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1-03 03:38:26

2020-2021년 대한민국 AI 유행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30><tablebgcolor=#030> 파일:생선뼈.png2022년 식량·에너지 위기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인문적 요인 <colbgcolor=#ffffff,#1f2023>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2022년 대러시아 경제제재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향 · 미국-중국 무역 전쟁 · 물류 대란 · 각국의 수출 규제('식량 보호주의' 확산) · 원자재 가격 인상 · 신냉전
자연적 요인 2022년 남아시아 폭염 · 2022년 서유럽 폭염 · 2021년 북아메리카 서부 폭염 · 2022년 아프리카 가뭄 · 2022년 파키스탄 폭우 사태 · 2022년 중부권 폭우 사태 · 2021년 중국 허난성 폭우 사태 · 2021년 독일·베네룩스 폭우 사태 ·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 2020-2021년 대한민국 AI 유행 · 힌남노 · 2023년 1월 유럽 이상 고온 · 2023년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
국내 영향 식품 유통 관련 문제 · 윤석열 정부의 지지율 하락세 · 2022년 식용유 대란 · 소확행, 무지출 챌린지가성비 중심의 식품 유행(당당치킨) · 금리 상승에 따른 경제활동의 축소 · 외식물가 역대 최고치 경신(2022년 프랜차이즈 치킨 가격 논란) · 스마트팜 · 김장 가구 감소 · 탄소 중립 캠페인 · 2023년 난방비 대란
세계 영향 2022년 페루 시위 · 기준금리 상승세 및 '킹달러' · 엔저 현상 · 2022년 스리랑카 경제위기 · 프로틴플레이션 · 5월 이란 시위 · 9월 이란 시위 · 이라크 반정부 시위 · 2022년 몰도바 에너지 위기 · 대체 식품, 대체에너지 연구의 증가(GMO, 식용곤충, 신재생에너지) · 선진국과 개발도상국간 양극화 · 동아프리카 기근 위기 · 인플레이션 감축법 · 2022년 흑해 항로 협상 · 2022년 요르단 시위 · 애그플레이션 · 2022년 아이티 위기
}}}}}}}}} ||
1. 개요2. 현황
2.1. 2020년2.2. 2021년2.3. 2022년
3. 피해4. 관련 문서

1. 개요

2020년 상반기부터 유럽 지역에서 유행하던 고병원성 조류독감아프리카,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지역까지 퍼져서 대한민국까지 유입되어 유행한 사건.

2. 현황

2016~2017년 대한민국 AI 유행 이후 한동안 고병원성 AI 소식이 없었다가 2020년 10월 25일 천안시 봉강천에서 채취한 야생조류 분변에서 고병원성 AI가 발생했고 이후 다른 지역의 하천, 농장 곳곳으로 퍼졌다. 2021년 4월 18일 기준으로 야생조류 234건, 가금농장 109건의 고병원성 조류독감 확진 사례가 발견되었으며 유럽, 일본 지역의 고병원성 조류독감의 확산으로 네덜란드, 영국, 일본, 덴마크, 프랑스, 벨기에, 스웨덴, 호주, 독일 등 13개국의 나라에 가금류 수입을 금지했다.

2.1. 2020년

2.2. 2021년

2.3. 2022년

3. 피해

AI 항원이 검출된 곳에서 반경 3km 내에 있는 농장들의 가금류는 모두 살처분해야 했기 때문에 살처분된 조류는 산더미처럼 쌓이고 가금농장 주인은 삶이 어려워졌다. #

또 오리값은 도매가가 2019년보다 40% 오르고 3개월만에 ㎏당 3000원을 돌파했다. #

달걀값은 한 달만에 50%가 오르고 한 판 도매가가 6천원을 육박했다. #

한국양계농협, AI 직격탄…매출 총이익 38% ‘뚝’

농협은 고병원성 AI 피해 농장에 지원을 보냈다. #

4. 관련 문서


[1] 충남 첫 사례.[2] 경기 첫 사례.[3] 제주 첫 사례.[4] 전북 첫 사례.[5] 강원 첫 사례.[6] 경북 첫 사례.[7] 전남 첫 사례.[8] 충북 첫 사례.[9] 경남 첫 사례.[10] 대구 첫 사례.[11] 인천 첫 사례.[12] 부산 첫 사례.[13] 서울 첫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