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주요 선거·투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종류 | 지난 선거 | 다음 선거 |
대통령 선거 | 제20대 2022년 3월 9일 | 제21대 2027년 3월 3일 | |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
국회의원 선거 | 제22대 2024년 4월 10일 | 제23대 2028년 4월 12일 | |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
전국동시지방선거 | 제8회 2022년 6월 1일 | 제9회 2026년 6월 3일 | |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
재보궐선거 | 2024년 하반기 2024년 10월 16일 | 2025년 2025년 4월 2일 | |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
부통령 선거 | 1960년 3월 15일 | 폐지* | |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
국민투표 | 제6차 1987년 10월 27일 | 시행 불가** | |
{{{#!folding [ 역대 투표 펼치기 · 접기 ] | |||
* 1960년 6월 15일 제3차 개헌으로 부통령직 폐지 ** 2014년 7월 24일 헌법재판소가 국민투표법 제14조 제1항 내용 중 일부에 대해 헌법 불합치 결정을 내렸으나 이후 법률 개정이 이뤄지지 않아 2016년 1월 1일자로 효력을 상실하여 시행 불가능 | }}}}}}}}} |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 ||||
1992년 | ← | 1993년 | → | 1994년 |
1992년 재보궐선거 | ← | 1993년 재보궐선거 | → | 1994년 재보궐선거 |
1. 개요
대한민국의 공직선거법 규정에 따라 1993년 중에 치러진 재보궐선거다. 2000년 2월 이전까지는 재보궐선거의 일정이 정례화 되지 않아 지역마다 선거일이 모두 달랐다.[1]2. 4월 23일
1993년 4월 재보궐선거/국회의원 선거 결과 | ||||
[[민주자유당|]] | ||||
3석 | ||||
제14대 국회의원 |
1993년 4월 재보궐선거 지역구 | |
국회의원 | |
부산직할시 동래구 갑 박관용 (민주자유당) | 청와대 비서실장 임명으로 의원직 사직 |
부산직할시 사하구 서석재 (무소속) | 동해시 재보궐선거 후보 매수 관련 혐의 유죄판결로 의원직 상실 |
경기도 광명시 윤항렬 (통일국민당) | 1993년 1월 사망 |
문민정부 출범 2개월 만에 치러진 선거로 당연히 허니문 효과가 예상되었고, 실제로도 그렇게 드러났다. 당시 역사바로세우기를 내세우며 거침없는 개혁 정책으로 지지율이 80%대에 달했던 문민정부의 인기를 보여주듯이 3선거구 모두 여당후보가 압도적으로 당선되었다. 여담으로 손학규가 이 선거를 통해 처음으로 원내진출에 성공하였다. 이 때 선거부터 투표용지 계수기가 도입되었다.
2.1. 지역별 선거 결과
2.1.1. 경기도 광명시
광명시 광명시 일원[광명]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손학규(孫鶴圭) | 41,683 | 1위 |
[[민주자유당|]] | 44.94% | 당선 | |
2 | 최정택(崔正澤) | 28,373 | 2위 |
| 30.59% | 낙선 | |
3 | 정순주(鄭淳住) | 960 | 6위 |
[[통일국민당|]] | 1.03% | 낙선 | |
4 | 권순필(權純必) | 5,988 | 4위 |
[[신정치개혁당|]] | 6.45% | 낙선 | |
5 | 김재용(金在容) | 433 | 9위 |
| 0.46% | 낙선 | |
6 | 김은호(金隱滈) | 4,186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51% | 낙선 | |
7 | 유덕상(兪德相) | 514 | 8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55% | 낙선 | |
8 | 이공훈(李公熏) | 120 | 10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12% | 낙선 | |
9 | 이철로(李哲魯) | 1,161 | 7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25% | 낙선 | |
10 | 차종태(車鐘太)[3] | 9,326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0.0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26,493 | 투표율 41.24% |
투표 수 | 93,412 | ||
무효표 수 | 668 |
2.1.2. 부산직할시 사하구
사하구 사하구 일원[사하]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박종웅(朴鍾雄) | 53,636 | 1위 |
[[민주자유당|]] | 52.74% | 당선 | |
2 | 김정길(金正吉) | 20,624 | 2위 |
| 20.28% | 낙선 | |
3 | 홍순오(洪淳五) | 19,433 | 3위 |
[[신정치개혁당|]] | 19.11% | 낙선 | |
4 | 유강열(劉江烈) | 6,890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6.77% | 낙선 | |
5 | 박용수(朴容秀) | 1,097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07%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42,762 | 투표율 42.13% |
투표 수 | 102,298 | ||
무효표 수 | 618 |
2.1.3. 부산직할시 동래구 갑
동래구 갑 수민동, 복산동, 명륜1동, 명륜2동, 온천1동, 온천2동, 온천3동, 사직1동, 사직2동, 사직3동, 안락1동, 안락2동, 명장1동, 명장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강경식(姜慶植) | 72,233 | 1위 |
[[민주자유당|]] | 82.17% | 당선 | |
2 | 정인조(鄭寅祚) | 15,667 | 2위 |
| 17.82%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18,891 | 투표율 40.44% |
투표 수 | 88,528 | ||
무효표 수 | 628 |
3. 6월 11일
1993년 6월 재보궐선거/국회의원 선거 결과 | |
[[민주자유당|]] | |
2석 | 1석 |
제14대 국회의원 |
1993년 6월 11일에 치러진 선거로 국회의원 3명을 선출한 선거였다.이 선거에서 민자당은 텃밭인 TK와 강원지역 지역구 1곳을 수성하는데에는 성공하였으나 여당 중진 김명윤이 14대 총선에 출마해 낙선한 최욱철에게 예상외로 패배하는 이변을 맞게 된다.
1993년 6월 재보궐선거 지역구 | |
국회의원 | |
강원도 명주군·양양군 김문기 (민주자유당) | 사학비리 관련 혐의로 의원직 사직 |
강원도 철원군·화천군 김재순 (민주자유당) | 공직자 재산 공개 파동으로 의원직 사직 |
경상북도 예천군 유학성 (민주자유당) | 공직자 재산 공개 파동으로 의원직 사직 |
3.1. 지역별 선거 결과
3.1.1. 강원도 명주군·양양군
명주군·양양군 명주군·양양군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명윤(金命潤) | 19,349 | 2위 |
[[민주자유당|]] | 41.30% | 낙선 | |
2 | 최욱철(崔旭澈) | 22,898 | 1위 |
| 49.53% | 당선 | |
3 | 선복기(宣福基) | 4,604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9.08%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47,484 | 투표율 68.50% |
투표 수 | 63,583 | ||
무효표 수 | 97 |
3.1.2. 강원도 철원군·화천군
철원군·화천군 철원군 일원, 화천군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용삼(李龍三) | 21,695 | 1위 |
[[민주자유당|]] | 60.30% | 당선 | |
2 | 김철배(金澈培) | 6,580 | 3위 |
| 18.30% | 낙선 | |
3 | 이경희(李庚熙) | 7,664 | 2위 |
[[신정치개혁당|]] | 21.30%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55,062 | 투표율 66% |
투표 수 | 46,081 | ||
무효표 수 | 1,337 |
3.1.3.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군 예천군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반형식(潘亨植) | 7,980 | 1위 |
[[민주자유당|]] | 45.10% | 당선 | |
2 | 안희대(安熙大) | 6,226 | 2위 |
| 35.40% | 낙선 | |
3 | 황병호(黃丙鎬) | 2,091 | 3위 |
[[통일국민당|]] | 11.80% | 낙선 | |
4 | 정대수(鄭大壽) | 1,322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7.40%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51,096 | 투표율 71.30% |
투표 수 | 19,431 | ||
무효표 수 | 802 |
4. 8월 12일
1993년 8월 재보궐선거/국회의원 선거 결과 | ||||
[[민주자유당|]] | 무소속 | |||
1석 | 1석 | |||
제14대 국회의원 |
1993년 8월 재보궐선거 지역구 | |
국회의원 | |
대구직할시 동구 을 박준규 (민주자유당) | 공직자 재산 공개 파동으로 의원직 사직 |
강원도 춘천시 손승덕 (통일국민당) | 1993년 5월 교통사고로 사망 |
친야 무소속 서훈 후보가 전문가들의 예상을 뒤엎고 당선되는데 성공한다.
여담으로 선거 당일날 금융실명제가 실시되어 재보궐선거 결과가 금융실명제 뉴스에 묻혀 별로 주목을 받지 못했다(...) 또한 1993 대전 엑스포 개막 5일차였고, 휴가철인 점도 한몫했다.
4.1. 강원도 춘천시
춘천시 춘천시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류종수(柳鍾洙) | 26,956 | 1위 |
[[민주자유당|]] | 37.50% | 당선 | |
2 | 유남선(兪南善) | 14,813 | 2위 |
| 27.77% | 낙선 | |
3 | 황환도(黃愌道) | 6,822 | 4위 |
[[신정치개혁당|]] | 7.46% | 낙선 | |
4 | 유지한(柳志漢) | 7,711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5.72% | 낙선 | |
5 | 강청룡(姜淸龍) | 891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5.58%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72,462 | 투표율 58.50% |
투표 수 | 58,550 | ||
무효표 수 | 776 |
전임 손승덕이 교통사고로 사망함에 따른 보궐선거이다.
4.2. 대구직할시 동구 을
동구 을 평광동, 불로동, 봉무동, 도동, 지저동, 입석동, 검사동, 방촌동, 둔산동, 부동, 신평동, 안심1동, 안심2동, 안심3동, 안심4동, 공산1동, 공산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노동일(盧東一) | 24,929 | 2위 |
[[민주자유당|]] | 27.40% | 낙선 | |
2 | 안택수(安澤秀) | 5,396 | 4위 |
| 8.10% | 낙선 | |
3 | 김용하(金龍河) | 6,175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9.50% | 낙선 | |
4 | 서훈(徐勳) | 28,729 | 1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5.40%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66,910 | 투표율 60.2% |
투표 수 | 55,954 | ||
무효표 수 | 1,054 |
5. 9월 17일
1993년 9월 재보궐선거/광역의회의원 선거 결과 | ||||
[[민주자유당|]] | | 무소속 | ||
2석 | 0석 | 0석 |
1993년 9월 재보궐선거/기초자치단체의원 선거 결과 | ||||
14석[a] |
6. 10월 22일
1993년 10월 재보궐선거/기초자치단체의원 선거 결과 | ||||
1석[a] |
7. 11월 12일
1993년 11월 재보궐선거/광역의회의원 선거 결과 | ||||
[[민주자유당|]] | 무소속 | |||
2석 | 1석 |
[1] 그래서 위키백과나 나무위키 문서에 기재되지 않은 2000년 이전 재보선 결과도 상당하다. 지역별로 날짜가 전부 달라 목록을 만드는 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2000년 이전의 지역별 재보선 결과를 자세히 알고 싶다면 중앙선관위 자료를 참고하길 바람. #[광명] 광명1동, 광명2동, 광명3동, 광명4동, 광명5동, 광명6동, 광명7동, 철산1동, 철산2동, 철산3동, 철산4동, 하안1동, 하안2동, 하안3동, 하안4동, 소하1동, 소하2동, 학온동[3] 진성고등학교 설립자[사하] 괴정1동, 괴정2동, 괴정3동, 괴정4동, 당리동, 하단1동, 하단2동, 신평1동, 신평2동, 장림1동, 장림2동, 구평동, 다대1동, 다대2동, 감천1동, 감천2동[a]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이전까지는 기초자치단체의원직에 정당공천제가 실시되지 않아 정당 소속이 없었다.[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