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31 01:31:00

AniPhobia



파일:애니포비아 로고 틀용.pn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AniPhobia.png
파일:Roblox 플레이 단추.svg
제작사 AniPhobia Studios
개발 완료일 2021년 9월 5일
업데이트 날짜 2025년 3월 30일
기여 허용 파일:사용 가능 장비 (X).png
이용가 13세 이용가
최대 플레이어 수 30
플랫폼 PC
SNS 파일:FANDOM 아이콘.svg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1. 개요2. 조작법3. 특징4. 세계관5. 게임 요소6. 게임패스7. 팁
7.1. 핵 터트리는 팁
8. 버그9. 기타


1. 개요

트레일러
AniPhobia[1]

애니캐릭터들이 플레이어를 쫓아오고 넓은 맵에서 파밍을 해서 살아남는 생존 FPS/TPS 게임이다.

2. 조작법

3. 특징

애니 혐오증이란 제목 답게 애니캐들을 총과 근접무기로 죽이면서 돈을 벌고 파밍을 하며 살아남는 게임이다. PVP 요소는 없어 혼자 플레이하거나 플레이어 간의 협동이 주가 된다.

처음에 시작하면 기본 무장으로 크로우바M1911이 주어지며 로비로 이동된다.

로비 앞에 있는 트럭을 통해서 스폰 지점 중 하나를 골라 이동할 수 있는데, 모든 스폰 지역이 하나의 거대한 맵으로 다 이어져 있는 오픈 월드 방식이다.

하지만 스폰하자 마자 애니캐들이 플레이어를 노려 공격하기 때문에 무기와 아이템을 상점에서 구매하거나 필드에서 파밍을 해 무장을 해야한다.

걸어오면서 플레이어에게 평타만 날리는 평범한 애니캐부터, 여러 가지 스킬을 사용하는 애니캐와 무기와 총으로 무장한 애니캐, 상당한 맷집을 가진 애니캐, 그리고 강력한 보스 애니캐들로부터 살아남거나 학살하거나, 아니면 이 땅에 큰 거 한방 날려주는 것이다.

4. 세계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niPhobia/세계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niPhobia/세계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niPhobia/세계관#|]][[AniPhobia/세계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게임 요소

5.1.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niPhobia/맵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niPhobia/맵#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niPhobia/맵#|]][[AniPhobia/맵#|]]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무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niPhobia/무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niPhobia/무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niPhobia/무기#|]][[AniPhobia/무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3. 아이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niPhobia/아이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niPhobia/아이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niPhobia/아이템#|]][[AniPhobia/아이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4.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niPhobia/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niPhobia/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niPhobia/적#|]][[AniPhobia/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5. 이동 수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niPhobia/이동 수단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niPhobia/이동 수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niPhobia/이동 수단#|]][[AniPhobia/이동 수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6. 시간

게임에는 시간 시스템이 있다. 시간은 총 24시간으로, 현실 시간으로는 24분 정도다. 즉, 현실의 1분이 게임 세계관에선 1시간인 것이다.

주간은 오전 6시 ~ 오후 6시까지, 야간은 오후 6시 ~ 오전 6시까지다.

6. 게임패스

7.

7.1. 핵 터트리는 팁

[18]

1. 아이템의 정확한 루팅을 위해서라면 솔로로 플레이하는 것이 좋으며, 총을 든 적을 상대하게 되므로 상점에서 군용 조끼, 야간투시경, 의료 키트는 꼭 챙기자.[19] 기호에 따라 상점에서 총을 구매해도 되지만 현장 파밍으로도 충분히 좋은 무기들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안사고 가는 게 경제적으로 더 이득이다.[20] 적들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도네이터 T1] 게임패스도 구매하여 GPS를 켜는 것을 추천한다.

2. 스폰 장소는 농장에서 스폰해서 파란 집에서 더블 배럴 산탄총을 챙겨, 집 근처에 헛간에 세워져 있는 트럭을 타고 동쪽의 공군 기지까지 바로 돌진하자.

3. 공군 기지로 들어오면 전술인형들의 총격은 무시하고 계속 달리자. 전술인형들을 차로 치어서 죽이는 것도 상관없다. 공군 기지로 들어왔을 때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감시실로 가서 경보 알람을 끄고, 더블 배럴 산탄총으로 접근하는 전술인형들을 처리한 다음, 다시 트럭을 타고 무기고로 가서 무기를 얻는 것이다.

4. 무기고로 오면 M4A1, M16A2, XM25, M60 등의 총기들을 무조건 챙기자. M60 주변엔 핵미사일 격납고 열쇠가 있는데, 이것도 무조건 챙기자. 운이 좋으면 M60과 핵미사일 격납고 키 옆에 핵미사일 코드도 얻을 수 있다.

5. 기지 정비소에서 두 번째로 가까운 내무반으로 가서 핵미사일 발사키를 찾자. 내무반에서 핵미사일 발사키와 무기고에서 핵미사일 코드를 찾지 못했다면, 내무반 앞 헬리패드에서 헬기를 탈취한 뒤 공식 위키 내의 맵을 보면서 핵미사일 발사키와 코드를 찾으러 돌아다니자. 그리고 탈취한 헬기는 터지지 않게 잘 관리해야한다.

6. 저격소총류는 꼭 파밍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근접전에서 위험한 전술인형들을 멀리서 저격할 수 있기 때문. 대표적인 저격총으로 농장 북쪽 야영지에서 얻을 수 있는 PSG1, 농장 서쪽 리지타운의 총포상에서 M16A2용 스코프를 누르면 얻을 수 있는 스코프가 장착된 M16A2[21], 북쪽 셰노어 지역 위쪽에 있는 자동차 극장 스크린 위에서 파밍할 수 있는 M200 인터벤션, 서쪽 설산 지역 카지노에서 얻을 수 있는 SVD가 있다. 이 중 M200 인터벤션과 SVD가 쓸만한 편이다.[22]

7. 무리는 상대할 여건이 안되면 꼭 피하도록 하자. M60 기관총 같은 아무리 강력한 무기가 있어도 호드를 상대하다 보면 탄약이 상당히 부족하게 되며, 특수 적으로 메구밍같은 폭발성 적까지 떴다면, 폭발 공격으로 헬기까지 터질 수 있으니 답이 없다. 아니면 헬기를 건물 옥상에 세우고 내려가서 적을 모두 쓸어버린 뒤, XM25의 등의 폭발성 무기를 이용한 로켓 점프를 통해 옥상으로 올라가서 헬기를 타는 방법도 있다.

8. 핵미사일 발사키와 코드를 모두 찾았다면 파이어버드시 동쪽 원자력 발전소로 가서 아래의 3개의 과정을 완료하도록 하자.
8-1. 뒤쪽 냉각수 관리실에 있는 밸브 돌리기
8-2. 주 제어실로 가서 리셋 버튼을 누르기
8-3. 주 제어실 옆 변압기 구역 건물 내에 있는 차단기 끄기
이 3개의 과정을 완료하면 지역 전체 전력이 일시적으로 복구된다.

9. 남동쪽의 핵미사일 격납고로 간다. 격납고 내부로 들어가기 전에 동쪽 고지대에 헬기를 세우고 위험한 적들[23]을 전부 저격하여 처리하는 것이 좋다.

10. 격납고 내부까지 들어왔다면 이때까지 주운 무기들로 적들을 처리하며[24], 격납고 의무실에서 핵미사일 발사실 열쇠를 얻고 핵미사일 발사실까지 가자. 여유가 있다면 발사실 앞 창고에서 핵미사일 무기고 열쇠를 찾아 무기고 문을 열어 M240 경기관총을 얻을 수 있다.

11. 핵미사일 발사실에 들어왔다면, 코드를 입력하고 핵미사일 발사키를 꽂아 핵미사일을 발사시키자.[25]

12. 핵미사일이 발사됐다면 헬기를 타고 4군데의 셸터 중 한 군데로 가서 핵을 피하면 된다. 핵미사일 격납고로부터 가장 가까운 셸터는 농장 오른쪽 파란색 집 뒷편 셸터이다. 그리고 핵이 폭발하고 바깥에 모두가 죽을 때까지 기다린다.[26]

13. 핵이 터지고 섬광이 지나간 뒤, 외부에 모든 것이 소멸되면 50000달러의 보상을 받는다.[27][28]

8. 버그


9. 기타


[1] 직역하자면 애니 혐오증(...)이란 뜻이다.[2] 참고로 뒤로도 달릴 수 있다![3] 3인칭 시점에서만 가능. 설정에서 Shift Lock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만 가능하다.[4] 1인칭 상태에서만 가능[5] 비무장 상태에서 마우스 커서를 위에 올렸을 때 클릭 표시가 뜨는 무기 및 아이템류를 주울 수 있다.[6] 소드 오프 샷건같은 일부 무기만 가능[7] 나침반과 근처 적/아군의 위치를 표시해 주지만 미니맵은 보여주지 않는다.[8] 예들 들면 3티어 도네이터를 구매시 3티어 보상과 1티어,2티어의 보상들을 전부 얻을 수 있다.[9] 인게임에 적용되며 높은 티어의 도네이터를 구매시 그 티어의 칭호로 바뀐다[10] G를 누르고 있을시 활성화 버튼이 뜬다[11] 아니포비아의 마스코트인 네코미미 백발 캐릭터가 그려져 있다.[12] 수영장에서 아이들이 물에 뜨기 위해 사용하는 길다란 스폰지 막대다.[13] 경찰용은 50 추가 체력, 군용은 100 추가 체력을 부여한다.[14] 미사일이 낙하할 때까지의 시간이 반만 남았으면 사이렌이 멈춘다.[15] 농장 하늘색 집 뒤, 군사 검문소 벌목장 근처 산, 잡화점 근처 광산, 레인저 기지 근처 동굴[16] 다른 위험 곳과는 달리 총든 적이 적으나 사방에서 대규모로 몰려오는 여러 위험한 적들 무리에 다굴 당할 수 있다.[17] 사막에 스폰하는 보스 철혈공조(M16A1) 같은 경우에는 고수도 버거워하며, 나머지 보스들도 한눈 파는 순간 바로 로비행이다.[18] 본 영상은 참고용 영상으로 아래의 서술과는 다른 부분이 있다.[19] 이것들을 전부 구매할 경우 9500달러 정도가 든다.[20] 다만 돈이 어느 정도 있다면 바렛 M82를 사들고 가는 것을 추천한다. 장거리 저격이 가능하면서, 대미지도 높을 뿐 더러 반자동이라 근접 대응도 어느 정도 가능하기 때문.[21] 단, 선제조건으로 M16A2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22] M200 인터벤션은 높은 대미지와 빠른 줌속도로 적들을 신속하게 한 방에 처리할 수 있고, SVD는 M200만큼은 아니지만 괜찮은 대미지와 빠른 발사속도를 가지고 있다.[23] RPG-7을 들고 있는 적[24] 군사기지의 전술인형들을 상대하는 것보단 쉽다.[25] 이때 발사 통제기 위에 상태 메시지를 잘 봐야한다. 새롭게 생성된 서버거나, 마지막 핵 미사일이 발사된지 시간이 상당히 경과됐다면, 입력 대기중(Awaiting Input) 메시지가 떠있을 테고, 전력만 잘 들어와 있다면 바로 발사가 될 것이다. 전력이 없다면 발사하려 해도, 전력 필요(Power Required) 메시지가 뜨며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간혹 쿨다운 상태일 때도 저 메시지가 뜨는 경우가 있다.[26] 핵이 폭발하고 나면 근처에 차량들이 폭발하는 소리와 함께 죽은 이들의 사망 효과음이 재생될 것이다. 채팅창에 뜨는 사망 메시지들은 덤.[27] 반드시 외부에 모든 생명체가 죽을 때까지 기다려야만 보상을 받을 수 있다.[28] 핵을 처음 터뜨려 봤다면 배지까지 준다.[29] 명령어를 쓰고 나면 창이 나온다. 이 창은 나올 때까지 약간의 딜레이가 있다.[30] 또한 렉이 걸리는 일이 자주 발생하며, 핑이 1000까지 튀어서 죽는 경우도 있다.[31] 한국의 경우엔 도쿄 서버나, 싱가포르 서버, 미국 서부 서버에 접속하면 그나마 원활한 플레이가 가능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