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8 12:47:37

Be-Music Script/아티스트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Be-Music Script
1. 개요2. 현재 활동 중인 제작자
2.1. BMS 제작자
2.1.1. 일본2.1.2. 한국2.1.3. 이외의 국가
2.2. BGA 제작자
3. 활동을 중단한 제작자
3.1. BMS 제작자
3.1.1. 일본3.1.2. 한국3.1.3. 이외의 국가
3.2. BGA 제작자
4. 채보 제작자

1. 개요

BMS의 3요소인 곡, BGA, 채보를 제작하는 사람들의 목록.
본 문서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제작자는 BMS SEARCH를 참고할 것.

2. 현재 활동 중인 제작자

2.1. BMS 제작자

2.1.1. 일본

2.1.2. 한국

2.1.3. 이외의 국가

2.2. BGA 제작자

2.2.1. 일본

2.2.2. 한국

3. 활동을 중단한 제작자

3.1. BMS 제작자

3.1.1. 일본

3.1.2. 한국

3.1.3. 이외의 국가

3.2. BGA 제작자

3.2.1. 일본

3.2.2. 한국

4. 채보 제작자

채보(차분) 제작자들의 목록은 BMS 플레이어이자 채보 제작자인 hex의 사이트를 참고하는 것이 편하고 빠르다. (위 링크를 통해 각 채보 제작자들의 사이트와, 채보 제작 이벤트 사이트도 접속가능.)

[1] = 裏吉川, Black Lotus[2] 한때 은퇴하였지만, BOF2010의 EXILE로 복귀하였다. 그리고 아주 드물게 BGA도 작업한다.[3] = Amane Kudoh[4] G2R2014에 출품했던 DstorvDiverse System의 AD:PIANO 3 출품곡이 이 명의로 나왔는데 전개는 비슷하지만 동일인물인지 확증된 사실은 없다. 단 AD:PIANO 3에서 Feryquitous의 출품곡이 C87 한정 리믹스반에서 리믹스곡으로 나왔는데 리믹서가 An. 정황상 기정사실화 수순인 것 같지만 본인이 밝힌 건 아닌 걸로 봐서 아직은 P*Light=하치오지P 동일인 설과 비슷한 케이스다.[5] = kinohito = π/3[6] = hapi⇒[7] 사실 BMS 작곡가 보다는 BMS OF FIGHTERS의 개최자로 더 유명하다.[8] = CELLON.[9] = ARMYTOM = ATM = 軍人[10] =Dr.A[11] = Trish[12] = L-more[13] = SABERMISSILE[14] 특이하게도 BMS에서 동인음악계로 넘어간 경우와는 반대로 동인음악을 하다가 BMS 제작을 시도하는 케이스[15] =CHEnG[16] BGA 제작자로도 활동중이다.[17] 본명은 에구치 타카히로(江口孝宏)로 BMS 활동 후 후일 호소에 신지가 주도하는 레이블 supersweep와 인연을 맺는다. 2014년 국산 리듬게임인 BEATCRAFT CYCLON에서도 본명 명의로 The Lemon Squash를 투고했다.[18] = TOMA = LuL[19] =鹿目まどか[20] =Dixtzanpe, dj p_server, dj Xtrz, wav系男子, 猫っていいよねぇfoon styleとか名乗るヴぁか 등등[21] 테크니카 채보 프로그램인 technika viur의 개발자. vj Eks라는 이름으로 BGA 제작도 한다.[22] = ele-rabbit외 매우 많음(심지어 어떤 분기에는 BMS마다 명의를 다르게 하기도 했다(...))[23] = witch's slave. Wire Puller 2 에서 USOTA FUMINORI라는 명의로 대놓고 Sota Fujimori의 오마주곡을 쓰기도 했다.[24] = IDEAL, IDEA+RHYTHM[25] = phol-mk, 81.8MHz[26] BMS 쪽에서는 작곡 보다는 채보 제작자로 더 유명하다. 사실상 채보 제작자들 중에서는 가장 유명하다고 보면 될 정도로, BOF에서는 여러 곡의 채보를 제작할 정도다. 이런 동인 쪽의 채보 제작 활동이 눈에 띄었는지 현재는 D4DJ Groovy Mix의 채보제작팀에서도 활동 중이다.[27] = DaRKsiDE, IkARUGA는 nex쪽과 달리 ルゼ관련 인맥(?)중 한명에 가까우며 2000년대 중후반 Toy Musical 시리즈나 스텝매니아 관련 팩에도 많이 참여했다.[28] 위의 IkARUGA와는 별개 인물이라고 bmssearch에서 명시하고 있다. 이쪽은 소문자와 _nex로 구별가능. IkARUGA보다는 조금 더 후대에서 활동하기 시작한 아티스트다[29] = dug[30] 한때 은퇴하였으나, 2016년 1월을 기점으로 재활동하기 시작했다.[31] = NS-Factory[32] 인지도가 높지 않아서 그렇지 2000년대 중반 이후로 꾸준히 활동해왔던 아티스트. 동인 음악가 Kanata.t, 동인 보컬리스트 Kanata.N, FREEDOM DiVE 표절건으로 물의를 일으킨 제작자 SC.Kanata 등과는 무관. 본인도 관련 문의가 많이 들어온건 알고 있는지, 관련 트윗을 하기도 했다.[33] = Brilliance = MONOLITH[34] = Takuya Namba = mentalhealz[35] =Kankitsu, SAMBA MASTER 佐藤 -SATOH-[36] 본업인 BMS/작곡보다는 비트매니아 5건반 플레이영상쪽으로도 알려져있는 편이다. kju8이 자신의 명의를 패러디한 RU라는 명의로 활동한 적이 있듯, 그도 kju8의 명의를 패러디한 kyu8이라는 명의로도 활동한 적이 있다.[37] = guna, ridis[38] = dust.c = dustcloth[39] =TM<K>RM[40] = Kotira Sample, hontanichan, Haganai, Brother Sou[41] 1세대 BMS 문화를 정립한 club stubborn이 흥했을 때쯤 활약하기 시작한 아티스트로 ssamp 팀(혹은 서클) 멤버중에서는 가장 유명했다.(Morrigan 외의 당시 멤버는 proDEg,SUZUKI, skns, Acid tune이 있었다. 당시에는 그런대로 이름 좀 알렸던 아티스트들.) 이외에는 Cranky와 함께 작업하는 경우가 많았었다. cranky보단 늦었지만 이 사람도 상업 리듬게임을 비롯한 상업쪽 필드에 진출한지 꽤 되었다.[42] 퍼리 취향의 BMS 제작자. 그가 만든 곡의 BGA에는 빠짐없이 퍼리 캐릭터가 들어간다.[43] = Knot[44] = seofire = Tosatsu[45] Sakuzyo와 스타일이 비슷한 작곡가.[46] = -RYO-(이 명의는 2012년까지 사용했던 명의다.)[47] = doku, 96[48] = lobsak[49] 곡 자체보단 발광 BMS SP 단위인정 제작자로 더욱 유명하다.[50] = .com = 츠네카와 코우이치. 아래 활동중단으로 추정되는 .이 안붙은 com과는 별개 인물일 가능성이 높다. com은 2세대 시절에 활동으며 활동중단 사실이 간접적으로 언급되는 반면 scamp는 의외로 2010년대가 다 끝나가도 현역이다. 곡 퀄리티가 다소 고전스러울정도로 낮으며(?) 곡 스타일은 병맛 혹은 실험적인 무언가에 더 가깝다. 그런데 scamp가 .com 명의로 발표한 Dawn Beauty와 com의 ray가 아주 약간 비슷하긴 하다[51] = Iriss-Frantzz. 작곡가로서의 명의는 Iriss, BGA 제작자로서의 명의는 Frantzz다. G2R2018 이전까지는 다른 사람으로 알려졌으나, G2R2018 참가곡인 Upshift의 BGA 마지막에 Iriss=Frantzz를 적으면서 s-don=Iriss=Frantzz임을 인증했다.[52] 히라가나로 된 명의도 간간히 사용한다.[53] = polycube(2017년 이전까지 사용한 명의. 2017년 이전에는 이 명의가 본 명의였고 Silentroom은 엘범활동 전용 명의였다.), =GRASSEZ, =バンバンアカウント作成太郎[54] = ei[55] 보컬 みずたま와 함께 fluffy라는 유닛으로도 활동 중이다.[56] 이 분의 BMS에 나오는 여성 보컬은 자신의 목소리에 피치업을 한 것이다. 류수정? 남성보컬의 경우는 본인이다.[57] = Personative, 렌쟈쿠P[58] = dexhip, socer, xiang&yuan, 6 tones, maxwell, zonguergue 예전에 주로 쓴 w32는 worker #32라는 명의를 쓴 적이 있는데 그 약칭으로도 추정됨[59] = narve, ken[60] = Festa, DJ owl-light[61] = やっす~[62] Aliesrite*(보컬 lamie*와의 합작명의)[63] = ユズ売り, itsuki shiina, ユジュリィ, sie[64] = ゴリライザー制作委員会(音弾超人ゴリライザー를 제작할 때 사용했다.)[65] = LINDA = Fuckroach[66] = judithz = Process 2.3.1. = BITPLANE[67] = pentate[68] = C.S.P[69] =Mich Mikihara, OPENSPACE, ケドメ[70] = white chocolate max[71] = NECO-X[72] = djHiro, X-XL(스텝매니아쪽 보스곡 작곡 명의), chiofe(스텝매니아에서 사용했던 1회성명의. Z#00에 사용)[73] BOF2009와 2010에서 ああああ라는 명의를 사용하기도 했는데 현재 칩튠 전문 작곡가로 활동 중인 ああああ와는 관련이 없다.[74] = jueL, Xai☆, selenite, DR.J, Soblian, back-straights, Lijexua, Cardamine[75] = 9903, breadbuyer, breadbuyerP[76] = Vector27[77] = 폭렬[78] = MMMP, DJ.273K[79] = DJ.ZEST, RedFOX, CrazieDogg, HOUSENATION[80] = N[81] = Fe2plus[82] = R5_Disinfect, The Bottom[83] = GUANA[84] = HeadHunter[85] = Feyrlin, Ana Amari[86] = Kago Pengchi[87] = Rune Caster[88] = Noon Catch, DAISHO DANCE[89] = KINETC[90] 2020년대에 등장한 신인이었으나 동인 음악 마이너 갤러리 컴필레이션 관련 건으로 물의를 일으켜 잠정 은퇴.[91] = QUARKPOP = vaX-Xine[92] = AHA*, NONE[93] = Helldruggie, Irrlicht[94] = proxy error, QWertism(WyvernP와의 합작명의)[95] = 적절, Blacksparrow[96] = DJ TAKAHIRO[97] = Lentorek[98] = WarpEmperor, Warp-E, Epic Sprite, M999, God of Music(참고로 God of Music 명의는 PABAT!2016에서 트롤링을 할 때 사용한 명의다. 자세한 건 PABAT!의 2016년 문단 참조.)[99] = Smi(^FOON^)[100] = Ruby.G, Shinabro, Speed Magician[101] = Mellover[102] = w_tre, widowmaker[103] = Symphoniac, Quillah, DaDass[104] = tkqn14_Append, LYRi, †自称愛をタピオカするショタコン14呉†, COWBELL MASTER 心愛 -COCOA-, LYRi "Cyanblue" WHiTE, 匿名のウサギ / beatmania IIDX 28 BISTROVER의 수록곡인 Party Starter의 작사지원으로 참여한적이 있다.[105] = 忠建. 한국 1.5세대 제작자[106] = Endle Fronte, EnFr[107] = QWertism(상기한 것 처럼 Quree와의 합작명의다.)[108] = Galen Borson[109] = Telperion[110] = dwarf, MITCH DOWNVELL, CAELUS, pr.s(prims)[111] BGA도 제작하고 있으며, 이 쪽으로 더 유명하다.[112] BGA 제작도 한다.[113] 분류는 호주로 되어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주요 멤버는 독일인, 한국인에 기타 멤버는 호주인, 그리스인 등등이 있는 다국적 그룹이다.[114] =re-went[115] s-don이 BGA 제작자로 활동할 때 쓰는 명의다.[116] = むらしん[117] =disconaut, Qybele, OCCULTMAN[118] =レク[119] =RaiDEN[120] 작곡 활동도 겸하고 있다. HYPERMESS Recordings를 통해 릴리즈 하고 있다.[121] 플래시로 BGA와 아이캐치를 만든다고 한다. 흠좀무.[122] 악곡 제작도 한다[123] = Alicia*, ≒Hu∑eR(기정사실화)[124] = konatoyz. 쿠레하라고 읽는다. 다만 BMS보다는 스텝매니아 오리지널 패키지 악곡수록이나 동인음악같은 외부활동이 더 많았던편.[125] = Abe Yuta[126] 2017년 3월부터 활동 중지+ 동봉차분 문제 때문에 개인곡 사이트 폐쇄 상태[127] ssamp 팀(혹은 서클) 소속 아티스트. 테크노 전문 아티스트중 하나였다.[128] = dj sapphire[129] = Asuka S., Modern Style, AS.sys, Prismatica Material(AS가 주도하는 동인음악서클의 명칭인 Prismatica Records에서 따온것으로 여겨짐.), L4M, Seren 등등 / BMS보다는 stepmania쪽에 더 관여했던 제작자로 오리지널 패키지인 Party nite 시리즈의 핵심 관계자로 보인다. 형이 한명 있으며 형제 합작명의로 Unlimited Spirits of Awakening도 존재한다.[130] 현재 보컬로이드P로 활동중.[131] 특이하게도 오리지널 곡 보다는 리믹스 곡이 더 흥했던 작곡가다. 대표적인 리믹스 곡으로는 Bird Sprite -Awakening of Light-, wa.가 작곡한 モリオンの姫.의 리믹스인 水晶世界 ~Fracture~가 있다.[132] 2세대 아티스트 항렬쯤에 있는 아티스트. 활동시기는 2000년대 초반 추정. J-Techno 위주로 작곡한듯 하며 대표곡으로는 slope와 ray정도가 있다. 발표된 곡은 많지 않지만 (bmssearch 닷넷에서 검색되는 보존된 음원이 5~6곡 내외다) '아는 사람만 알지만 곡이 숨겨진 명곡' 정도의 위치였던 아티스트. 니코니코에 올라온 fluid 음원 영상에서 업로더 코멘트가 "com씨가 활동중단했을땐 유감이었다"라고 한것으로 보아 com의 활동중단 여부에 대해 알고 있던 것으로 보인다.. 상술한 .com 명의를 사용하는 scamp와는 별개 인물이다. 애초에 활동시기도 다르고, 작풍도 큰 차이가 있다.[133] = Je-ms & Nick, 池谷 浩一郎(秋名最速) / 1999~2000년경에 활동하던 인물로 개그 BMS와 괴 BMS의 경계선에 있던 특이한 악곡들을 만들었다. r e v i v a l 이라는 악곡은 가짜발라드(ニセBallade)라는 장르명답게 처음에 발라드 하우스로 시작하다가 BPM이 190으로 올라가면서 디지털 하드코어로 돌변하며, 도라에몽 패러디 BMS인 G-Recital 이라는 곡도 있다.(BGA에 도라에몽이 나오며 아주 잠깐 알몸여인에 신이슬을 합성한 사진도 나온다) 전술한 이케타니 코이치로 명의로 발표한 DxSxTxMxTx iketanix는 노골적으로 이니셜 D에 나올법한 슈퍼 유로비트를 조악하게 패러디한 곡으로 가사도 "브레이크 패드 브레이크 패드 똥(うんこ) 타이어~"만 반복된다. Break it down CSR이라는 곡은 BGA가 잔인한데 사람을 찌르거나 바이오닉 코만도에서 히틀러 얼굴이 터지는 장면을 차용했다. 이외에도 여러가지 카피 BMS를 만들었으며 카피 BMS중에는 듀크 뉴켐 3D의 메인테마인 Grabbag도 있다. 이 사람 BMS의 BGA를 보면 Sakado city digital hardcore같은 문구가 반복되는데, 당시 사카도시에 거주했던 것으로 보인다.[134] = Queen P.A.L[135] 1998년 6월, 최초로 자신이 작곡한 곡으로 자작 BMS를 만든 인물. 이 사람으로부터 BMS의 역사가 시작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M.Graveyard 소속으로 용기사07 제작의 울 적에시리즈의 BGM을 주로 담당하는 dai와 동일 인물이란 말이 있으나 증거가 없어 확실하지 않다.[136] = SIGN, masayoshi minoshima[137] = djMIDN, iP-ST. 등 / 주로 2000년대 중반에 활동했으며 PMS패키지인 Toy musical 시리즈 및 다수의 일본산 당대 스텝매니아 오리지널 악곡팩에도 곡을 제공했었다.[138] = Xacla = hendrex[139] 현재 명의는 hiro.na[140] = maxXx65535[141] = careless, 井上⊿[142] 2013년 5월 해체[143] = Sentire[144] BOF2011 이후 활동 중지 상태[145] = Nostalgraph(아직까지는 음반활동용 명의인 듯) = 定額P[146] = MKT, イズミケイ, ismK, 夕闇P[147] 2011년 11월 16일까지 개인곡 공개 이후 중단 상태[148] = kurenaissance[149] 이 작곡의 발광+오버조이 차분(another7, kf7, evil7 등등)은 거의 동봉차분이다. 상당히 오래전, 2세대(2000~2009) 초기부터 활동해온 작곡가인데 활동 초기엔 중2병 넘치는 설정/연출과 어설픈 그림체가 특징인 BGA로 종종 까였지만 곡이나 패턴 자체는 잘 만든다고 평가받았고, BGA도 어찌됐든 세월이 지나면서 그림실력이 나아져서 아주 못볼 수준은 아니게 됐고 중2병은 그대로였지만 보는 사람들도 익숙해져서 다함께 즐기는 분위기가 됐었다(...) ピアノ観賞曲欠番「神姫」의 '度こ' 나 ピアノ狂騒曲第壱番「滅宴」의 각종 현란한 기술명 퍼레이드가 네타거리가 되었었다.[150] 2012년부터 활동 중단. 이에 관해선 본인이 문답을 통해 이유를 밝혔는데, 작곡에 필요한 자료가 담긴 하드디스크가 고장나버려서 의욕이 상실됐다고 한다.[151] = Maozon = Scarfaith[152] = ねこひめたん. 네코히메땅 명의로 스플래시코드 06을 작곡한게 유명하다. 곡자체보단 발광차분의 스크래치곡 성분으로 유명해서 다른 의미로 원 히트 원더로 끝난 아티스트... 2010년대 이후의 근황은 불명. 이외의 곡으로는 %5를 리믹스한 %25 등이 있다.[153] B.J.cup 이라는 중소규모 대회(하지만 5회와 3회는 예외적으로 제법 유명했던 대회다.)에서 최상위권에 군림했던(1회 공동 3위, 3회/5회 준우승, 4회/6회 우승) 특이한 전적을 가진 팀이다. 주로 2세대 아티스트들이 활동하던(onoken이 막 뜨기 시작하던) 시기에 활동했다.[154] = Ax, Ani( Cytus에서 쓰는 명의)[155] = papyrus, ogrt, Yu_Asahina. 사운드 볼텍스쪽에서는 주로 Yu_Asahina 명의를 통한 곡 투고로 알려져 있음.[156] Is-m과 SINK와 합작 유닛.[157] 1세대 시절에 활동하던 아티스트. 이름이야 당연히 이 분들의 패러디. 이 사람이 작곡한 몇몇 BMS가 비트플레이어 2000에 무단수록된 적도 있다.[158] = PE, 대충 onoken이 초창기 BMS 현역시절일 때쯤 활동했던, spider(이 역시 활동중단)와 더불어 네타/개그BMS 전문작자. 대표작은 성룡 영화를 샘플링한 개버곡인 RIOT IN JACKIE 등. 당시 한 익명 투고 BMS 이벤트의 우승곡이었던 8 o'clock trippin(이것 역시 네타 BMS다. 주된 네타는 8時だョ!全員集合, 루팡 3세 염력진작전, 팔치녀 등)의 작곡자인 take-o가 이 사람의 부명의라는 설이 있었었지만 불명. 지금은 몰라도 좋은 일 스타오션 시리즈의 팬이라 그런지 관련 네타를 간혹 쓰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추정되는 BMS는 PE라는 명의로 2004 Spring Phase 이벤트에서 발표한 PEBASHIRI TYA-TYA의 후속곡인 PEBASHIRI WORLD인데 그의 과거 곡들과 비교하면 비교적 멀쩡한 BGA를 달고나온 하드코어 곡이다.[159] ≒ 八王子P[160] J-CORE DJ/프로듀서로도 알려져 있기도 하다. BMS 제작자로서의 주력 장르도 이쪽이긴 하지만...[161] = RED L:TUS, HALF LIFE 등 하프라이프 명의는 작곡자 본인이 밸브 FPS 게임 팬이라서 만든 명의인 듯하다. 그리고 BMS 활동 시절에는 Rask라는 명의의 아티스트와 합작한 적도 있다.[162] BOFU2016을 끝으로 잠정 은퇴를 선언했다.[163] = kou, 활동 초창기 Crux라는 BMS를 kou라는 명의로 발표. 유작으로 WORLD END를 남겼다. Kou!라는 명의로 잘 알려진 碧音コウ와는 동명이인. ※2009년 작고.[164] ※2011년 3월 3일 작고[165] = TJ.Hangnail, Chocolate Max[166] 2008년부터 활동 중단. 작곡 장비 고장으로 의욕을 상실했다고 이유를 밝혔다.[167] BMS 제작자 중 가장 높은 인지도를 보유한 제작자이다. 이런 이유로 붙은 별명도 BMS계 수령님이다.[168] ※2021년 7월 6일 지병으로 작고[169] Skz와 헷갈릴수도 있지만 엄연히 다른 인물이다. ssamp 팀(혹은 서클)의 일원이었다.[170] =すぺらんか, SLK-8888.SYS[171] = Crolul[172] BGA 작업도 직접 한다. 최근엔 다른 사람들에게도 BGA를 달아주는 듯.[173] =ツナマヨP. Altostratus BMS 코멘트에서 밝혔다.[174] Poplica와의 합작 명의[175] 지금의 Syrufit는 hiro.na의 단독 명의에 가깝다.[176] 공식적인 BMS 활동은 BOF2010 참가곡인 Blue Moon 이후로 중지했지만, 소속 레이블인 STR이 BMS에 곡을 낼 때 간간히 기타를 담당하고는 있다. BOFU2016 참가곡인 ナツイノ에 기타 담당으로 나온게 대표적인 예시다.[177] = Lilyca*(2010년 부터 2012년까지 TrioStaR와 합작을 하던 시기에 사용한 명의로, 2010년 이후의 BMS 위주로 알고 있다면 이 명의가 더 익숙할 것이다.)[178] BMS 활동당시 명의는 TAK-sk를 줄여서 TAK으로 썼다. 위의 Lubinn과는 관련없는 사람이며, 현재는 Poplica*라는 명의를 사용하며 Arte Refact에 들어감으로써 사실상 준 프로 활동에 들어선것으로 추정.[179] 1세대 시절 애니송 카피곡 위주로 제작해서 유명해졌다. 오리지널곡을 제작한 적이 없는 건 아닌데, 거의 한 개(Love's Rebirth, 후에 Naotyu- 등의 작곡가들에게 리믹스된다.)밖에 없으며, 이마저도 다른 아티스트 곡을 BMS화한 것이다. 그럼에도 꽤나 호평이었다.[180] 2000년대 중반부터 2010년대 초반까지 짧고 굵게 활동한 아티스트로, 노상의 기리진으로 BOF 2006 우승을 차지하였다. 당시 나이가 16세 안팎으로 상당히 어린 편이어서 유망주로 기대를 많이 받았고, 그에 걸맞게 활동 중지 이전까지는 크고작은 대회에서 우승도 차지하고 순위권에 자주 진입하는 등 아주 평가가 좋았으나 2012년 여름 이후 활동 중지 상태다. 자세한 이유는 불명이나, 妖晶零弐 문서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 제로투 BGM의 리믹스를 너무 잘하는 바람에(?) 공식 제로투 BGM 리믹스가 까이는 일이 발생하고, 이 때문에 꽤나 격렬한 키배가 벌어진 적이 있었다. 이 때문에 작곡 자체에 염증을 느낀 것 아니냐는 추측이 있다. 그런데, 2021년 6월, 작곡활동 복귀를 선언하였다. 그리고 그 시작으로 削除와의 합작곡이 발표되었다. 다만 BMS 포맷으로는 곡을 내지 않을 생각이라고. 복귀곡인 眠りの花束는 BMS 포맷으로 나오기는 했으나, BMS화는 LeaF가 담당하였다.[181] = Z. Fatima[182] 유명 BMS 평론가 출신으로, 2010년 부터 2012년까지 작곡가로 활동했다.[183] 역시 위의 Love™와는 관련없는 사람이다.[184] = Magic Mash Man, Is Kingdom(음반 활동용 명의. AD:100에서 Now is a dull party라는 곡을 제공한 적이 있는데 개인 앨범인 selentia에서 같은 곡이 실림으로써 削除 본인 인증.)[185] = D11,浅田たん≒hty:0x101E(hty:0xD11どもえない라는 변종 명의가 있는것으로 보아 D11의 별도명의일 가능성 매우높음) BMS보다는 PMS쪽에서 활동이 두각되었다. PMS패키지인 Toy Musical 시리즈의 루제 버금가는 핵심 스태프중 한명. 적어도 2020년대 이후로 BMS 제작 중단추정. 소위 말하는 씹덕코드를 많이 표출하였으며 BMS 제작활동 일선에서 물러난 이후는 러브라이브에 푹 빠져있는 행보를 보인다. 당연히 네소베리도 들고다닌다[186] 네코카니마루로 훈독하나, 당시 한국 BMS 유저들 사이에서는 이를 한국 한자음으로 읽은 '묘해환'이라고 통칭되기도 하였다. 1세대 아티스트 연간에 활동했던 카피 BMS 전문작자. 주로 Key(브랜드), 아쿠아플러스에로게 BGM 카피어레인지 BMS를 만들었다. 이외에도 DanceDanceRevolution 곡의 카피 BMS를 만들었으나 뭔가 위험한건 알았는지 featuring PLAGAREC이라는 면피용 문구를 명의 뒤에 붙였다는 차이가 있다. TAROS처럼 카피 BMS로만 활동해서 창작곡 이력은 전혀 없는것으로 보인다.[187] ※2004년 경 폐렴으로 작고[188] 한국 1.5세대 제작자. 애국가를 드럼앤 베이스 리듬(...)으로 어레인지한 BMS가 유명.[189] = Teddist, Alex G.[190] = r300k[191] = Semi-Digital, あるさん[192] = Lunatic Sounds(PABAT! 2017까지 사용했던 본명의), Houseplan, ArcadeStuff[193] = x24, 이후 EZ2AC의 패턴직공으로 참여한 덕분에 2016년 기준으로는 스퀘어 픽셀즈 정직원.[194] = 단편선. 그 인디뮤지션 단편선이 맞다. # 당시 인디음악 웹진 weiv에서도 상기와 같은 '디뮤'라는 핸들네임으로 활동했다고 한다. 유래는 인디뮤직에서 중간 2음절만 딴것.[195] = ST.Emilio[196] 현재 쏜애플의 베이시스트로 활동중.[197] = Transin, SpringHead[198] = MarisaB, XYTEKK[199] = GOTH. 비교적 최근 작업곡으로는 탭소닉 월드 챔피언의 Dance of the Dead가 있다.[200] = KRUX = INFX[201] = Litania, ariaontheplanet 등 2010년대 이후로는 지난 세월동안 누적된 각종 물의로 사실상 활동중단.[202] = KOS[203] 한국 BMS 1세대 아티스트. 현재 관련 계통에서의 활동 소식은 없지만 IT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204] = XeoN[205] 아래의 XeON과는 다른 인물이다.[206] = ice_volt, TAK(현재 사용하는 명의의다. 아래의 TAK과는 관련없다)[207] = euntaesu[208] = Hypercube, Leaf, Gradian[209] = Sub Question[210] = tacat(시드 사운드 해체 직후에 전 보컬 구성원의 폭로로 밝혀짐)[211] 주로 피아노 BMS로 유명하다. ez2dj의 Red Eye와는 다른 인물이다.[212] KBP2010에 출전한다는 의사를 밝혔으나 소식은 없기에 여기에 분류.[213] 3034의 뒷 두자리를 일본식으로 읽으면 SAN-YON이 되는데, 하이픈 위치를 바꿔서 만든 닉네임으로 보인다.[214] = 3034, DENPA-SAMPLER[215] = PiZZ[216] = Yellowcat[217] = 7200, Zangoose(곡명 등 국내 커뮤니티를 제외한 대외적으로는 이 닉네임을 쓰는 듯하다.)Tidal_Waver[218] = Chobo, FaL3C[219] = Riya[220] 1세대 시절 대만 출신의 제작자이긴한데... BMS 퀄리티가 너무나도 저질이라 세간의 지탄을 받고 잊혀졌다. Binary numbers는 이미 전설.(이후 일본인 제작자가 리믹스까지 했다) 5건반 beatmania 관련 리믹스 곡도 있었지만 리믹스 수준 역시 끔찍했다. 니코동에 가면 해당 제작자의 BMS를 모아둔 영상이 있다. 손발리 오그라든다[221] = キャシー[222] = 石像くん, Taiyo Yamamoto[223] 2013년 5월 이후 아무런 소식이 없다. 블로그도 폭파되었고, 트위터와 니코니코 동화 계정의 활동도 각각 2013년 5월 10일과 3월 이후의 활동이 없는 상태다. 일본 쪽에서도 아무런 소식통이 없어 당황하는 중. 보통 이렇게 갑자기 소식이 뚝 끊기는 경우는 드문데, 본인이 사망했다거나 하면 가족이나 주변 사람들을 통해서라도 이야기가 나오게 되므로 신변 문제는 아닐 확률이 높다. 유력한 설은 프로로 진출하게 돼서 의도적으로 아마추어때의 활동과 연을 끊어버렸다는 것.[224] 일러스트 위주로 제공하던 사람. 현재 활동을 중단했다.[225] = MiRA[226] = Crolul[227] BMS 작업도 한다.[228] = T.A.T, BMS 활동 말기 이후로 tats로 줄여쓰는게 일반적이다. 야리타와 비슷하게 활동 극초기에는 작곡도 한 적이 있으나, BGA에 전념하였다. 이 사람의 작풍은 특히 타이포그래피에 강점을 두고 있다. 2000년대 중반을 마지막으로 상업활동(ex. beatmania IIDX BGA 외주경력 등) 및 동방프로젝트 동인 상품, 동인 관련 아트웍의 보조 디자인에 주로 관여함.(물론 일러스트는 다른 동인작가들이 그림) 2017년 이후 무사시노미술대학의 강사로 일하고 있음. Ryo Ohnuki 생전동안 오누키 료와 절친했던 관계인듯하며. Ryo Ohnuki가 타계했을때 장문의 추모 포스팅을 한 적이 있다. 동년에 일어났던 마이클 잭슨 서거도 언급된 포스팅으로 기억함.[229] =KANON, 壱air, S.P.S.B.(이 명의로는 주로 Hate의 곡에 BGA를 제작해 줌), Cube3, ≒Douglas(해당 명의는 불확실. BOF2009를 끝으로 은퇴 선언을 했지만 이후 이 명의로 몇몇 BMS에 BGA를 제작해 주었다. 공식 언급이 없었기에 확신할 순 없지만 시기 상으로나 스타일 면에서나 상당히 비슷함) BOF 2018에서도 R.I.P의 BGA를 제공하여 준우승에 일조하였다.[230] = S.in(etch는 BGA 명의, S.in은 작곡 명의. 현재는 BGA 제작이 메이저이다.)[231] = Toxvid, TOGANGE, Granite, 라면스프[232] = SoundOnly. BGA가 없을 때 쓰는 Sound Only와는 다르다!![233] =LimitFlow[234] =RYU-[235] = 재스민향기, VJ MecFlow[236] = SilverMax, Katou Huyuko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5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5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