead army! Unlock for FREE by completing Crypt's Trials!

언데드 군단을 만들기 위해 영혼[52]을 수집하세요! 크립트의 시련을 완수하여 무료로 잠금해제 하세요!

베드워즈 할로윈 업데이트로 나온 키트이다. 발번역으로 인해 크립라고 나오지만 크립가 바르게 읽은 것이다. 현재는 '유적'이다.

크립트는 사람을 처치하면 묘비가 등장한다. 이 묘비를 획득하면 체력바 위에 해골 모양이 하나씩 숫자가 올라가는데, 그 수만큼 소환 지팡이로 해골을 소환할 수 있다.

해골은 죽은 플레이어가 마지막으로 입고 있던 갑옷의 투구와 마지막으로 쓰고 있던 무기를 들고 소환된다.[53][54] 검 공격력이 그대로 적용되면 상당히 밸붕인 탓에 해골이 주는 대미지는 원래 무기의 90% 밖에 되지 않는다.

한 마리일 때는 죽이기 쉽지만, 해골들이 하나 둘 씩 늘어나서 여러 마리를 상대해야 한다면 다구리를 당해 피가 순식간에 깎여 나간다. 심지어 해골들은 크립트 본인이 직접 죽이지 않았어도 팀원, 심지어는 적들끼리 죽인 것을 냠냠해서 얻을 수 있기까지해서 밸런스가 심각하게 문제되는 키트이다. 거기에다 해골들은 엔티티 판정을 받아 머리가 끼이면 압사 안티치트의 발동으로 영문도 모른채 죽어버리기 일쑤이다.

인챈트가 해골에도 적용되기 때문에 30대30과 럭키블록에서 새로운 스폰킬 키트로 활약하고 있다.[55] 심지어 30대 30에서는 위에서 서술했듯 우리팀이 적팀을 죽여도 무덤이 생기고, 적팀에도 크립트가 있다면 적팀이 우리팀을 죽여도 무덤이 생긴다. 크립트가 한 판에 한둘씩은 있으며, 해골도 미친듯이 많다.

현재 사람들은 적들끼리 죽인 것도 크립트가 수집할 수 있게 하는 것은 너무 과한 능력이라며 이에 대해서 수정을 요구하고 있다.[56] 그런데 현재 이 키트가 거의 아예 보이지 않는다.

최근 버프를 먹어 해골 체력이 조금 증가하고, 최대 소환 개수도 6으로 증가했다. 또, 본인이 죽어도 해골들은 각각 50% 확률로 살아남는다. 이 말은 5~6마리 소환 시 해골이 한 마리 정도는 살아있을 거라고 기대할 수 있다는 뜻.[57]

사신과 마찬가지로 공중에 조금 떠있어 한 칸 블록을 점프 없이 이동 가능하다.

2.23.1. 장단점

장점단점

2.24. 제니스(Zenith)

파일:bedwars icon.png
Zenith
파일:BedWars_Zenith.png
전용 효과/아이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Deploy a satellite to disrupt enemy team economies. Enemy shop prices are increased and you get a cut of each purchase!

적 팀의 경제를 망가뜨리기 위해 위성을 설치하세요. 적 팀의 상점 가격이 증가하고 당신은 각각의 구매 비용의 일부를 얻습니다!

11월 19일 업데이트로 추가된 키트. 모티브는 인공 위성+세금 징수원+외계인.

4에메랄드로 위성 접시를 살 수 있는데, 위성 접시에 자원을 넣고 다른 한 팀을 지목할 경우, 그 팀에 인플레이션이 일어나 상점 가격이 높아진다.[65] 상대가 아이템을 구매할 경우, 올라간 가격에서 원래 가격을 뺀 자원만큼 자신에게 고스란히 들어온다!

특히 인원 수가 많은 30대30에서는 자원이 엄청나게 많이 들어와 불과 몇 분만에 에메갑옷을 입고 상대팀 스포너에 화염구를 던지며 스폰킬을 하는 가히 사기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게다가 이 위성접시는 화염구나 화살, 도구로 파괴되지 않는다! 한마디로 절대 부술 수 없는 블록이라는 것. 설치한 제니스 본인만 부숴서 회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같은 원격 자원 수집 키트인 사이버는 드론이 공격을 받으면 파괴됨과 동시에 그 자원이 파괴자한테 돌아간다는 점 때문에 간접 너프되어 나락 코인을 타게 되었다.-- 하지만 업데이트로 파괴할 수 있게 되었다....

단점은 죽으면 안 된다는 점. 죽으면 위성이 파괴되고 위성 접시 역시 사라져버린다. 그리고 다시 복구하기 전까지의 그 사이에 상대가, 특히 엠버가 장비를 맞추고 들어온다면 스폰킬 당하는 것은 시간 문제. 거기다가 스쿼드에서 쓰면 사람들이 잠재적 위협을 미리 제거하기 위해 제니스가 있는 팀부터 집중 공격을 하기 시작한다.

또, 사람이 많을 수록 자원이 많이 들어오므로 사람이 적은 솔로에서의 제니스는 매우 저평가 받는다.

최근 버프로 위성가격이 2 에메랄드로 매우 저렴해졌다!
하지만 위성 수명이 4분으로 고정돼서 밸런스가 적당히 맞춰졌다는 평이 많다.

2.24.1. 장단점

장점
제니스가 상점 가격을 올리면 상대는 울며 겨자먹기로 비싼 값에 아이템을 사는데, 그 올라간 가격만큼의 자원이 고스란히 제니스에게 돌아온다! 특히 30vs30에서는 인원 수가 많아 들어오는 자원이 기하급수적이라 미친 듯한 효율을 보여준다.[66]
제니스로 인해 상점 가격이 올라간 상대 팀은 장비를 맞추는데 자원과 시간이 소모가 많이 되고, 그로 인해 발전이 느려져 쉽게 당하기 일쑤이다.
제니스가 있는 팀이 블루 팀이라고 치면, 원래는 레드 팀에게 인플레이션을 일으켰으나 그린 팀이 급작스럽게 장비가 좋아졌을 경우, 이들을 견제하기 위해 즉시 그린 팀으로 타겟을 변경할 수 있다. 또, 이후 옐로 팀이 심기를 불편하게 하면 타겟을 옐로 팀으로 변경하여 전략적인 플레이를 보여줄 수 있다.

단점자만하며 뻐기다가 죽게되면 위성이 사라져버리므로 제니스는 죽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특히 럭키블록 모드는 좋은 장비를 가진 상대가 진짜 많이 출몰하기 때문에 제니스는 모드를 고를 때 신중해야한다. 또, 좋은 장비와 풍선, 진주를 많이 챙겨놓는 것이 중요하다.
제니스의 위성 접시는 에메랄드 6개 값을 하기 때문에 죽을 경우 손실이 매우 크다. 이 사이에 제니스가 죽을 때까지 존버 타던 플레이어들이 순식간에 장비를 업그레이드하고 오면 답이 없다.
제니스가 인플레이션을 일으키면 제니스의 닉네임이 그 즉시 상점에 뜬다. 그러면 그 이후로부터는 사람들이 어떻게든 가격을 낮추려고 하기 때문에 제니스가 있는 팀을 집중공격하게 된다. 또, 리더보드 업데이트로 인해 이제 상대가 무슨 키트를 사용하고 있는지 모두 뜨기 때문에 아예 초반부터 작정하고 러쉬를 올 가능성도 적지 않다.

2.25. 아데툰드(Adetunde)

파일:bedwars icon.png
Adetunde
파일:Adetunde.png
전용 효과/아이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데툰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데툰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데툰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6. 위스퍼(Whisper)

파일:bedwars icon.png
Whisper
파일:Whisper.png
전용 효과/아이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ontrol a Spirit Owl to support ally players. Unlocked at Player Level 10.

영혼 올빼미를 다루어 근처 팀원들을 지원하세요. 플레이어 레벨 10에서 잠금해제됩니다.

시즌 7 업데이트로 출시된 키트이다. 배틀패스 키트가 아니며, 최초의 플레이어 레벨 달성으로 얻을 수 있는 키트이다. 위에서 설명했다피 플레이어 레벨 10이 되면 얻을 수 있다.[67]

위스퍼는 시작하면 영혼 올빼미가 주어진다. 영혼 올빼미를 들면 주변 플레이어들에게 파란색 마름모가 뜨는데, 올빼미가 파란색 마름모가 뜨는 플레이어에게 날아간다.

사용 가능한 스킬은 총 가지. 서포트 키트 치고는 사용 가능한 스킬이 많은 것이 메리트이다.

첫번째 능력은 힐. 올빼미가 부착된 팀원에게 20씩 힐을 준다. 이 힐이 1vs1에서 굉장히 유용하게 쓰인다. 원래 쿨타임은 5초였으나, 버프를 먹고 4초로 줄어들었다. 근데 다시 너프를 먹고 8초로 늘어났다. 일정량만큼 힐을 받으면 이속 증가도 함께 부여받는다.

두번째 능력은 리프트. 사실 이 키트가 가지는 최고의 서포트. 시즌 7부터는 풍선이 삭제되어서 공허로 떨어지면 그대로 죽지만, 위스퍼의 올빼미가 있다면 낙하해도 올빼미가 들어올려준다. 어느 게임에서나 파티로 영입하면 든든한 아군이 되어주고, 특히 바바리안이나 제피르처럼 죽지 않고 킬을 많이 해야 하는 업그레이드형 키트들에게는 최고의 서포터나 다름없다. 다만 밸런스 붕괴를 의식해서인지 쿨타임이 60초로 굉장히 길며, 이전에는 공중에서 대미지를 받아도 올빼미가 계속 들어올려 주었으나, 유저들의 밸런스 조정 요구로 인해 이제는 올빼미가 들어올려 주던 중 대미지를 받을 경우 떨어진다.[68]

세번째 능력은 깃털 날리기. 컴퓨터는 마우스 좌클릭, 모바일은 화면을 꾹 누르면 깃털을 발사할 수 있다. 깃털은 상대에게 15대미지를 주고, 갑옷 방어력을 40% 무시한다. 그래서인지 다이아 갑옷을 입어도 맞으면 꽤 아프다.

네번째 능력은 영혼 올빼미 부여/회수. 그냥 영혼 올빼미를 거두어 들일지, 보내줄지를 결정하는 능력이다. 우습게도, 위스퍼에게 유저들이 굽실거리는 이유가 바로 이 능력이다.

현재 메타에서는 최강의 서포터 키트로 칭찬받는다. 업그레이드형 키트를 선호하는 유저들에게는 파티로 위스퍼를 구하면 무기 최종 강화가 매우 쉽다. 게다가 힐에 이속 증가까지 주고, 위급 상황 시에는 영혼 올빼미 덕분에 살 수 있다.

물론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닌데, 조종형 키트라면 반드시 따라오는 최악의 단점인 조종 도중에는 이동이 불가하다라는 단점이 있다. 또, 시간 차가 있기 때문에 팀원이 떨어졌을 때 리프트 스킬을 써도 인식이 안되어서 지원받던 팀원이 죽어버리기도 한다.

위스퍼는 게임 내부적으로도 문제를 만들기도 했다. 일단 플레이어 레벨 10레벨만 올려도 누구나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지금 30vs30으로 가면 팀원 중에 위스퍼가 굉장히 많으며[69], 만약 위스퍼가 없는 팀은 있는 팀에 비해 성장이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하다고 봐도 무방하다.

또, 업그레이드형 키트들이 위스퍼를 달고 와 무기를 한 번에 풀업글 하고 스폰킬을 하기도 하며[70], 만약 위스퍼가 핵쟁이에게 올빼미를 붙여준다면 무슨 일이 일어날지는 누구나 다 알 수 있을 것이다.[71]

추가적으로, 자기에게 올빼미를 붙여줄 것을 강요하거나, 위스퍼가 자신에게 올빼미를 붙여주지 않으면 욕설&패드립을 시전하거나 트롤 행위[72]를 자행하는 악질 유저가 넘쳐나게 만든 데에도 한 몫하기도 했다. 심지어 가끔씩 올빼미가 붙은 상태로 죽으면 (특히 공허사) 위스퍼한테 따지거나 화내기도 한다. [73]

여담으로, 영혼 올빼미의 텍스처가 이블린의 영혼 오브를 재탕한 것이다.스피릿 엘더 트리 스킨도 이러더니 텍스처 만들기 귀찮았나보다.[74] 그런데 이블린 퀘스트가 생기며 둘이 커플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2.26.1. 장단점

장점

단점

2.27. 라일라(Lyla)

파일:bedwars icon.png
Lyla
파일:BedWars_Lyla.png
전용 효과/아이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Your bow is replaced with the Floral Bow! Shooting an enemy twice will bloom a flower on their head, attracting a swarm of bees!
당신의 활은 꽃 활로 대체됩니다! 적을 두 번 쏘면 머리에 꽃이 피고 꿀벌 떼를 끌어들입니다!

시즌 7 업데이트 중반 쯤 출시한 키트이다. 이름의 모티브는 꽃의 이름인 라일락으로 보인다.

라일라는 활과 석궁, 그리고 헤드헌터가 각각 Rose Bow, Rose Crossbow, Rose Headhunter로 바뀐다.[76] 활은 두방을 때리면 상대의 머리에 장미꽃이 피고 벌이 나타나면서 도트딜이 들어가고, 석궁과 헤드 헌터는 한방이면 도트딜이 활성화 된다. 헤드헌터의 경우는 대미지가 더 높은 벌이 나타나며, 갑옷 방어력 무시 25%가 적용된다. 또한 바닥에 화살을 쏴서 꽃을 피울수있다. 이 꽃은 도트딜을 받고있는 적이 꽃을 밟거나 근처로 가면 대미지가 증가한다. 그리고, 도트딜을 받고있는 적에게 화살을 맞출수록 대미지가 증가한다. 이 대미지 증가는 제한이 없.[77]

인챈트, 특히 감전을 붙이고 스폰킬을 하는 사기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바람에 결국 출시 다음 주에 도트딜에 인챈트가 적용되지 않는 너프를 먹었다. 하지만 인챈트 없이도 에임만 좋으면 에메랄드 갑옷도 순식간에 죽이는 것이 가능해 이 너프는 아무런 타격을 입히지 못했다. 물론 다른 키트가 그렇듯이 사용하는 사람이 점점 적어졌다.

너프를 한번 더 먹어 원래 블록 설치가 불가능한 곳에서 화살이 박히지 않는다. 사실상 무의미한 너프나 다름없다.

하지만 최근 지속적인 너프와 대미지 하락으로 인해 그저 그런 키트가 되었다. 하지만 에임만 좋다면 여전히 대미지를 무한정 올릴 수 있어서 큰 너프라고는 말하기 힘들다. 그냥 에임에 따라 가치가 결정되는 셈.

장미 헤드헌터의 경우는 시즌 8 업데이트 2일만에 잠수함 패치로 나왔다.[78]

이전에는 무한 중첩이 가능해 순식간에 죽여졌지만 조금 더 힘들어진 편.

약탈 인챈트와의 궁합이 좋다. 여러 번 대미지를 주기 때문에 많이 뺏을 수 있다. 또한 불 인챈트의 경우 대미지가 엄청나게 들어가고, 크리티컬, 스태틱도 좋다. 공허 역시 도망가는 딸피의 적을 한 대만 맞춰도 제압 가능하게 해주므로 좋다.

2.27.1. 장단점

장점
단점

2.28. 탈리야(Taliyah)

파일:bedwars icon.png
Taliyah
파일:Taliyah.png
전용 효과/아이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Buy eggs & hatch them into chickens! Chickens can either be sold back to the merchant or deployed in combat!
달걀을 사서 닭으로 부화시키세요! 닭은 상인에게 다시 팔거나 전투에 배치할 수 있습니다!

시즌 8 3번째 업데이트에 출시된 키트이며 아일랜드 허브섬의NPC이다.


플레이어 레벨 15에 무료료 얻을 수 있다.[79]
여담으로, 일반 베드워즈를 하려면 가야 되는 NPC의 모습과 같다.

게임을 시작하면 알을 살 수 있다. 알과 닭의 가격은 1분 30초 마다 동일하게 바뀌며 알을 설치해 닭을 키울 수 있다.
이렇게 키운 닭은 상점에 팔아 현재 알 가격과 같은 자원을 얻거나 던져서 공격을 할 수 있다.

공격용으로 설치된 닭의 공격력은 높으나 적을 잘 따라가지 못할 때가 있기 때문에 적에게 최대한 가까이 던져야 하며, 닭은 직접 처치해야 하기 때문에 상대방이 닭과 대치 중인 곳의 반대 방향에서 공격해 온다면 상대방은 앞뒤가 봉쇄당하는 셈이기 때문에 적에게 진입하기 전에는 항상 닭으로 어그로를 끈뒤 뒤에서 공격을 하자. 귀여운 닭이 꽤 쎄다.
이 닭은 대장간에서 더욱 강하게 만들수 있다.[80]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edWars(Roblox)/대장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edWars(Roblox)/대장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edWars(Roblox)/대장간#탈리야|탈리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알의 가격이 낮을때 많이 사고 가격이 높을때 되파는 것으로 이윤을 남기는 플레이도 가능하나, 닭의 주 사용처는 싸움이기 때문에 상대방의 공격에 유연하게 대처할수 있게 두마리 이상은 남겨두는 것이 이상적이다.

다만 후반의 탈리야의 닭들은 라이프 스틸이 있는 상대에게 되려 체력을 채워주기 때문에 힐밴을 걸지 못하는 이상 오히려 악수가 된다.
시즌 9 업데이트로 팀의 시대가 올라갈수록 닭들도 강해진다. 그런데 시즌 10이 되며 닭의 티어를 상점에서 둥지를 구매해 일일이 올려야 하는 너프를 받았다. 둥지는 순차적으로 구매할 수 있다.
유저들사이에서는 도박꾼이라고 불린다.

2.28.1. 장단점

장점단점

2.29. 마일로(Milo)

파일:bedwars icon.png
Milo
파일:BW_Milo.png
Disguise as a block and pickpocket from other players!.
블록으로 변장하여 다른 플레이어를 소매치기 하세요!
외형은 카멜레온을 따 온 것 같다.

이 키트의 능력은 R키를 눌렸을 때 바라보는 블록과 똑같은 블록으로 변한다. 멈췄을 때 몇 초 뒤에 진짜 블록처럼 고정된다. 이 키트의 최강의 능력은 블록으로 변할 때 자원을 뺏는 것이다! 뺏기도 쉽고[86][87], 많은 양의 자원을 뺏는 아주 사기적인 능력이 있다. 다만 게이지가 있어서 다 닳는다면 숨지를 못하고, 공격하거나, 피격하거나, 부수면 바로 풀리고, 블록으로 변한 상태일 때 움직이면 발자국이 보인다.

그러나 전투에서는 별 효과가 없어서 공격용으로 쓰기엔 애매하다... 인줄 알았으나 가만히 위장하다가 무기를 휘두르면 기습을 할 수 있어 다방면으로 사용이 가능해졌다!

2.29.1. 장단점

장점
단점

2.30. 엘드릭(Eldric)

파일:bedwars icon.png
Eldric
파일:Eldric.png
전용 효과/아이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Drain health from enemies or sacrifise your health to heal allies.
상대방으로부터 체력을 흡수하거나 자신의 체력을 희생하여 팀원들을 회복시키세요.

할로윈 기념 출시한 무료키트이고,이벤트를 통하여 얻을 수 있었다.

처음 시작할 때 지팡이가 지급된다.지팡이로 적을 때려서 체력을 흡수하고 적을 죽여서 스탯을 쌓을 수도 있고, 아군을 회복시킬 수 있으며,[89] 스탯이 쌓이면 지팡이의 대미지가 더 강력해진다.[90]

위에 능력만 보면 굉장히 사기적이고, 많은 유저들에게 호평을 받는 키트이지만, 실제로 써보면 별로 좋지 않다. 스탯을 쌓으면 쌓을수록 점점 강해지지만, 반드시 지팡이로만 죽여야 하고[91],지팡이를 들고있을 때만 대미지가 들어가며, 초반에 들어가는 대미지가 너무 약해서[92] 피흡도 적게 된다. 그리고 지팡이로 공격하는데도 꽤 오래 시간이 걸려서 초반 1대 1할때 지팡이를 쓴다면 절대 이길 수 없다. 심지어 사거리도 일반칼과 비슷해서 초반에는 칼로 때리는게 훨씬 효율적일 정도. 쿨타임은 매우 짧지만 기술 시전 시간이 1초정도 걸리기 때문에 막타를 따려다 죽는 경우가 많다.[93] 이러다 보니 운영 난이도는 모든 키트들 중에서도 가장 어려운편에 속한다.

1대 1을 할 땐 스탯을 올리기 위해 지팡이로 막타를 치려다 상대를 놓치거나 상대한테 죽는 경우가 많고, 팀이랑 같이 치면 상대를 공격을 안 하고 팀 힐만 해주기 때문에 스탯을 올리기가 상당히 어려우며, 멀어지거나 무기를 바꾸면 그 개미 눈곱만한 딜도 안 들어가기 때문에 사실상 스폰킬 말고는 답이 없게 만들어 놨다. 만약 에어리처럼 스폰킬 방지 너프를 먹는다면 이 키트는 아마 나락으로 떨어질 것이다.[94]

1대 1 할 때 지팡이로만 도망치면서 공격하면 된다는 사람들도 있는데 전혀 아니고, 도망치면서 때려도 상대가 따라온다는 보장도 없으며 사거리도 너무 짧아서 절대 불가능하다.[95] 아무리 열심히 튀어도 상대가 대시 키트라면 상대를 킬을 하는 것 조차도 힘들어진다.

카운터 키트는 너무 많아서 거의 모든 공격형 키트와 대시 키트가 모두 카운터다.

스쿼드에서는 사람이 많고, 사람이 많은 만큼 막타가 쉽기 때문에 나름 쓸만하지만, 솔로에서는 최악의 성능을 보인다.초반에 지팡이로 막킬을 따려다 죽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스탯을 쌓더라도 대미지가 개미 눈곱만큼 들어가서[96][97] 차라리 워리어가 나을 정도다.

아이러니하게도, 30대 30에서 고인물이 들면 1대 20을 일방적으로 학살하는 부대 절단기로 돌변한다. 즉 인원이 충분히 많고, 실력이 따라줘야 제값을 한다. 스탯을 많이 쌓는다면? 그러면 최강자가 될 수 있다! 스탯을 20정도만 쌓아도 도망치면서 적을 죽일 수 있으며, 스탯이 40 이상 쌓이면 적의 기지에 가서 무한 스폰킬이 될 정도다. 게다가 피흡도 증가하기 때문에 절대 죽지도 않고, 여기다가 좋은 인챈트까지 바른다면 그 누구도 엘드릭을 이길 수 없다![98][99]

원래는 가디언을 킬로 처주었지만, 너프가 되어 이제는 킬로 처주지 않는다.

그러나 단점이 너무나도 많아서 이벤트 난이도 값을 못한다.[100]

심지어는 너프를 먹어 15스택만 쌓일 수 있도록 패치되었다. 아예 싹이 뽑혀버려 엘드릭의 입지가 좁아졌다.

위 문장들을 보면 쓰레기로 보이겠지만, 엘드릭의 진가는 따로 있다. 바로 밑에..

스택을 빠르게 쌓고 싶다면, 팀들 중 잘하는 팀원을 지팡이로 지원하여 붙어다니면 된다. 엘드릭이 지원하고 있는 팀원이 킬을 하게 되면 스텍이 쌓이게 되므로 빠르게 스택을 올릴 수 있다. 그리고 팀원을 도우는 과정에서 체력이 깎이면 적을 공격하여 체력을 채우고, 팀원을 도우고를 반복할 수 있다.[101]

여담으로, 리안을 끼고 시작할때 칼 양 그림이 엘드릭의 지팡이로 나오는 버그가 있다.

디자인의 모티브는 리그오브레전드 요릭으로 보인다.

2.30.1. 장단점

장점
단점
여담으로,단점이 가장 많은 키트이다.
계다가 위 단점들은 킬로 스택을 쌓는 경우만 생각하고 있다. 그리고 애초에 지원키트인 엘드릭을 공격용으로 사용하는게 비정상이다.

*13시즌 한정 장점*
-- 검의 연타 대미지가 감소하여 엘드릭의 사기성이 증가했다 신지어 시즌 업댓 지난주 엘드릭의 초반 대미지가 2상승하며 사기성이 돋보이고 있었는데 시즌변경이 검의 차징추가와 연타대미지 50%감소로 이어져 엘더트리를 제외한 탱커와 원거리가 횔개를 치는사이 독보적 사기키트 1위를 차지하며 가죽갑과 2스택만 있으면 스쿼드 기준 스폰킬이 가능하며 6분이내에 풀스택을찍눈 만행이 매메치마다 일어나며 배드워즈 디스코드는 엘드릭을 차단하라,너프해라등 불만을 표출하고 있으나 운영자는 무대응중이다 아마 랭크전이 아니며 이후 너프를 관속으로 들어갈때까지 먹일테니 잘버텨봐 라는듯 인거같다.
최근에는 제핑(회복감소)이 테슬라,아레스에게만 적용되도록 제핑 사지절단 너프를 진행한상태라 논빌드에서는 엘드릭팀을 초반에 멜망시키는 일명 러쉬댁과 아레스 키트와 낙사가 아니면 3스택 이상이라도 쌓은 엘드릭을 절대 이길수가 없다.
엘드릭을 너프하라는말을 디스코드 저널에서 하면 개발자들은 개무시를 하지만 유져들은 동조하는 분의기가 시즌출시직후부터 조성되었다.
이글을 작성하며 엘드릭은 서포터지 대미지딜러가 아니다라고 하니 딜러이며 힐러이며 그리고 탱커다 라는 라임이 붙었다.
추가로 엘드릭 워즈라는 별명이 추가됬다 핵쟁이랑 싸워서 이길거 같다는 루머가 돈다
한국 시간 기준 2025년 4월20일 오전1시30분경 엘드릭의 초반 흡수로 얻는 회복량이 2감소하는 잠수함 너프를 먹었다. 그레봐야 딜이 쌔서 아직 사기다. --이 다음주 업댓에 힐러 대부분 회복량 너프먹이며 엘드릭은 관짝으로....가긴했는데 15스택까지가며 유지력은 내려갔지만 대미지는 더럽게 쌔다

2.31. 리안(Lian)

파일:bedwars icon.png
Lian
파일:Lian_BedWars.png
전용 효과/아이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A mysterious warrior gifted by the dragon. Control swords to fight your enemy
용의 능력을 가진 불가사의한 전사입니다. 검을 다스려 적과 싸우세요.

2024년 용의 해에 출시된 키트이다.

리안은 게임이 시작되면 일정 시간마다 검이 자동으로 근처에 생긴다. 이 검은 최대 3개까지 생긴다.

검은 한 개씩 유도탄처럼 날리거나 3개를 한꺼번에 광역 공격으로 날릴 수 있다. 3개 광역 공격은 불 대미지도 붙어 있어 30 vs 30 킬팜에 좋다.

칼 대미지가 업그레이드되면 검도 대미지가 강해진다.

다만 사용하는 사람이 적고, 같은 중국풍 키트인 유지에 비해 존재감이 없어(...) 고인물 아니면 쓰기 힘든 키트다. 한마디로 연구가 필요한 키트다.

남성같아 보이지만 공식 설정 상 여성이다.뭔 남장여자 키트가 점점 많아지냐

2.31.1. 장단점

장점

단점

2.32. 마리나(Marina)

파일:bedwars icon.png
Marina
파일:Marina_BedWars.png
전용 효과/아이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Deploy jellyfish and electrify them with your Electric Pulse ability, causing them to zap nearby enemies. Connect jellyfish to increase the range and power of your ability.
해파리를 설치하고 당신의 전기 충격 능력으로 그들을 충전시켜 근처 적들을 감전시키세요. 해파리를 연결시켜 당신의 능력의 범위와 힘을 증가시키세요.


2024년 6월 22일 여름 업데이트의 번들로 출시된 키트, 전체적인 모티브는 원신산고노미야 코코미푸리나.

역대 키트중 가장 역겹고 카운터를 치기가 힘든 키트라는 말이 있다.[110]

시작하면 해파리를 하나 준다, 이 해파리는 블록처럼 설치 할 수 있으며, R키 주변에 있는 해파리 모양 게이지가 다 차면 해파리 하나를 더 주는 방식으로 최대 4까지 설치가 가능하다. 해파리를 설치한 후, R를 누르면 해파리가 스태틱 공격을 한다, 이 스태틱 공격은 해파리를 점점 많이 설치할 수록 증가되는 방식이다. 대신 범위 밖에서 스킬을 쓰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원래는 4개를 다 설치해도 해파리를 계속 받을 수 있었지만 너프로 4개를 설치해도 인벤토리에 해파리가 들어
오지 않는다. 때문에 해파리가 조금밖에 남지 않으면 스킬을 써도 킬하기 힘들다.

2.32.1. 장단점


장점


단점

2.33. 트리톤(Triton)

파일:bedwars icon.png
Triton
파일:Triton.png
전용 효과/아이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An agile warrior with a Trident! Hurl your trident toward a wall, or your opponents, to quickly travel and dominate the battlefield.
삼지창을 든 민첩한 전사입니다! 삼지창을 벽이나 적에게 던져 빠르게 이동하고 지배하세요.

2024년 6월 29일날 출시한 399 유료 키트이다. 모티브는 그리스 신화의 바다의 신인 포세이돈의 아들 트리톤.

상점에서 철 40개로 삼지창을 구매할 수 있다. 삼지창은 던져 벽에 맞추면 맞춘 곳으로 빠르게 이동이 가능하다. 삼지창을 차징할 시 더 멀리 이동할 수 있다. 만약 바닥에 착지하지 않고 벽에 붙었다면, 차징을 한 만큼 벽에 매달려 있을 수 있다. 벽에 매달리고 있을 때, 아래 쪽에 있는 파란색 게이지 바가 다 차면 자동으로 떨어진다.

만약 삼지창을 적에게 맞춘다면, 적은 잠시동안 스턴이 된다. 하지만 스턴 시간은 짧은 편에 속한다.[113]

출시된지 얼마 지나지 않아[114]아직 좋은 기술이라고는 낙사 씹기지만, 계속해서 연구가 진행 중이다.

2024년 7월 13일, 삼지창의 최대 거리와 속도가 증가하고 삼지창을 차징 하지 않아도 최대 거리까지 갈 수 있도록 버프되었다! 이 버프로 인하여 트라이톤이 모든 곳에서 OP성능을 보이고 있으며, 현재 가장 까다롭고 짜증나는 키트 중 하나이다. 너무 과잉 버프를 준 것 같다는 의견이 대부분.

2.33.1. 장단점

장점매우 긴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이걸로 멀리서 러쉬 하러 갔다가 내빼기에 좋다.
적에게 삼지창을 맞추면 스턴이 된다. 이 덕분에 장비 차를 순식간에 극복할수 있다.

단점삼지창을 사려면 40철[115]이라는 극초반에는 만만치 않은 양의 철이 든다.초반에 침대를 깰 생각이라면 팀원에게서 철을 좀 받지 않는 이상 2분정도는[116]있어야 확실히 침대를 깰 수 있다.

2.34. 아라크네 (Arachne)

핼러윈 기념으로 나온 무료 키트이며 Arachne's Lair(아라크네의 굴)라는 이벤트 모드를 클리어하면 Spider slayer(거미 살해자)라는 칭호와 함께 지급된다.
난이도는 역대 핼러윈 이벤트중 가장 쉽다.[117]

스킬은 두가지이며, 첫번째 스킬은 누를시 조준점이 뜨고 무언가를 맞추게 되면 그위치로 쭉 거미줄이 생기는 기술이다. 이 거미줄은 같은 아라크네만 밟을 수 있고 다른 사람이 밟으면 이동속도가 잠시 느려진다. 블록 대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두번째 스킬은 자신이 소환한 거미줄 위에 거미를 소환시키는 기술이다. AI가 멍청하긴해도 쓸만하다.

1대1에서 나쁘지 않은 성능을 보여줄 수 있다.초반에 상대팀에 들어가서 거미줄 소환한 다음 거미 소환하면 거의 무조건 이길 수 있다.[118]

2.34.1. 장단점

장점
단점

2.35. 트릭시(Trixie)

399로벅스나 10000 베드코인으로 구매 가능하다.

스킬은 크게 2가지가 있다.
첫번째 스킬은 R키를 눌러 바라보는 방향[122]으로 약 7블록 정도 순간이동한다.쿨다운은 약 12초이고 상대를 때리면 조금 줄어든다.

두번째 스킬은 Q키를 눌러 R키로 이동한 곳으로 다시 돌아가는 스킬이다.이걸 이용하면 떨어질 때 다시 위로 올라가 살 수 있다.
다만 R스킬을 쓰고 6초까지만 쓸 수 있다.

바라보는 방향으로 순간이동한다는 점을 이용해 상대 뒤로 가서 싸우면 훨씬 이기기 쉽다.

왜 일반 키트에 속해 있는진 모르겠으나, 엄연히 시즌 12 키트이다.
시즌 12에 관한 내용은 배틀패스 키트 파트를 참고하자.

2.35.1. 장단점

장점
단점
* 긴 스킬 쿨다운
R스킬 쿨다운이 12초로 꽤 긴 편이다.상대를 때리면 쿨다운이 줄긴 한다.

3. 삭제된 키트 목록

3.1. 마법사(Wizard)

파일:bedwars icon.png
Wizard
파일:BedWars(Roblox)Wizard.webp
전용 효과/아이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Use a magical staff to cast lightning strikes and electricity orbs.

마법 지팡이를 사용하여 번개 공격과 전기 오브를 소환하세요.

8.17 업데이트로 새롭게 생긴 키트.

3에메랄드로 살 수 있는 마법사의 지팡이로 2가지의 마법을 쏠 수 있다.[124]

굉장히 좋은 능력을 소유하고 있는 키트이며 상위 키트들과 거의 비슷한 능력의 키트다.

번개공격은 활처럼 쏘는데 쏴서 닿은 그 곳에 땅 색깔이 파란색으로 잠깐 변하더니 그 곳에서 번개가 내리는 마법이다. 대미지는 노갑옷 기준 30대미지이다.[125][126]
그리고 상대 침대 를 집요하게 공략하기 좋다.

일렉트릭 오브는 붉고 큰 플라즈마 구를 발사하는데 사거리가 짧지만, 전기오브의 주변에 있으면 노갑옷 기준 2~5 대미지 정도 들어간다. 대미지가 너무 약해서, 공격을 가장한 견제용이다. 물론 이 오브의 근처에 있는 상대는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에 상대가 텔레포트 진주가 없거나 제이드/보이드 리젠트 키트가 아니라면 눈 앞에서 마법사를 놓쳐버리는 광경이 펼쳐진다.그러나 플라즈마 구의 공격 방식은 연타 공격으로 어느 정도 구에 붙어 있다면 3회 정도를 타격당해 풍선이 찢겨 나가는 풍경을 볼 수 있다. 잘만 쓴다면 풍선쟁이들의 카운터.[127] 또한 라이트닝 오브 기술이 가벼운 넉백이 있어서, 전투중 오브를 쏘면 일방적인 공격이 가능하다.

대부분의 키트전용 무기[128]가 근거리지만 마법사는 아처와 함께 대표적인 원거리 키트라고 할수 있다. 하지만 대미지가 낮으며 서포팅 용에 더 특화 됐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출시 당시에는 활용도가 낮은 번개 공격과 느리고 약한 파이어 볼 공격으로 평가가 박 했으나 시간이 지나며 일렉트릭 오브가 도주, 공격 등 다방면에서 범용성이 좋아 재평가 된 덕에 1티어인 아레스, 트리니티, 바바리안, 아처, 제이드, 양봉가급은 아니나 그 아래의 엘더트리, 낚시꾼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중견급의 좋은 키트로 올라 왔다. 최근 인챈트 테이블이 출시가 되면서 지팡이에 화염 인챈트가 붙으면 상상을 초월하는 대미지 를 줄 수 있다

30vs30 모드에서 라이프 스틸 인챈트와 장비를 맞추고 대량의 화염구를 사서 적기지에 개돌하여 일렉트릭 오브를 쏴주면, 엄청난 피흡이 들어와 끈질기게 버틴다. 하지만 지팡이의 쿨타임이 은근히 길기 때문에 화염구로 최대한 체력관리를 해줘야된다

최근 번개 관련 효과에 힐벤이 생겼는데 마법사의 2가지 마법에도 힐벤이 적용되어 입지가 많이 올랐다.

05/06일자 업데이트로 마법사는 제노 키트로 리메이크가 되었다.

3.1.1. 장단점

장점
단점

[1] 시즌 11 신키트는 479 로벅스[2] 단, 위스퍼는 반드시 플레이어 레벨 10을, 탈리야플레이어 레벨 15를 달성해야 얻을 수 있다.[3] 만약 플레이어 레벨을 20 이상 달성했을 경우, 무료키트가 4개로 바뀐다.[4] 하지만 배드워즈가 3주년을 맞이했을 때에는 무려 키트 6개가 무료로 풀렸었다! 플레이어 레벨 20 이상은 7개가 무료로 풀렸다.[5] 그냥 할로윈 또는 크리스마스 시즌 한정이라 보면 된다.[6] (구)마법사(Wizard)[7] 많은 한국인들이 불칸이라고 부르는데 발음은 'vʌ́lkən' 이고, 읽으면 벌칸이다. 자세한 것은 링크 참조[8] 공허 인챈트로 인한 처치의 경우 무한*12/100가 무한이기 때문에 hp가 전부 다 찬다![9] 테슬라를 잘 설치하여 엄청난 공속으로 무자비한 공격을 한다면 엄청나게 많은 힐 구슬들이 들어온다![10] 어쩌면 장비빨을 극복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키트.[11] 그러나 패치로 인해 테슬라로 공격할 경우 더이상 힐이 되지 않는다.[12] 갑옷의 등급이 높을수록 회복량도 적어지기 때문에 후반에는 죽이기까지 필요한 타수를 늘려주는 역할을 가지고 있다[13] 멜로디는 힐에 특화가 돼 있어 공격을 못하지만 트리니티는 힐량을 좀 포기한 대신, 공격을 할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14] 근데 타이탄이 나올 때까지 3킬을 못했다는 것은 의미할까...?[15] 현재 패치 되어 불가능하다.[16] 자힐이 불가능함과, 아군이 근처에 있어야 한다는 2가지 상황을 충족해야 하기 때문에 평가가 낮다[17] 빛의 천사이 기본적으로 힐이 더 많아 버티기 용으로 공허 천사보다 낫다. 이걸 이용해 팀원 전부가 빛의 천사를 껴 적을 공격하며 다른 팀원에게 서로 힐을 해주는 플레이가 있다! 하지만 이제부터는 근접으로 때려야 힐이기에 아군의 컨트롤이 중요한 탓에 그냥 내가 직접 쓰는 공허 천사를 더 많이 선택한다.[18] 이는 Adopt Me! 같은 게임 패스가 매우 많은 게임들에게 흔하게 보이는 특징이다.[19] 빛의 천사도 마찬가지다.[20] 30대30 모드에서 트리니티 + 라이프 스틸 인챈트 조합으로 스폰킬을 하는 매우 사기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21] 파이로는 공허 천사를 서포트해 힐량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22] 라이프 스틸은 각각 다른 적들을 때리면 힐 효과가 중첩이 되어 다수전일수록 힐량이 늘어난다.[23] 지금은 패치되어 더이상 불가능하다.[24] 그런데 잠수함 패치를 먹어서 또 가능해졌다.[25] 일정시간이 지나면 원래대로 돌아오는 것으로 보인다.[26] 배드워즈는 한 대라도 더 맞추는 것이 승패의 원인으로 작용하는데, 이 능력은 싸움을 거의 확정으로 승리하는 원인으로 작용된다.[27] 솔로의 경우 완벽한 러쉬메타라 트리니티가 무난한 픽으로 평가된다만, 3킬을 하기 전에 침대가 부서지면 위험하다.[28] 허나 장비가 상대보다 달린다면 말이 달라진다. 어디까지나 같은 장비일 때다.[29] 허나 이 단점은 리메이크가 된 이후, 현재 팀의 상태에 따라 바꿀 수가 있어 어느 정도 해소된 단점이다.[30] 대다수 한국 유저들이 아홀로틀 스킨을 착용해서 만든거 아니냐는 말도 있다. 그러나 정황상 마인크래프트 1.17 업데이트에 추가된 아홀로틀을 모티브 했을 가능성이 높다.[31] 업데이트 이전에는 각각 철 20개, 철50개였다. 그 후 버프에서 30, 60이 되었다가 현재처럼 너프를 받았다.[32] 3에메→1에메→80철→2에메로 바뀌었다.[33] 6개→4개→6개[34] 시야는 플레이어의 시야를 따른다.[35] 죽을때마다 사라지면 번거롭고, 자원 소모가 너무 심해 유지되는걸로 보인다.[36] 파일:20211211_225901.png
배 부분이 아무것도 장착하지 않은 R15 모델링이 아니라 조금 다르다는 것을 알수있다.
[37] 나무 검 : 20×5=100, 돌 검 : 25×4=100인데, 쉴드 10이 추가로 채워지므로 한 번 더 때려야 해서 총 5번[38] 무려 넉백 물고기의 2배정도[39] 특히 럭키블록 매치에서 부각되는 단점이다.[40] 화살 가격이 철 12개로 줄어드는 버프를 받았다.[41] 많은 한국인들이 프리야라고 부르는데 맞는 번역은 프레이야다.[42] 유지처럼 추후에 게임패스로 출시 되었다.[43] 광부 출시 몇 달전, 외형을 공개 했었는데 현재와 외형이 많이 달랐다.[44] 이때 조각은 대상의 마지막 모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적이 떨어질 경우 조각이 등장하지 않는다.[45] 조각을 캐는 시간은 약 4초 정도이다.[46] 다만 바바리안, 에어리 처럼 같은 적을 죽이고 15초 후에야 같은 적이 조각이 된다.[47] 현재 모든 키트 스킨은 이벤트로 판매하는 스킨을 제외하면 모두 799로벅스로 구매해야한다. 만약 광부 스킨과 엘더트리 스킨을 모두 따로 산다고 하면 총 1598로벅스가 들지만, 이 번들을 사면 키트는 물론이고 스킨까지 함께 주기 때문에 같은 가격, 아니 훨씬 싼 가격으로 스킨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이번에 번들에 같이 딸려있는 쉐일라 키트가 전성기 에어리나 칼리야와 맞먹는 무적의 성능을 자랑하고 있어 오히려 번들을 사는 것이 이득이다. 거기에 킬이펙트, 로비 가젯, 타이틀까지 더 하면 말 다했다.[48] 운이 좋지 않더라도 게임 시작하고 나서 바로 미드로 간 다음 가죽갑 한명을 잡은다음 석상을 캐면 웬만해서는 2분 철세트가 가능하다.[49] 4월 30일 카운트다운을 먼저 하였다.[50] 살짝이 아닐지도 모른다.왜냐하면 업데이트로 드론의 가격이 60철로 높아졌다.[51] 가장 올바른 절충안이다. 핵심 자원을 반영구적으로 원격 수집이 가능하다는 장점은 기초 자원으로 얻기에는 너무 좋은 이점이기 때문. 당장 같은 원격조종계 키트인 벌칸도 1에메랄드로 터렛을 장만할 수 있으니 이쪽도 1에메랄드를 쓴다면 괜찮을 것이라고 주장한다.[52] 실제로 사신이나 워든처럼 영혼흡수가 아니라, 묘비를 수집하는 것이다.[53] 이게 사기인 점은, 레블을 들고 있는 바바리안을 죽이면 레블 해골이, 에메갑을 입고있는 놈을 죽이면 에메갑 해골이 생성된다![54] 단, 갑옷이 없는 플레이어를 죽였을 경우는 가죽 투구를 입고 소환된다.[55] 럭키블록에서는 강력한 장비를 가진 해골을 만들 수 있기에 강력하다.[56] 수정됐다! 적들끼리 죽인 건 못 먹는다. 하지만 팀원이 죽인 건 먹을 수 있다.[57] 자신의 분신을 소환한다는 말이 과언이 아닐 정도로 매우 강하다.[58] 크립트가 장비맞추고 스폰킬하기 시작하는 순간 그 팀 베이스에 해골이 열몇마리씩 쌓여있는걸 볼 수 있다.[59] 위에서 상술했듯이 적들끼리 죽인 건 먹을 수 없다.[60] 해골 여러명과 크립트를 상대해야 한다고 생각해보자, 정면전으론 절대 이길 수 없다.[61] 클라우드를 제외한 어떠한 인챈트와도 콤비가 잘 된다![62] 나무검을 기준으로 해보자 크립트-20,해골 6명-6x18, 계산하면 128대미지가 들어간다.[63] 하지만 크립트는 멀리서도 해골을 소환할 수 있으니 방심하지 말자.[64] 만약 크립트가 성장을 너무 잘했다면, 게임에서 나가자. 그 판은 이미 크립트가 장악한거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65] 제니스가 여럿 있을 때 한 팀을 두 명 이상 지목하면 인플레이션이 중첩된다. 이걸 이용해 원래 가격의 두 배 이상으로 물가 폭탄을 먹일 수 있다.[66] 이제 30vs30에서는 가격 인상은 적용되지 않는다. 하지만 자원 자체는 잘만 들어온다.[67] 호불호가 많이갈린다.[68] 맞으면 한 번에 풍선 3개가 터진다고 생각하면 된다.[69] 그러나 요즘은 많지 않다[70] 30vs30에서 매우 심하다.[71] 물론, 이랬다가는 핵버스로 신고를 먹어서 밴을 당할 수도 있다. 하지만 만약 위스퍼가 그냥 아무에게나 올빼미 붙여놓고 잠수를 타는 유저라면 의도하지 않게 핵쟁이에게 올빼미가 붙어서 억울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72] 블록을 이용해, 껴서 죽게 하거나 공허로 밀어죽이기 등.[73] 이 경우가 심하면 욕설,패드립을 박거나 죽은 이유를 위스퍼의 탓으로 몰기도 한다.[74] 그리고 가끔씩 모바일로 할때 영혼 올빼미를 보내는 버튼과 귀환 버튼이 한곳에 겹쳐져 있어 영혼 올빼미를 보낼 수 없는 심각한 상황이 발생한다.[75] 지금은 위스퍼가 올빼미를 붙인 상태로 생성기에 있어도 자원이 안 먹어지게 패치되었다.배드워즈 역사상 최고의 패치다.[76] 일반 활, 일반 석궁, 일반 헤드헌터와 가격과 동일하다.[77] 이때문에 대미지가 엄청나서 이론상 대미지 무한을 만들수있다. 이제 10번까지만 중첩이 된다.[78] 이는 아처도 동일하다. 둘 다 버프다.(...)[79] 원래 시즌 8 배틀패스 15레벨에 추가될 예정이었지만 럭키 박스로 대체되었다.[80] 하지만 대장간은 삭제되었다.[81] 이때 파이어(fire)인챈트를 사용하면 불닭볶음면이 될 수 있다.[82] 스태틱 인챈트를 쓰면 사람을 전기구이로(...) '쉽게'만들어버린다.애초에 인챈트가 없어도 닭 몇마리만 던져주면 킬이 계속 들어온다.[83] 참고로, 닭들은 원거리,범위 공격으로 파훼가 가능하다.[84] 알도 포함이니 주의하자.[85] 심지어는 잘큰 에어리가 안그래도 강한 닭을 럭블에서 뽑아, 플레이어들을 썰고 다니는 경우가 다반사다.[86] 얼마 안 걸리고, 사거리가 좀 길기 때문이다.[87] 하지만 가까이서 뺏으면 상대가 눈치채고 휘젓다가 공격받는다.[88] 아마도 자원을 뺏는 것이 사기라고 생각한 것 같다.[89] 20% 대미지 버프도 있다.[90] 사실상 키트 하나에 에어리, 트리니티, 멜로디를 같이 쓰는 거나 다름 없다![91] 심지어 낙사도 킬로 안쳐준다(...)[92] 9~11 대미지 정도다.심지어 공속이 빠르면 모를까 공속도 0.5초당 한꼴 정도로 대미지가 들어가서 나무검이 2배는 효율적이다.[93] 그래도 벽뚫은 돼서 위에서 때리면 그나마 스탯을 채울 수 있다.[94] 결국 스폰킬 방지 너프를 받았다..[95] 오히려 엘드릭을 피하는게 더 쉽다.[96] 솔로의 특성상 사람이 적다보니 어쩔 수가 없다.[97] 애초에 아무리 스탯을 높이 채워봤자, 겨우 20~30 대미지 수준이어서 거의 무키트로 싸우는거나 다름없다.[98] 20명이 고인물 엘드릭을 상대해도 피가 닳는다 싶으면 흉악한 피흡으로 살고, 스택으로 인원을 지속해서 절명낸다. 이 짓거리를 해서 무려 300킬 넘게 한 사람들도 생겨난다.[99] 이때 포춘(fortune)인챈트를 장착하면 스택을 마구잡이로 얻어 순식간에 보이드 풀샛도 만들 수 있다.[100] 이벤트 난이도는 레벨 30인 고인물들이 통화가 되는 상태에서 여러번 시도하고 합을 맞춰야 겨우 깰 수 있을 정도다.[101] 다만, 팀원이 이동기 키트인 경우는 상성이 좋지 않는데, 엘드릭은 이동기가 없으므로 이동기 키트를 따라가기 어렵기 때문이다. 지팡이의 사거리가 그리 길지 않다는 점도 있다.[102] 하지만 이정도로 많은 스탯을 쌓기는 거의 불가능한 수준이다.[103] 엘더트리를 지원하진 말자. 자신의 체력이 남아나질 않을 것이다.[104] 힐량을 15%로 깎아버리는 효과이다![105] 엘드릭은 지원으로 사용한다면 아무 단점도 아니다.[106] 지팡이를 다른 아이템으로 바꾸면 스킬이 끊기기 때문.[107] 팀원에게 붙어다니면서 스택을 쌓는 방법이 있어, 그리 어려운 편은 아니다. 킬로 스택을 쌓는 경우만 어려울 뿐이다.[108] 거기에다 처형을 넣으면 적이 순식간에 녹는 진풍경이 펼쳐진다.[109] 물론 잘해야 성공한다.[110] 미드에 해파리를 깔면 다른 팀들이 미드를 못온다. 물론 이건 마리나를 죽이면 될일. 하지만 한두개가 아니라 4개를 깐다면 마리나를 죽이기도 힘들어지고, 미드 에메도 못 먹는다.[111] 최대로 데미지를 넣을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적한테는 다갑을 1초만에 풀피에서 딸피로 만들어버리는(!) 엄청난 데미지가 들어간다.[112] 그렇다고 해파리를 블록으로 막아 놓지 말자. 금방 금방 들어오기 때문에 철 낭비다.[113] 그래도 이게 사기적인 능력인게, 싸우다가 불리해 졌다면 뒤로 뺀 다음, 삼지창을 적에게 맞추면 불리했던 상황이 한순간에 유리해진다.[114] 연구가 별로 진행되지 않아.[115] 사실 그렇게 많아 보이지 않을 수도 있지만 그정도면 바로 돌검과 양털 2세트로 러시를 갈 수 있을 정도다.[116] 그정도 시간이면 약 150철이 모인다[117] 지난 할로윈 보스들의 패턴이 괴랄했지만, 이 이벤트는 쉬워 그런듯.[118] 사실 쓰기 쉬움에도 (전투 중에 사용하긴 어렵지만 조금 먼거리에서 사용하면 쉽다.)잘 쓰이지 않는 이유는 다른 키트에 묻혀서 성능은 나쁘지 않은데 이 키트를 사기에는 바바리안, 사신 등의 키트가 훨신 입문장벽이 낮기 때문이다.[119] 다만 적이 좋은 무기를 가지면 역으로 녹으니 참고하자.[120] 체력 30, 공격력 4[121] 거미가 플레이어를 죽여야만 스탯이 오른다. 자신이 도와주거나 하면 절대 안된다.[122] 3인칭일 때는 마우스 커서가 있는 방향[123] 다만 이건 반응속도가 정말 빨라야 한다.스킬의 이동거리가 7블럭밖에 안되기 때문이다.[124] F키를 눌러 마법을 변경할 수 있다.[125] 공격할 때 적에게 넉백을 하고, 자신도 대미지를 입는다.[126] 최대 3번 때려 대미지는 최대 90(!)이 된다[127] 이것 마저도 투사체의 속도가 느려서 실현이 힘들다…[128] 또는 아이템/패시브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BedWars(Roblox)/키트|BedWars(Roblox)/키트]]}}}{{{#!if external != "o"
[[BedWars(Roblox)/키트]]}}}}}}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BedWars(Roblox)/키트?uuid=b509f9ce-7966-4e53-98cf-90ae3564b14a|r4170]]}}}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BedWars(Roblox)/키트?uuid=b509f9ce-7966-4e53-98cf-90ae3564b14a#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BedWars(Roblox)/키트?from=4170|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BedWars(Roblox)/키트|BedWars(Roblox)/키트]]}}}{{{#!if external != "o"
[[BedWars(Roblox)/키트]]}}}}}}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BedWars(Roblox)/키트?uuid=b509f9ce-7966-4e53-98cf-90ae3564b14a|r4170]]}}}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BedWars(Roblox)/키트?uuid=b509f9ce-7966-4e53-98cf-90ae3564b14a#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BedWars(Roblox)/키트?from=4170|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