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8 22:15:11

히트맨 2(게임)/스토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히트맨 2(게임)|히트맨 2(게임)]]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히트맨 2(게임)/등장인물]]{{{#!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히트맨패비콘.png
히트맨 시리즈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클래식 및 기타 작품]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000000,#e5e5e5
파일:히트맨 시리즈 로고.png
클래식 히트맨: 코드네임 47
히트맨 2: 사일런트 어쌔신
히트맨: 컨트랙츠
히트맨: 블러드 머니
히트맨: 앱솔루션
모바일 히트맨 GO
히트맨 스나이퍼
영화 히트맨
히트맨: 에이전트 47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암살의 세계 3부작]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000000,#e5e5e5
파일:히트맨2016.png
스토리 게임 플레이 장비 도전 과제
파일:히트맨2_2018.png
스토리 게임 플레이 장비 도전 과제
파일:HITMAN 3 Logo.png
스토리 프리랜서 장비 도전 과제
}}}}}}}}}}}} ||

파일:hitman_woa_logo.png
히트맨 암살의 세계의 메인 캠페인 미션
<rowcolor=#000> 프롤로그 기능성 훈련 최종 테스트
<rowcolor=#000> 시즌 1 쇼스토퍼 미래의 세계 도금된 새장
<rowcolor=#000> 27세 클럽 자유의 투사들 내장 역위증
<rowcolor=#fff> 시즌 2 야간 방문 결승선 삼두사
유령 추적 새로운 삶 물그림자가 감추고 있는 것
방주 협회 명예퇴직
(디럭스 팩)
최후의 수단
(디럭스 팩)
<rowcolor=#FF000F> 시즌 3 세상의 꼭대기에 서서 가족의 죽음 최상위 포식자
한 시대의 종언 작별 건드릴 수 없는 자


1. 개요2. 시즌 2
2.1. 에피소드 1 뉴질랜드 호크스 베이: 야간 방문 (Nightcall)2.2. 에피소드 2 미국 마이애미: 결승선 (The Finish Line)2.3. 에피소드 3 콜롬비아 산타 포르투나: 삼두사 (Three-Headed Serpent)2.4. 에피소드 4 인도 뭄바이: 유령 추적 (Chasing a Ghost)2.5. 에피소드 5 미국 버몬트 주 휘틀턴 크릭: 새로운 삶 (Another Life)2.6. 에피소드 6 안다만 해 앰브로즈 섬: 물그림자가 감추고 있는 것 (Shadows in the Water)
2.6.1. 기타
2.7. 에피소드 7 북대서양 스게일 섬: 방주 협회 (The Ark Society)
2.7.1. 기타
2.8. 에피소드 8 미국 뉴욕: 명예퇴직 (Golden Handshake)
2.8.1. 기타
2.9. 에피소드 9 몰디브 헤이븐 아일랜드: 최후의 수단 (The Last Resort)
2.9.1. 기타
3. 프리미엄 콘텐츠: 특별 임무 (Special Assignment)
3.1. 콜롬비아 산타 포르투나: 독사의 포옹 (Embrace of Serpent)
3.1.1. 기타
3.2. 인도 뭄바이: 위엄의 환상 (Illusions of Grandeur)
3.2.1. 기타
3.3. 미국 마이애미: 달변가 (A Silver Tongue)
3.3.1. 기타
3.4. 미국 버몬트 주 휘틀턴 크릭: 입에 쓴 약 (A Bitter Pill)
3.4.1. 기타
4. 시즌 콘텐츠: 홋카이도 스노우 페스티벌 (Hokkaido Snow Festival)5. 시즌 36. 관련 문서

1. 개요

히트맨 암살의 세계 3부작의 스토리
시즌 1(히트맨)시즌 2(히트맨 2)시즌 3(히트맨 3)

게임 히트맨 2(게임)의 스토리를 설명하는 문서.

2. 시즌 2

2.1. 에피소드 1 뉴질랜드 호크스 베이: 야간 방문 (Nightcall)


문서 참조

2.2. 에피소드 2 미국 마이애미: 결승선 (The Finish Line)


문서 참조

2.3. 에피소드 3 콜롬비아 산타 포르투나: 삼두사 (Three-Headed Serpent)


문서 참조

2.4. 에피소드 4 인도 뭄바이: 유령 추적 (Chasing a Ghost)


문서 참조

2.5. 에피소드 5 미국 버몬트 주 휘틀턴 크릭: 새로운 삶 (Another Life)


문서 참조

2.6. 에피소드 6 안다만 해 앰브로즈 섬: 물그림자가 감추고 있는 것 (Shadows in the Water)

다이애나: 좋은 아침입니다, 47. 방주 협회의 정기 모임까지는 아직 몇 주 정도 시간이 남았습니다. 한편으로는, 그레이 씨가 비공식적인 부탁을 하나 해 왔습니다. 그에 대해서는 그쪽이 직접 설명해 주시는 게 낫겠죠.

6: 노엘 크레스트. 내 최고의 해결사들 중 한 명이지. 루마니아로 떠나기 전에, 난 그에게 민병대의 지휘권을 양도했었어. 별도의 명령이 있기 전까지는 프로비던스에 대한 모든 공격을 중단하고, 추후에 내릴 지시를 기다리라고 했었지. 당연하게도 그 지시는 따르지 않았다고 봐도 무방하지. 크레스트와 놈의 부하들은 통제에서 벗어나, 자신들 스스로를 자랑스러운 국제 강도단으로 재탄생시켰지. 놈들은 잔혹하고 눈에 띄는 강도극을 특기로 삼고 있고, 부수적인 인명피해에 대해선 조금도 후회하지 않아.

다이애나: 그 남자에 대한 파일은 읽어 본 적 있습니다. 그런 인간에게 뭘 기대하셨나요?

6: 너희 둘 덕분에 내가 부렸던 최선의 부관들이 살해당해서, 내게 선택의 여지가 그리 많지는 않았거든.

다이애나: 흐음. 일리 있군요.

6: 설령 그렇다고 해도, 크레스트는 미친 개야. 그 놈의 일은 내가 책임져야 할 일이기도 하지. 내 실수이기도 하고. 부디 그걸 바로잡는 것을 도와줬으면 좋겠군.

다이애나: 현재 확인된 행방은요?

6: 앰브로즈 섬. 말라카 해협 북쪽에 위치한 고립된 항만이지. 우연히도 와지르 칼레가 오래 전 기항지로 사용했던 곳이기도 하고. 내가 가진 정보에 의하면, 크레스트와 놈의 부하들은 유조선을 습격하기 위해서 현지 해적단과 손을 잡았다고 하는군. 놈이 목표물로 삼았던 건 선박에 은밀하게 적재된 에테르 사의 위성 제어장치야. 그 위성은 에테르 사의 가장 안전한 클라우드 저장소 네트워크의 노드 역할을 맡고 있으니, 그걸 온전히 돌려 받기 위해서라면 막대한 금액을 지불하는 것도 불사하겠지.

다이애나: 크레스트가 진짜로 노리는 목표는 뭡니까?

6: 짐작해 보자면, 갈취겠지. 우리는 지금 그걸 철저하게 조사할 수 있을 만한 여유가 없으니까. 불변자와 맞서야 하는 우리들의 입장에서는, 프로비던스가 더 이상 위협을 받고 있지 않다고 방심하게 만들어야 해. 에테르에 대한 또 다른 민병대의 습격은 놈들의 경계심을 더 강하게 만들겠지.

다이애나: 제 생각도 그렇습니다. 47, 당신은 크레스트를 제거하고 위성 제어장치를 파괴하거나 민병대가 그것에 손을 댈 수 없게 해야 합니다. 위성이 절대 그들에게 넘어가선 안 됩니다. 우린 ICA에게 둘러댈 이야기가 필요합니다. 운 좋게도, 해적단의 탐욕스러운 지도자, 아카는 이미 ICA에 암살 의뢰가 들어와 있는 상태입니다. 그녀를 처리하면, 덤으로 그에 대한 보수도 챙길 수 있겠죠.

6: 이런. 당신이 이단아일 줄은 생각도 못 했었는데.

다이애나: 그러려고 하는 중이죠.

6: 둘 다 고맙군. 47, 크레스트는 내가 잘 알고 있으니, 현장 지원은 내가 담당하도록 하지. 동쪽에서 만나자.
안다만 해에 온 걸 환영해, 47. 우리도 방금 전 도착했다.

아무래도 크레스트는 이번 강도 작업의 진정한 목적을 자신의 파트너에게 알려주지 않고 있는 모양이군.

따라서 아카는 언제든지 조건을 재협상 할 수 있도록 위성 제어장치의 키카드 중 하나를 압류해 둔 상태야.

민병대는 식민지 주둔군의 옛 초소 인근에 캠프를 차려 둔 상태고 위성 제어장치 역시 근처에 있을거야.

네가 직접 제어 장치를 파괴하던지, 아니면 두 개의 키카드를 모두 이용해 조작할 수 없도록 만들어야 해.

내가 아는 한 크레스트는, 자기가 가장 신뢰하는 누군가에게 키카드를 맡겼을 테지만, 아카는 대리인에게 맡기는 걸 탐탁치 않아하는 것 같군.

현지인들과 어울리지 않을 땐 그녀는 해적단의 본거지에 머물고 있을 거야.

네게 GPS 추적기를 건네 주도록 하지. 일이 끝나고 그걸 작동시키면 내가 탈출을 준비하겠어.[1]

최대한 이 일을 빨리 끝낸다면, 더 좋겠지.
2022년 7월 26일 암살의 세계에 추가된 DLC 에피소드. 시즌 3에서 추가된 지역이지만 스토리 상으로는 휘틀턴 크릭과 방주 협회 에피소드 사이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으며, 암살의 세계 추가 지역이기 때문에 레거시 2편에서는 플레이가 불가능하다.[2] 추가 직후에는 시즌 3 지역으로 배정되었지만, 2024년 9월 패치를 통해 시즌 2 지역으로 재배치됐으며, 이에 따라 휘틀턴 크릭 이후의 다음 에피소드 순서도 앰브로즈 섬 → 스게일 섬 순서로 변경됐다. 또한 휘틀턴 크릭까지의 캠페인 미션을 클리어하지 않은 상태에서 앰브로즈 섬의 캠페인 미션 선택을 하려고 할 경우 경고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변경됐다.

방주 협회의 정기 모임이 시작되려면 몇 주 더 기다려야 하는 상황. 그렇게 집회를 기다리며 북대서양에 떠 있는 47 일행의 배 선실에서, 6은 그 전에 먼저, 프로비던스를 상대로 전쟁을 벌이기 위해 6 본인이 조직하고 지휘했던 사설 민병대의 활동을 중단시킨 이후로 의도치 않게 벌어진 사태를 책임지고 수습하기 위해, 다이애나 번우드와 47에게 개인적인 부탁을 한 가지 해 왔다.

47과 재회하기 위해 루마니아 브라소프로 떠나기 전, 6은 민병대의 지휘권을 노엘 크레스트(Noel Crest)라는 민병대 간부에게 맡겨두었다. 6은 자신이 별도의 명령을 내리기 전까진 프로비던스에 대한 모든 공격을 중단한 뒤 추후에 지시가 내려질 때까지 대기하고 있으라는 공지사항을 전파해 두었지만, 크레스트는 6의 지시사항을 따르지 않았고, 민병대가 활동을 중단한 이후 크레스트와 크레스트가 이끄는 민병대원들은 6의 통제에서 완전히 벗어나 대의고 뭐고 없는 국제 무장강도 범죄 조직으로 전락했다. 크레스트와 크레스트의 민병대원들은 잔혹하면서도 눈에 띄는 강도극을 주특기로 삼았고, 그 과정에서 벌어지는 무고한 사람들의 인명피해는 조금도 신경쓰거나 후회하지 않는 말종들이다.

비록 47과 다이애나가 의뢰를 받아 6의 민병대 내에서 그나마 최선이었던 간부들을 모조리 암살한 덕분에, 6은 크레스트 같은 쓰레기까지 민병대의 일원으로 채용하는 것 외에는 선택지가 달리 없었다고는 하나, 그걸 감안하더라도 크레스트는 6 스스로도 미친 개라고 인정할 정도로 심각했다.[3] 현재 크레스트는 부하들을 이끌고 말라카 해협에 위치한 앰브로즈 섬이라는 고립된 항만에 체류중이며, 이 곳은 한때 "마엘스트롬" 와지르 칼레의 해적단이 기항지로 사용했던 장소이기도 하다.

6이 수집한 정보에 의하면 크레스트는 신히 "아카" 벤탄 (Sinhi "Akka" Venthan)이 두목으로 있는 현지 해적단과 결탁하여 그들과 함께 강도극에 동참했으며, 이들이 강도 대상으로 삼았던 목표물은 어떤 유조선. 하지만 이 유조선은 평범한 유조선이 아니라, 에테르 제약회사가 자신들의 위성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장치를 몰래 실어 놓은 위성 제어장치 수송선이기도 했었다. 이 제어장치로 통제할 수 있는 위성은, 에테르 사의 가장 안전한 클라우드 저장소 네트워크의 노드 - 즉 에테르 사가 가진 핵심적인 정보들의 보관함으로 직통할 수 있는 문이나 다름 없기에, 이 중요한 위성이 강탈당했다면 에테르 사는 크레스트와 벤탄 일당에게 값비싼 대가를 지불하는 한이 있어도 위성을 온전한 상태로 돌려받으려 할 것이다.

47 일행의 현재 상황은 크레스트가 이 위성을 강탈하고 그 이후 궁극적으로 무엇을 노리는 지에 대해 알아낼 수 있을 만큼 경제적으로 여유롭지는 못한 상황이라 그의 진정한 의도는 알 수 없으나, 어찌 됐건 이 해상 강탈 작업이 뒷마무리까지 완전히 성공하면 47 일행으로써도 골치가 아파질 수 밖에 없다. 그 신중하디 신중한 프로비던스의 불변자 아서 에드워즈와 맞서기 위해서는 프로비던스가 더 이상 공격받고 있지 않다는 착각에 빠져서 방심하게 만들어야 하는데, 크레스트와 벤탄 일당에게 에테르 사의 위성 제어장치가 강탈당하여 되찾지 못한다면 6의 민병대가 다시 자신들에 대한 전면전을 재개했다고 판단한 프로비던스의 경계심이 더 강화될 것이고, 그렇게 되면 47 일행의 작업도 어려워질 것이기 때문.

다행히도, 신히 벤탄은 이미 암살 목표물로써 ICA에 암살 의뢰가 들어와 있는 상태이므로, ICA에 둘러댈 이야기를 꾸며내는 것도 어렵진 않을 것이고, 덤으로 ICA에게 의뢰 성공에 대한 보수도 받으면서 의심을 사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있을 프로비던스와의 싸움을 수월하게 만들고, 6이 의도치 않게 만들어 낸 후환도 제거하기 위해, 47은 노엘 크레스트와 신히 벤탄을 암살하고 에테르 사의 위성 제어장치 통제권 역시 이들의 손에 넘어가지 못하도록 시스템을 무력화시켜야 한다.

2.6.1. 기타

2.7. 에피소드 7 북대서양 스게일 섬: 방주 협회[12] (The Ark Society)

- 만일의 대비(precautions)

(프로비던스의 홀로그램 회의 장소)

마커스 스투이페산트: 대체 어떻게 이걸 눈치 못 챌 수가 있소? 세상에, 바로 우리 턱 밑에 있었다니. 그 노친네(제너스)가 우리 모두를 끝장낼 수도 있었소. 우리 가문들을 말이오.

불변자: 당신께서 아무리 치를 떨어도 제가 지금 느끼는 배신감만 하겠습니까? 제 심정은 어떨지도 좀 생각해 주시죠. 제너스는 죽었고, 루카스 그레이 또한 그의 전철을 밟을 것입니다.

칼 잉그램: 그리고 궁지에 몰린 짐승만큼 위험한 건 이 세상에 없지.

불변자: 일단 분명히 해 두겠습니다. 우리들의 존재는 전혀 드러나지 않았고. 우릴 향한 위협은 무력화 되었습니다. 이제 모든 게 정상으로 돌아왔다 이겁니다.

알렉사 칼라일: 그렇다고는 해도, 우리들은 지금 이 시간부로 당신에게---

불변자: 못합니다. 제게 그런 짓을 하다뇨. 어떻게 제 충성심을 의심하실 수가 있습니까?

알렉사 칼라일: 엉뚱한 생각은 전염되기 쉬운 법이니 혹시 모르니까요.

불변자: 진짜 제게 이렇게까지 하실 겁니까?

알렉사 칼라일: 뭐 문제라도 있나요, 비서관(secretary)?

불변자: (잠깐의 침묵 후) 그럴 리가 있겠습니까. 부인.

(3인의 "동반자들"이 화상 고글을 벗으며 그 세 사람의 홀로그램이 사라지며, 불변자도 화상 고글을 벗으며 회의가 끝난다. 화상 고글을 벗고 현실의 회의실로 돌아온 불변자는 의자 옆에 놓인 가방을 책상 위에 올려 놓은 뒤 가방을 여는데, 그 안에는 주사총과 어느 용액을 담은 캡슐이 두 개 보관되어 있다. 용액의 안에는 작은 칩으로 보이는 무언가가 작게 빛나고 있다)

불변자: 이게 바로, 충성의 증표다.

(불변자는 용액을 채워 넣은 주사총의 총구를 본인의 목에 가져다 댄다)

2개월 후

(북대서양을 항해하는 배 갑판 위에 코트를 껴 입은 다이애나가 나와 있고, 그녀의 뒤에 6가 나타난다)

6: 불변자가 도착했다는 걸 섬에 있는 내 부하가 확인했다. 우린 해가 진 뒤에 들어간다. 여기...

(6가 다이애나에게 권총을 건넨다)

6: 선원들이 엉뚱한 생각을 할 때를 대비해서.

다이애나: 왜 이 일을 시작하게 된 거죠, 미스터 그레이? 도망칠 기회는 있었는데, 왜 그러지 않았죠?

6: 몇년 전, 난 그 은행가 콥의 경호원으로 일했었다. 놈이 프로비던스의 요원인지를 알아내기 위해서. 난 수십년 동안 쭉 도망치기만 했으니, 이제 내가 맨 처음 시작한 짓을 끝낼 때도 됐지. 우리들의 머리 뒤에는 모두 바코드가 새겨져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걸 눈치 채지 못해. (잠시 침묵) 47이 당신의 부모님에 대해 얘기했었다. 그분들은 어떻게 돌아가셨나?

다이애나: 자동차 폭탄으로요. 1989년 영국 서리 주였죠. 블루 시드(Blue Seed)라는 회사가 자신들이 저지른 실수에 대해서 배상하고 싶어 하지 않았거든요. 하지만 제 생각은 이래요. 이 세상에 건드릴 수 없는 자들은 없다(No one's untouchable).

6: 그건...... 그건 정말 유감이로군.

다이애나: 당신은 죄책감을 느끼는 군요? 그와는 다르게, 당신은 전부 느끼고 있어요. 당신이 지금까지 해 온 짓에 대해서.

6: 양심을 가진 채로 살아간다는 건...위험한 짓이더라고.(It's a dangerous thing...Having a conscience.)

다이애나: 여러분, 주목해주세요. 우리의 정보원이 섬에서 엄청난 걸 발견했습니다. 불변자 목에 독극물이 담긴 칩이 박혀 있다는군요. 그가 발각됐을 경우를 대비한 안전장치입니다.

그레이: 아, 염병할. 그건 생각치도 못했는데. 그렇다면 우리는 독 칩이 발동되기 전에 제압해야 하겠군.

다이애나: 그리 단순한 문제가 아닙니다. 칩은 원격 조종장치로 제어되고 있어요. 불변자가 섬에 있는 동안에는 두 개의 작동장치가 각각 자매인 조이 워싱턴과 소피아 워싱턴의 손에 있어요. 이 야망있는 두 프로비던스 요원들은 방주협회의 여성 협회장으로 임명되었습니다. 틀림없이 불변자는 이 사실을 모를 겁니다.

그레이: 알겠다. 계획을 변경하도록 하지. 흩어져서 처리한다. 47은 워싱턴 자매를 처리하는 동안 내가 불변자를 섬에서 빼낼 방법을 찾겠다. 좀 어렵겠지만, 동반자들이 눈치채고 움직이기 전에, 그를 배로 데려왔을 때 수술로 칩을 빼야 해. 47?

47: 타깃에 대한 정보를 부탁한다.

그레이: 서류를 좀 뒤져봐서 안 건데 그 둘의 아버지는 엄청나게 보수적인 정책연구소 소장이다. 프로비던스의 가장 중요한 자산 중 하나야. 콩 심은 데에 콩 나는 법이지.

다이애나: 성자가 나는 법은 없고요. ICA 파일에 따르면 이 제멋대로인 사교계 쌍둥이들은 보물찾기에 눈이 돌아가 있어요. 총부터 쏘려고 보는 사나운 용병들을 지휘하면서 고대 유물을 찾으려고 전 세계를 들쑤시고 있습니다. 해당 지역의 전통문화나 심지어는 사람의 목숨까지, 신경도 채 쓰지 않으면서 말이죠. 보물을 얻기 전까지는, 멈추지 않고 어떤 짓이던지 하는 겁니다. 뭐, 그들은 곁다리로 휘말리게 된 희생자인 셈이지만, 그것도 다 인과응보라고 봐도 되겠죠. (Well. Collateral damage they may be. but safe to say they have it coming.)
그레이: 스게일 섬. 방주협회의 본부지. 1991년 제너스에 의해 설립된 방주협회는 가려받은 세계 최고의 특권층들이 모이는 협회다. 재력 있는 회원들은 문명이 붕괴되는 걸 두려워하며, 자기들의 생존권을 위해서라면, 막대한 돈도 기꺼이 쓸 사람들이지. 1년에 한번, 그들은 여기 모여 최신형 생존물품을 구매하고 새로운 계획과 해결방안을 의논한다.

다이애나: 맞아요. 이 모임은 베일에 싸여 있어서, 저 너머에서 뭔 일이 일어나는지를 예측할 수 있는 정보가 한정적입니다. 워싱턴 자매는 처음으로 협회장으로써 방주협회 정기모임을 주최하고 있으며, 불변자는 매년 참석하는 걸로 알려져 있어요. 뭔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는..당신들만 알겠죠. 행운을 빕니다. 장담컨데, 당신들은 그 행운이 필요할 겁니다.
세계에 재앙이 닥쳐서 멸망 상황이 되었을 때의 대비책을 나누기 위한 "방주 협회"의 집회 장소인 북대서양의 스게일 섬에서 불변자를 생포하려던 47 일행의 계획에 차질이 발생했다.

정보에 따르면 불변자는 자신이 붙잡힐 때를 대비한 자결용으로 본인의 목 뒤에 독극물 투여 칩을 박아 넣었다고 하며, 이 자결용 독극물 투여 칩은 원격 스위치로 통제되기 때문에 불변자가 자결하기 전에 기절시키는 방법도 통하지 않는다. 더 큰 문제는 이 원격 스위치가 한 개가 아니라 두 개라는 것이며, 불변자가 스게일 섬에 머무는 동안 이 두 스위치는 어느 두 인물들에 의해서 관리된다.

불변자의 자결용 독극물 투여 스위치를 관리하는 그 둘은 바로 쌍둥이인 조이 워싱턴(Zoe Washington)소피아 워싱턴(Sophia Washington) 자매. 젊고 야망으로 가득찬 프로비던스의 요원들로써 최근에 방주 협회의 공동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듣자하니 스위치를 이 둘이 관리하고 있다는 사실은 불변자도 눈치채지 못한 이야기인 듯 하다고.

파일:H2Sophia2.jpg 파일:H2Joe.jpg 파일:H2Constant.jpg

타깃인 소피아, 조이 워싱턴 자매와 생포해야 할 불변자이다.

따라서 작전은 47이 워싱턴 자매를 암살하는 동안 6는 불변자를 생포하여 빠져나갈 수단을 강구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6가 프로비던스로부터 탈취한 정보들에 따르면, 워싱턴 자매의 아버지는 매우 막강한 영향력을 보유한 어느 보수주의 싱크 탱크의 수장으로써 이 싱크 탱크는 프로비던스가 보유한 1등급 핵심 자산들 중 하나다. 또한 ICA의 파일에 따르면 워싱턴 자매는 보물 사냥을 좋아하는 매우 오만방자한 사교계 명사들로, 트리거 해피 용병들을 자신들의 수족으로 부리면서 세계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며 고대 유물들을 찾아내는 걸 낙으로 삼고 있다. 물론 다른 나라의 현지 문화나 무고한 현지인들의 생명에 대한 배려는 개나 줘 버리고, 자신들이 원하는 보물을 손에 넣기 위해서라면 어떤 쓰레기 같은 짓도 서슴치 않는다.

사실 일행의 주된 목표는 불변자의 생포이기에, 워싱턴 자매의 암살은 곁다리 희생자들이 엉뚱하게 휘말리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있겠으나, 이것도 어찌 보면 두 자매의 자업자득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 운수 나쁜 날(A Bad Hand)

북해

(어느 배의 지하실로 보이는 곳에 의자에 묶인 채로 감금되어 있는 불변자. 그의 목에는 칩을 절개하여 빼낸 듯한 흔적이 있고, 그의 눈은 부릅뜨여져 있다. 이윽고 배의 지하실에 다이애나, 6, 47이 들어온다)

다이애나: 미스터 에드워즈[13]. 아직도 이건 그저 유지 보수 작업(maintenance)이라고 생각하고 계신가요?

불변자(= 아서 에드워즈): 오, 번우드 양. 대체 무슨 짓을 저지른 거요? 도중에 멋대로 편을 바꾸다니? 참으로 프로답지 못하군...

(6이 불변자, 아서 에드워즈의 죽빵을 날린다)

6: 우리가 원하는 게 뭔지는 알고 있겠지.

에드워즈: 던져 줄 당근도 없이 맨입으로?

다이애나: 당근 같은 건 없습니다. 당신은 더 이상 동반자들에게 쓸모가 없어요. 발각당했으니까. 설령 우리가 당신을 그냥 살려 보낸다 해도, 당신은 절대 돌아오지 않을 거구요. 그들을 보호하기 위해 죽을 필요는 없잖아요?

에드워즈: 그 양반들과 내가 같이 죽는 게 가능하다면.

6: 확실히 이건 악수이긴 하지만, 당신에게 선택지는 이것 말곤 없어.

(한숨을 쉬는 에드워즈)

에드워즈: 세 가문들이오. 그게 다요. 잉그램 가문(The Ingrams). 칼라일 가문(The Carlisles). 스투이페산트 가문(The Stuyvesants).[14] 세 왕조가 비밀리에 본인들의 자산들을 몇 세대동안 걸쳐서 공동으로 관리하고 있지. 그들이 만들어 내는 특이점들은 파고들 틈새조차 없을 정도로 빽빽하오.

다이애나: 전혀 들어본 적 없군요.

에드워즈: 하지만 그들은 당신에 대해 들어본 적 있지. 사실, 당신은 지금 막 그들의 최우선 목표가 된 거요.

다이애나: (6을 바라보며) 가세요. 그들에게 반격할 시간을 줘서는 안 되니까.

6: 놈에게서 눈을 떼지 마.

(6가 자리를 뜬다)

다이애나: (47을 바라보며) 조심하세요.

(47도 말없이 자리를 뜬다)

에드워즈: 자. 이제 또 다시 우리 둘만 남았군. 진심으로 난 당신에게 실망했소, 번우드 양. 난 당신을 위한 큰 계획들을 가지고 있던 참이었는데.

다이애나: 그만 두시죠. 전 이제 진실을 압니다. 당신은 패했어요. 당신에겐 거래로 제시할 수 있는 그 어떤 것도 남아있지 않습니다.

(보트를 타고 어디론가 떠나는 47과 6)

에드워즈: 당신은 너무나도 확신하고 있군. 당신과 가까운 사람들에게는 더더욱 말이야. 그는 절대로 실패하는 법이 없지, 안 그런가? 그는 절대로 자신의 목표물을 놓치는 법이 없어. 당신은 그의 과거와 통하는 창문을 찾아냈지. 하지만... 아직도 어떤 과거들은 여전히 드러나 있지 않은 상태지. 당신이 오래 전에 배운 아주 간단한 그 진실 말인데...

(47의 시점은 과거로, 그것도 다이애나의 부모와 어린 다이애나를 풀숲 어딘가에서 지켜보고 있는 젊은 47의 시점으로 변한다)

(다이애나의 아버지, 피터가 어린 다이애나를 부르는 순간, 나무 뒤에 숨어있던 어린 47은 자동차 폭탄의 기폭 스위치를 누른다.)[15]

에드워즈: 이 세상에 건드릴 수 없는 자들은 없는 법이지. 번우드 양.(No one, Miss Burnwood, is untouchable.)[16]

2.7.1. 기타

이게 과언이 아니듯, 불변자가 방주 일원들이 모여있는 야외 바 구역을 지날 때면 방주 일원들 중 하나가 불변자를 직원으로 착각하고 음료 셔틀을 시키기도 한다(...). 불변자는 당연히 어이가 없어서 그 방주 일원의 인적사항을 묻고, 문제의 방주 일원에게 "언젠가 다시 만날 일이 있을 겁니다."라는 뒤끝있는 말을 남기면서 자리를 뜨는데, 그 방주 일원은 "다시 만날 일이 있을 거라니, 이건 또 무슨 소리야?"라면서 여전히 자신이 어떤 상황에 처했는지 파악을 못 하는 웃픈 모습을 보여준다.
파일:H2Agent6.jpg
미션 스토리들 중에서는 죽은 제너스의 장례식 예복과 러시아 제국 시절 로마노프 왕조의 예식용 단검[31]을 들고 죽은 제너스인 척 하여 장례식에 참석(?)하는 미션 스토리도 있는데, 식이 끝난 후 죽은 제너스에게 조의를 표하고 자리를 뜨는 다른 방주 협회 회원들 및 불변자와는 달리 조이 워싱턴 한 사람만은 제너스에게 머리를 들이밀고 열심히 고인드립을 쳐 댄다. 제너스 댁이 아무리 잘나봤자 결국 당신은 서민(rank and file)에 불과하고, 횡단보도나 걸어 다니는 중산층 떨거지(pedestrian middle class blah)일 뿐이다. 그리고 우리는 (제너스 댁과는 달리) 절대 돈 주고도 못 사는 걸 갖고 있지. 바로 푸른 피 혈통. 그래서 우리는 나중에 "동반자들" 지위로 신분상승 할 거지롱 이라는 고인드립인데...
조이 워싱턴 본인은 자기네 집안이 고귀한 푸른 피 혈통이라고 하지만, 워싱턴 자매의 암살 목표 정보에서도 대놓고 워싱턴 일가의 조상은 서아프리카 베냉에서부터 끌려온 흑인 노예라고 못박고 있다.[32] 즉, 조이가 저렇게 자기가 푸른 피라고 자칭하는 건 그야말로 블랙 코미디. 결국 워싱턴 자매는 조상이 노예라는 것도 모르면서 자기들이 귀족이라고 자칭하면서 선민사상을 가진 자들이었으니, 제너스가 왜 이 자매가 방주 협회 공동 회장이 되는 것에 그토록 결사반대했는지 알 만 하다.
아무튼 식이 끝난 후 마지막으로 남아 제너스에게 고인드립을 치는 조이 워싱턴을 상대로 암살을 시전하는 경우, 47은 그대로 들고 있던 의식용 단검으로 조이에게 푹찍 하고 칼빵을 놓아 준다. 이후 시체는 그 뒤에 있는 절벽에 던지거나 근처 수풀에 숨기면 된다. 장례식 중에 흘러나오는 음악은 블러드 머니의 수록곡인 아베 마리아인데다 장례식이라는 상황 자체도 블러드 머니의 마지막 미션을 연상케 하는데, 그래서 그런지 다이애나가 미션 스토리 완료 시에 "예전 생각이 나는군요"라고 코멘트를 하며, 아예 이 미션 스토리를 따라가 조이를 암살하는 도전 과제명도 대놓고 블러드 머니(Blood Money)다.

2.8. 에피소드 8 미국 뉴욕: 명예퇴직 (Golden Handshake)[60]

은행을 배경으로 하는 첫 번째 DLC. 2019년 6월 25일 발매. 스토리는 본편의 스게일 섬 미션 엔딩 컷신에서 바로 이어진다.

불변자 아서 에드워즈가 언급했던 프로비던스 수뇌부 "동반자들"을 구성하는 3대 가문 - 잉그램, 칼라일, 스투이페산트라는 이름을 해커 올리비아 홀이 추적해 보았으나, 조사는 얼마 지나지 않아 금방 막혀버리고 말았다. 벌써 그 3명의 수뇌부들이 사고사나 심장병, 폐암 등으로 사망했다는 거짓 부고 기사[61]가 빠르게 온라인에 퍼진 상태였기 때문.

즉 프로비던스의 동반자들은 이미 6가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자신들의 흔적을 지우기 시작한 것인데, 이러한 비상계획은 불변자조차도 전혀 모르고 있었던 것이라고 한다. 그 대신 불변자는 다이애나에게 자금을 추적해 보라는 조언을 하였다고 하는데[62], 그 말을 들은 6는 프로비던스의 핵심 자산이자 자신이 과거에 경호원으로 위장 근무했던 투자은행, 밀튼-피츠패트릭 은행을 떠올린다.

밀튼-피츠패트릭 은행의 뉴욕지점 지점장은 당연하게도 프로비던스의 요원이며, 지금으로써는 그 뉴욕지점 지점장을 노리는 것이 동반자들을 추적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다.

프로비던스의 동반자들이 원래 가지고 있던 신분을 버리고 새로운 신분을 만들고 있기는 하나, 이 신분세탁은 불과 방금 전에 갑작스럽게 시작된 작업이기 때문에 동반자들의 재산을 관리하고 있던 밀튼-피츠패트릭 은행에는 아직 그들의 이전 신분정보가 남아있을 수밖에 없다. 현재 밀튼-피츠패트릭 은행에는 동반자들이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원래 신분의 명의로 된 계좌가 남아 있지만, 이 은행의 고객 개인정보는 고객의 현 상황에 따라서 수시로 자동 업데이트된다. 다시 말해서 프로비던스의 동반자들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개인정보와, 그들이 새로 만든 신분으로 호적을 갈아 치우면서 업데이트될 새 개인정보를 알아낼 수 있는 시간은 얼마 남지 않았다.

은행에 남은 프로비던스 동반자들의 개인정보에 접속할 수 있는 방법은 총 두 가지. 은행 뉴욕지점의 지하 금고 안에 들어가 은행의 데이터 코어에 직접 접속하는 방법, 그리고 은행 뉴욕지점의 중요 간부 세 명이 가지고 있는 은행의 개인정보 백업 드라이브 세 개를 확보하는 방법이다. 그 뉴욕지점의 간부 세 명은 경비실 실장 마테오 페레즈, 회계실 실장 파비앙 만, 그리고 마지막으로 밀튼-피츠패트릭 은행 뉴욕지점 지점장 아테나 사발라스(Athena Savalas).

은행에 남은 개인정보가 탈취당했다는 사실을 프로비던스의 동반자들이 절대로 눈치채서는 안 되기 때문에, 두 방법 중 어떤 방법을 택하건 뉴욕지점 지점장 아테나 사발라스는 반드시 제거되어야 한다. 사발라스 지점장이 제거된다면 밀튼-피츠패트릭 은행에 마지막으로 남아 있는 프로비던스와의 마지막 연결고리도 잘려 나갈 것이고, 47 일행의 행보 역시 동반자들에게 발각되지 않을 것이다.

파일:H2Athena2.jpg 파일:H2Athena3.jpg

타깃인 아테나 사발라스이다.
6: 올리비아가 흥미로운 걸 찾아냈어. 가면서 말해 주지....

47: 어디로 가는 거지?

6: 파라다이스로, 47.

2.8.1. 기타

2.9. 에피소드 9 몰디브 헤이븐 아일랜드: 최후의 수단 (The Last Resort)[77]

두 번째 DLC. 2019년 9월 24일 발매.

47과 6가 탄 수상비행기가 몰디브로 향하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47이 밀튼 피츠패트릭 은행에서 확보한 데이터를 올리비아가 해독했고, 그 중 프로비던스의 동반자들이 소유한 계좌 쪽에 3건의 거래 내역이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 거래는 모두 "헤이븐(HAVEN)"이라는 몰디브의 어느 작은 기업을 상대로 한 거래였는데, 이 헤이븐이라는 기업은 공식적으로는 부유층 및 유명인사들의 "평판 관리(reputation management)"를 전문으로 하는 기업으로 알려져 있으나 사실은 돈 많은 범죄자들을 위하여 몰래 새로운 신분을 만들어 주는 신분세탁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

당연히 프로비던스의 동반자들은 헤이븐을 이용하여 깨끗한 새 신분을 얻고 다시 세상에 나오려 하는 것인데, 올리비아가 이에 헤이븐 사의 서버를 해킹해 보려 했으나 골때리게도 헤이븐 사의 운영진 측에서 매 10시간마다 서버 액세스 키를 수동으로 리셋하기 때문에 외부에서의 해킹은 불가능했다.

결국 부득이하게 47 일행은 그 헤이븐 사의 운영진을 암살하고 직접 헤이븐 사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액세스 키를 확보해야 하게 되었다.

열대지방의 파라다이스라 불러도 손색이 없을 헤이븐 사의 헤이븐 아일랜드는 헤이븐 사의 창립자 타이슨 윌리엄스(Tyson Williams) 가 소유하고 있는 땅이며, 섬 자체가 헤이븐 사의 본사 소재지 겸 헤이븐을 이용하는 고객들을 위한 오락 시설로 이용되고 있다. 고객들이 배를 타고 섬에 도착하면 몰디브에서 즐길 수 있는 서비스 중에서도 최고로 좋은 서비스들을 즐길 수 있는데, 미슐랭 스타 셰프들은 물론 마사지 풀 코스가 제공되는 스파에 개인 오두막, 운동 시설 그리고 그 외의 여러 가지 편의시설들이 고객들에게 최상급 수준으로 제공된다.

47 일행은 이 헤이븐 아일랜드에 47을 헤이븐 사의 신규 고객으로 위장시켜서 잠입시키기로 했고, 잠입을 위해 47에게 "세상에서 잠시동안 사라지고 싶어하는 전문 절도청부업자 미스터 리퍼"라는 꾸며낸 백스토리[78]도 만들어 붙였다.

47은 헤이븐 아일랜드에 잠입하여 헤이븐 사의 운영진 3인을 암살해야 한다. 우선 섬의 소유주이자 폭군 같은 악질 CEO란 소문이 있는 헤이븐 사의 창립자 타이슨 윌리엄스, 헤이븐의 신규 고객 모집 담당자 겸 핸들러를 맡고 있는 전직 사기꾼 류드밀라 베트로바(Ljudmila Vetrova) , 그리고 헤이븐 소유의 전용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프로그래밍한 전문 기술자 스티븐 브래들리(Steven Bradley). 이 3명의 운영진이 제거되어야 올리비아가 헤이븐 사의 서버에 침투하여 프로비던스의 동반자들이 만든 새로운 신분이 무엇인지 알아낼 수 있을 것이다.

타깃인 류드밀라 베트로바, 스티븐 브래들리, 타이슨 윌리엄스이다.

파일:H2Ljudmila.jpg 파일:H2Steven.jpg 파일:H2Tyson.jpg
6: 파라다이스에서 보낸 시간은 어땠나?

47: 생산적이었지.

6: 그랬을 테지...이제 곧 있으면 연락이 올 거야.

(올리비아가 서버에 접속한다)

올리비아: 접속됐어요! 당신의 로봇 친구가 섬에서 뭘 했는진 몰라도, 확실히 먹혀들었네요. 어디 볼까...

(헤이븐 서버의 폴더들 중 J_Doe project라는 이름의 폴더에 접속하는 올리비아)

다이애나: 그들을 찾았나요?

올리비아: 네. 바로 여기 있네요. 그런데...잠깐만요. 뭔가 이상한데요. 이거 보이시죠? 여기 있는 운영 지분(controlling shares)들, 이것들이 모두 프로비던스 제국의 핵심적인 중추에요. 그런데 이 운영 지분들은 동반자들의 새로운 신분 명의로 이전되지 않았다는데요.

다이애나: 무슨 소리죠?

올리비아: 제 말은, 그들이 보유하고 있던 운영 지분들이 엉뚱한 사람에게 넘어갔다는 거에요. 전부 다. 동반자들은 아무런 실권도 없이 몸만 빠져나갔다고요. 아서 에드워즈가 뭐하는 사람이죠?

(다이애나가 다급하게 불변자가 갇혀 있던 곳으로 달려가 보지만, 이미 불변자는 탈출하여 텅 비어 있다)

다이애나: 불변자!

(바위 위에 올려두었던 핸드폰의 진동벨이 울리고 그것을 확인하는 6)

6: 올리비아가 보낸 메시지야. 모든 게 계획대로 되어가는군. 동반자들이 어디 있는지 찾았어. 목표물들을 확보했다. 이제 거의 다 왔어, 친구. 기분이....좋지, 그렇지? (천둥이 한 차례 친다) 폭풍이 치기 전에 여기서 빠져 나가야 돼. 이제 우리의 목적을 달성할 시간이 온 거야, 47.

47: 그놈들을 모두 처리하는 것 말이지.

2.9.1. 기타

3. 프리미엄 콘텐츠: 특별 임무 (Special Assignment)

레거시 2편 히트맨 2(게임)의 확장 패스(Expansion Pass) 콘텐츠. 히트맨: 암살의 세계에서는 디럭스 팩 통합 DLC를 소지하고 있으면 플레이 가능하다.

암살의 세계의 사이드 캠페인 중 하나이기는 하나, 최초 감염자 캠페인과는 달리 기존 맵을 재활용해서 미션이 구성되어 있고 스토리도 후반부 미션 2개에 한해서 굉장히 느슨하게 진행된다.

3.1. 콜롬비아 산타 포르투나: 독사의 포옹 (Embrace of Serpent)

좋은 아침입니다. 47. 당신의 타깃은 블레어 레딩턴입니다. 논란이 되고 있는 맹수 수렵꾼이자 미국에서 가장 오래되고 영향력 있는 가문의 상속인 중 한 명입니다. 레딩턴은 멸종위기 동물을 사냥하는 걸 중점으로 하는 엘리트주의 그룹 '별장(The Lodge)'의 리더입니다. 별장은 회원들의 정치적 약점을 빌미로 한 협박과 뇌물을 주 수입으로 삼고 있습니다. 참고로 저희 의뢰인의 말로는 타깃은 항상 회원들의 인적사항과 정부 거래내용이 적힌 작고 검은 책을 지니고 있습니다. 의뢰인은 몇 년동안이나 별장의 밀렵 행위를 막기 위해 노력했지만 실패했습니다. 그러나 그 책은 분명 그들이 목표를 달성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 책을 회수해서 그들의 잔인한 행동을 끝내도록 해주시길 바랍니다. 이제는 샤냥꾼을 사냥할 시간입니다, 47. 준비할 시간을 주죠.
콜롬비아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47. 현재 타깃은 전설적인 멸종위기동물인 하얀 아나콘다, 아즈텍 말로는 '구름 뱀'을 찾기 위해 정글을 수색하고 있을 겁니다. 레딩턴을 찾아서 제거하고, 그의 작고 검은 책을 가져오시면 됩니다. 행운을 빕니다.
타깃은 블레어 레딩턴(Blair Reddington)으로 멸종위기종을 사냥하는 '별장(The Lodge)'라는 밀렵꾼 클럽의 회장이고 의뢰인은 그를 제거하는 건 물론 자신들이 막지 못한 그들의 밀렵 행위를 완전히 끝내기 위해 클럽 회원들과 정부 거래내용이 담긴 작고 검은 책을 회수하라는 부가 목표까지 부탁했다.

파일:H2Blair.jpg

3.1.1. 기타

3.2. 인도 뭄바이: 위엄의 환상 (Illusions of Grandeur)

좋은 오후입니다. 47. 당신의 타깃은 유명한 마술사이자 최면술사인 '바실 카네이비(Basil Carnaby)'입니다. 1960년대에 카네이비는 자신만의 유사 신비주의로 런던 상류층의 반항적인 청년들을 자신의 편으로 끌어들였습니다. 그런 다음 그는 그들에게 자기 대신 그들의 부유한 가족들에게서 돈을 뜯어내도록 최면을 걸었습니다. 그는 그렇게 수백만 달러를 훔쳤습니다. 경찰에게 발각되었을 때쯤, 그는 영성 순례자 그룹과 함께 네팔을 도주, 이후 사라졌다고 합니다. 그러나 오래 전에 그에게 당한 피해자 중 한 명이 최근에 뭄바이 거리에서 현지인들을 위해 정신과 의사의 행동을 하고 있는 나이 많은 카네이비를 목격했습니다. 안락한 무명의 삶을 얻은 그는 다른 사람의 주머니에서 손을 떼지 못하는 것 같군요. 행운을 빕니다. 47.
뭄바이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47. 당신의 타깃은 눈에 띄게도 고용한 경비원과 함께 인근 아파트 단지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가까워지기는 쉽지 않겠지만, 카네이비와 같은 타고난 쇼맨은 영원히 갇힌 채로 있지 않을 것 같습니다.
타깃인 바실 카네이비(Basil Carnaby)이다.

파일:H2Basil.jpg

3.2.1. 기타

3.3. 미국 마이애미: 달변가 (A Silver Tongue)

좋은 아침입니다. 47. 당신의 타깃은 '에이짓 "에이제이" 크리쉬(Agit "AJ" Krish)'입니다. 그는 아틀란티드의 현 책임자로, 의심스러울 정도로 긴 의료해택과 함께 미네랄을 뺀 식염수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만약 이 마케팅이 빛을 보지 못한다면, 아틀란티드는 아마도 독립 배급업자들에게서만 팔리겠죠. 그러나 크리쉬는 그들에게서 초기 계약금만 받고 생수를 더 낮은 가격에 판매하고 그 구매자들이 다시 파는 다단계 판매 방식으로 큰 이익을 얻고 있습니다. 그러니 그들은 무조건 팔아야 할 겁니다. 그러나 크리쉬의 주 수입원은 생수가 아닙니다. 그는 자신의 사업을 피라미드 방식으로 하는 데 관심이 있죠. 그렇게 구매자들의 친구나 지인등을 끌어들이면서 그들이 감당하든 하지 못하든 절박한 자들을 갉아먹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크리쉬는 그들에게 미래의 재산은 가장 고통스러운 투자조차 가치있게 만든다는 말을 하고 있습니다. 타깃은 현재 마이애미에서 아틀란티드의 뉴 페이스를 유명한 드라이버로 선정하려고 합니다. 저희 의뢰인은 그가 다시 누군가를 채용하지 않는 것을 바라고 있습니다. 행운을 빌어요. 47.
마이애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47. 당신의 타깃인 에이짓 크리쉬는 현재 매년 개최되는 국제 혁신 레이스의 VIP 영역에서 아틀란티드 이벤트를 주최하고 있습니다. 타깃은 자신을 인민의 남자로 묘사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그래서 그는 아마도 회사 스탠드에 서서 희생자가 될 불운한 손님들에게 기회를 설득하거나 아틀란티드를 대표하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우리는 그가 서명란에 서명하는 사람에게 즉시 팔기 위해 제품을 가득 실은 트럭 두 대를 가져왔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다른 말로는 그가 혼자 있는 기회를 찾기 힘들다는 뜻이죠. 행운을 빕니다.
타깃은 에이짓 "에이제이" 크리쉬(Agit "AJ" Krish)으로 아틀란티드라는 의료 혜택과 함께 미네랄 워터를 파는 회사의 사장으로 현재는 마이애미에서 아틀란티드의 뉴 페이스를 드라이버로 뽑기 위해 힘을 쓰고 있으며 의뢰인은 그가 다시 누군가를 채용하는 걸 저지해달라는 목적으로 암살 의뢰를 맡겼다.

파일:H2Ajit.jpg

3.3.1. 기타

3.4. 미국 버몬트 주 휘틀턴 크릭: 입에 쓴 약 (A Bitter Pill)

잠깐만요, 47. 크리쉬의 통화 내역을 조사해 봤더니 볼스라는 사람과 꽤나 긴 통화를 했다고 합니다. 아하, 역시나. 지난번 계약 건만으로는 일이 저희 예상대로 해결되지 않은 것 같네요. 분명 크리쉬는 아틀란티드의 앞잡이에 그의 약탈적인 사업 확장 활동에 대한 책임은 있죠. 그러나 그 제품과 홍보의 배후에는 '갈렌 볼스(Galen Vholes)'라는 자가 있습니다. 볼스는 큰 관심을 받지는 않지만 건조한 피부에서 췌장암에 이르기까지 모든 면에서 아틀란티드의 터무니없는 의학적 주장을 조용히 밀어붙이고 있습니다. 소문에 따르면 볼스는 고객과 전 영업 사원으로부터 받는 불평,불만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최근 교외로 이사를 했으며, 의료면허 같은 것이 전혀 없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익명을 활용하여 자택에서 독점적인 개인 진료소를 운영하고 있다고 합니다. 47, 아무래도 방문 치료를 해야 할 것 같네요?
휘틀턴 크릭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47. 당신의 타깃인 갈렌 볼스는 눈에 띄지 않는 자택내 개인 진료소를 설립해서 아틀란티드를 다시 일으키겠다는 야망을 품고 이 근방으로 이사를 갔습니다. 불운하게도 '당신이 온 건 물론' 이미 이사한 주소로 그에게 협박 편지가 온 상황입니다. 그는 초조한 모습으로 지역 당국에 거주지 보호를 요청했습니다. 볼스를 처리하려면 그들을 지나쳐가는 게 좋을 겁니다. 행운을 빌어요.
그리고 크리쉬의 통화 내역에서 나온 불길한 예감이 들이맞았는지 의뢰는 예상대로 해결되지 못했고 휘틀턴 크릭에 거주하는 아틀란티드 생수판매의 흑막인 갈렌 볼스(Galen Vholes)가 드러났다.

파일:H2Galen.jpg

그리고 47은 에이짓 크리쉬와 갈렌 볼스라는 두 돌팔이 약장수(Snake oil Salesmen)를 제거함으로서 아틀란티드에 의해 수많은 다단계 판매 피해자들이 생기는 걸 막게 되는 큰 건을 해냈다.

3.4.1. 기타

4. 시즌 콘텐츠: 홋카이도 스노우 페스티벌 (Hokkaido Snow Festival)

홋카이도 지역 겨울 시즌 콘텐츠 미션. 시즌 1 지역의 시즌 콘텐츠 미션이지만 레거시 1편인 히트맨(게임)에서는 등장하지 못하고 레거시 2편인 히트맨 2(게임)때 공개됐다.

표적의 이름은 드미트리 페드로프(Dmitri Fedorov)로 러시아의 폭죽 공장의 사장이지만 안전은 크게 신경쓰지 않았는데 지금으로부터 4주전에 본인이 시가를 폭죽통에 떨어트리는 바람에 폭발사고가 발생해 26명의 직원이 사망하고 본인은 중상(어느 정도냐면 얼굴까지 완전히 작살이 나서 모자이크로 가려졌다.), 이후 가마에서 크론슈타트의 기술로 회복하는데 성공, 이후 페드로프는 보험금을 챙기고 다음날에 바하마로 가려고 했지만 살아남은 노동자들이 그가 살아서 바하마로 가는 걸 용납치 못한다며 ICA에 암살을 의뢰했다.

5. 시즌 3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히트맨 암살의 세계/스토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트맨 암살의 세계/스토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트맨 암살의 세계/스토리#|]][[히트맨 암살의 세계/스토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관련 문서



[1] 실제로 탈출하려 할때 추적기를 작동하면 원래 보이지 않던 해변가의 탈출구가 여러 개 생긴다. 그쪽으로 가서 재작동시키면 헬리콥터에 실려 탈출하게 된다.[2] 캠페인 미션은 아니지만 시즌 1 홋카이도 지역의 시즌 콘텐츠 홋카이도 눈 축제가 레거시 1편에서 플레이 불가능한 것과 같은 형태다.[3] 이 부분의 만담이 심히 웃긴데 "왜 그랬어?"라고 묻는 다이애나에게 "너희 둘이 내 최고 간부들을 다 암살하는 바람에 선택지가 없었지, 안 그래?"라고 답하는 6, 그리고 "타당한 의견이야."라고 화답하는 다이애나가 포인트.[4] Hit by a truck. '트럭에 치인 거 같다.'라는 뜻으로 묵직한 무언가에 얻어맞은듯한 기분일 때 쓰는 관용어. 어찌 되었건 47의 능력을 생각해 보면 진짜로 트럭에 치인 기분이긴 하겠다.[5] 해당 청년은 술이 깬 뒤 자신의 실수를 깨닫고 판단력이 흐려진 상태에서 시가 상자를 땅에 묻었는데 위치를 까먹어버렸고 아카에게 응징 당할까봐 파라에게 사과문을 쓰곤 섬에서 튀어버렸다.[6] 그냥 죽이거나 기절시켜도 드랍된다.[7] 스미스 요원이 인터폴 요원으로서 말라카 해협에 파견된 것도 이렇게 해적단과 내통하는 선원을 조사하기 위해서였다고 한다.[8] 파라와 아카는 크레스트가 만약 해적들과 계약이 불발되면 사용하기 위한 카드로 쓰려고 했던 것으로 추정한다.[9] 바다를 좋아한다는 크레스트를 걷어 찬 뒤 나도 바다가 좋다며 이죽거리는 아카가 압권.[10] 정황상 방주 협회의 세계 멸망 대비대책의 일환으로 세워진 시설로 추정된다.[11] 아카는 해적 기지 구역을 돌아다니면서 '미스 황' 이라는 인물과 통화를 하며 '우리 둘 모두 잘 아는 사람' 이 이 번호를 알려 줬다고 하는데, 자신의 해적단이 그쪽의 사업(유조선 수송, 선박 거래 등)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사업 제안을 한다. 슈를 중개인으로 삼아 카이론 사의 하청을 받는 심부름센터 같은 지위로 합법 및 불법적인 일들을 도맡아 하며 콩고물을 얻어 갈 생각이었던 듯. 그런데 크레스트가 슈를 죽여 버렸다면 이 기회는 당연히 날아가 버리는 것이나 다름 없다.[12] 노아의 방주에서 따온 방주로, 세계에 치명적인 재난상황이 닥쳤을 때에 자기들 끼리 어떻게 살아남아야 하는지를 이야기하는 부분과 일맥상통한다.[13] 이름을 부를 때 은근히 강조하여 부르는데, 그동안 암흑 속에서 세상을 쥐락펴락 하던 불변자의 정체를 알고 있음을 드러내며 노골적으로 빈정대는 듯한 어투이다[14] 불변자의 직속상관인 프로비던스 수뇌부, "동반자들"의 구성원들 이름은 히트맨 2 캐스팅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칼 잉그램, 마담 칼라일, 마커스 스투이페산트라고 한다. 노인 쪽이 칼 잉그램, 노파 쪽이 마담 칼라일, 중년 남자 쪽이 마커스 스투이페산트.[15] 이에 대한 내용은 게임과 스토리가 이어지는 히트맨 코믹스인 "에이전트 47: 히트맨의 탄생(Agent 47: Birth of the Hitman)"의 초반부에 묘사가 된다. 다이애나의 아버지 소유 차량에 폭탄을 부착하여 암살하는 임무에 투입되었던 오르트마이어의 클론들이 바로 47과 6였다.[16] 에피소드 5 컷신에서 다이애나의 남동생과 부모를 죽게 한 원흉인 블랙기업, 블루 시드 사가 프로비던스 측에 속한 기업이라는 점을 다시 생각해 보면, 다이애나의 부모가 자동차 폭탄으로 암살된 사건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을 불변자가 모르고 있을 리 없다. 그런데 아무리 그래 봤자 애초에 다이애나의 부모를 암살하도록 사주한 것이 프로비던스에 소속된 기업이라는 건 변하지 않는 사실인지라, 이게 과연 얼마나 효과를 볼 지는 미지수.[17] 히트맨: 앱솔루션의 최종 보스인 블레이크 덱스터의 동생이다.[18] 코카인 블록들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성 입구에 들어서면 바로 보이는 1층 라운지 구역에 위치한 화장실(꽃병 안에 숨겨져 있다), 오리지널 파이브와 소피아 워싱턴이 모여서 위원회 회의가 열리는 성 상층부 회의실(작은 탁상시계 안에 숨겨져 있다), 그리고 관리인들이 근무하는 창고 2층(탁자 위에 올려진 도자기 꽃병 안에 숨겨져 있다).[19] 프로비던스가 전세계 정재계를 컨트롤하는 조직인 만큼, 그 프로비던스의 수뇌부를 족쳤다간 세상에 어떤 혼돈이 벌어질 지를 생각해 보라는 의미로 하는 말.[20] 캠페인 미션에서는 독 투여 스위치를 누르는 순간 탈출 지점이 비활성화된 후에 다이애나의 무전 후 미션 실패 화면으로 넘어가므로 킬 스위치를 누르기 전으로 로드할 수 있지만, 세이브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컨트랙츠 모드에서는 어떤 이유가 됐든 독 투여 칩이 작동됐다면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21] 북대서양의 범위에는 영국 본토인 브리튼 제도도 포함되며, 브리튼 제도는 과거에 로마 제국영토였던 시절이 있었다.[22] 방주 협회 자체가 과학자나 기업가 같은 전 세계 엘리트들이 모인 집단이다 보니 그 대비 계획이란 것들이 하나같이 비범하기 짝이 없는 것들이다. 극지방에 하이퍼보리아라는 도시를 건설하는 계획도 있고, 화성에 진출해서 인류가 새로 정착할 우주 식민지를 만드는 계획도 있으며, 의식을 컴퓨터로 옮겨서 디지털 공간 속에서 영원히 살아가는 계획(물론 호불호가 꽤나 갈리는 계획이라 방주 정회원이나 건축가 중에서도 기겁해 하는 이들이 종종 보인다), 협회 회원의 유전자를 복제하여 복제인간을 만들어 두었다가 회원이 사망하게 될 경우 그 회원이 사망하기 전에 뇌를 스캔하여 복사해 두었던 회원의 기억 데이터를 복제인간에 이식하는 계획도 있는데(3층의 건축가 계급 회원이 소피아에게 이 계획을 설명하면서 비디오 게임의 리스폰 같은 것이라고 설명한다.) 아무래도 방주 협회의 탄생에 프로비던스가 개입해 있는 만큼 오르트마이어의 인간 복제 기술이 은근슬쩍 들어가 있는 듯. 그리고 재미있게도 건축가로 변장한 47을 보면 다른 건축가들이 "그쪽은 복제인간 프로젝트 쪽 담당이죠? 딱 봐도 그래 보이네요."라는 드립을 친다.[23] 성 3층의 하이퍼보리아 전시실 구역 입구에서 대화하는 두 건축가들(한 명은 젊은 여성이고 다른 한 명은 마라케시 에피소드의 암살 의뢰인이었던 건설사 해밀턴 로우 사의 중역으로 보이는 '미스터 로우(Lowe)'라는 남자)의 잡담 내용을 통해 이 하이퍼보리아라는 부유층 전용 비밀도시의 프로젝트에 대해 더 자세한 사항을 들을 수 있는데, 우선 하이퍼보리아의 부지는 (프로비던스 산하 기업인) 청정 에너지 기업 바이오스피어 사가 그린란드 자치정부와 덴마크 정부에게서 합법적으로 사들였고, 공식 서류상으로는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에서 벌어진 친환경 자급자족 도시 인공섬 프로젝트와 같은, 영속적 생활(sustainable living)에 대한 실험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장소로 등록되어 있다고. 청정 에너지 기업이 도시 건설 프로젝트에 관여하고 있는 만큼 태양열 에너지 발전(Solar Powers)과 제로 넷 에너지 시스템(zero net energy system: 전기, 수도, 가스 등을 이용하면서 소비되는 에너지의 양을 0으로 만들어 석유, 석탄 에너지의 사용을 줄이고 에너지 사용 지출을 줄이는 기술)으로 돌아간다고 한다.[24] 3명의 후보 중 1명은 여성이라서 47이 복장을 얻을 수 없다.[25] 토큰 10개를 채우기 조금 빡빡할텐데, 맵 곳곳에 매달려 있는 새장을 총으로 쏴서 떨구면 토큰 3~4개를 한꺼번에 얻을 수 있으니 참고.[26] 한가지 재밌는 이벤트가 있는데 입회자로 변장한 후 다른 여성 입회자에게 접근하면 자기는 토큰을 이만큼 많이 모았다며 자랑하는데 그때를 노려 토큰을 냅다 가져갈 수 있다. 이때 토큰을 뺏긴 입회자는 한참동안 47을 따라다니며 '왜 가져갔냐', '신고해버릴테니 내놓아라' 등등 온갖 투정을 해대며 쫄래쫄래 쫒아오는데(...) 이를 이용해 아무도 없는 화장실에서 제압하면 토큰을 4개 더 드랍한다. 다만 한참 방치하거나 멀어지면 치사해서 간다는 투의 말을 하며 다시 제 갈길을 간다.[27] 이렇게 정식으로 정회원으로 승격하는 도전 과제도 존재한다.[28] 다만 이때 질문하는 내용이 사실상 전부 47의 모습이나 마찬가지라서 정직하게 답하면 모든 질문이 진실이다(...).[29] 불변자가 머무는 탑의 1층 방에 놓인 제너스의 일지를 읽어 보면, 제너스는 KGB 요원으로써 냉전의 최전선에서 활동하는 동안 인류가 얼마나 한순간에 간단하게, 허무하게 멸망할 수 있는 지를 통감했고(장례식장 근처의 방주 일원 두 명도 이에 대해 이야기한다. 방주 일원이 이를 표현하기를 이번에 날라오는 권총 탄환은 어떻게 잘 피했지만, 그 다음에는 아예 산탄이 날라올 지도 모른다는 게 제너스가 방주 협회를 창설하면서 가진 생각이었다), 그 때의 경험 때문에 프로비던스의 초대 불변자로 임명된 이후 프로비던스의 수뇌부인 동반자들을 설득해서 방주 협회를 창설하였다고 한다.[30] 또한 제너스의 저택 2층 서재에서 축음기를 작동시켜(축음기를 작동시키고 제너스가 중얼거리는 말을 들으면 날짜에 대한 단서를 얻을 수 있다) 지하실로 내려가게 만들면 가끔가다 제너스가 소련 깃발 앞에 서서 전화로 방주 협회의 회원과 통화를 하는데, 방주 협회는 원래 희생, 의무, 생존을 모토로 돌아가는 모임이었으나 워싱턴 자매가 지들 멋대로 방주 협회를 모험과 로망으로 돌아가는 모임으로 바꿔 놨다고 워싱턴 자매를 씹어댄다. 또한 통화 내용에서 제너스 본인이 밝히는 바에 따르면, 제너스는 이미 은퇴한 몸이라 방주 협회 내에서 공식적으로 뭔가를 할 수 있는 권한은 없으나, 방주 협회의 창시자라는 이력 때문에 여전히 협회 내에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원로 대접을 받고 있었다.[31] 제너스가 방주 협회에 기증한 유물인데, 니콜라이 2세라스푸틴에게 칼빵을 먹일 때 쓴 단검이라고. 심지어 이 이야기는 제너스 본인이 단검을 기증하면서 직접 설명한 이야기라는 언급을 NPC들이 하기에, 도대체 제너스의 집안이 어떻게 되어 먹은 집안인지 수수께끼만 깊어져 가게 만드는 단검이다. (안 그래도 제너스의 암살목표 정보에서는 제너스의 출신을 추정하는 여러 가설들 중 친공산주의 러시아 왕족(communist royalty) 설도 있다고 나온다) 아무튼 이 단검을 찾으라고 지정된 장소에 놓인 유물 나무상자들 중 랜덤으로 들어가 있다. 크로우바로 박스를 깔 때는 관리인의 변장이 필요하고 단검을 집어들 때는 (무기이므로) 엘리트 경비원 변장이나 약탈자 변장이 필요한데, 재수가 좋으면 눈에 잘 안 띄는 곳에 놓인 박스 속에 예식용 단검이 숨어들어가 있어 그냥 박스 까자마자 곧바로 집어들어도 되지만, 재수가 없으면 관리인들과 약탈자들이 다 보는 한가운데에 놓인 박스가 단검이 든 박스로 걸릴 수 있다. 이럴 경우에는 박스 까고 나서 다시 변장을 바꿔 입으러 가야 하기 때문에 꽤나 번거로워진다.[32] 덧붙여 말하자면, 미국 흑인들 사이에서 가장 흔해빠진 성씨가 조지 워싱턴의 이름에서 따온 워싱턴이다. 다시 말해서 워싱턴 성씨를 가진 아프리카계 미국인이라는 것 자체가 명문가라고 자랑할 만한 혈통은 못 되는 것이다.[33] 에피소드 5에서 얻을 수 있는 단서들 중. 캐시디의 저택에 있는 도청 테이프를 들어 보면 애초에 워싱턴 자매를 "새로운 바람을 불러 일으킬 수 있을" 협회장감으로 본 사람이 바로 불변자의 상사인 동반자들이라 불변자도 어쩔 수 없이 따르는 것인 듯. 이 테이프를 듣고 난 다음에 에피소드 6를 플레이 해 보면, 선배랑 상사들 사이에 샌드위치처럼 낀 거로도 모자라 밑에서 자길 잡아먹으려 드는, 경험도 부족하면서 건방짐과 찌질함만은 하늘을 찌르는 후배들(워싱턴 자매)한테도 시달리게 된 불변자도 고생하는 신세를 알 수 있다.[34] 실제로 불변자가 거주하는 성의 탑에 들어가 불변자의 방을 뒤져 보면, 자기 목에 박힌 독극물 투여 칩의 작동 신호를 차단하는 방법을 연구한 흔적이 있는 노트북이 있다.[35] 이때 47은 그러는 당신은 누구냐고 물어 보는데, 불변자는 이에 "전 그저 별 볼일 없는 조언자일 뿐입니다.(A humble advisor. Nothing more.)"라고 얼버무리고, 47은 "책임지지 않는 권력이라. 그런 건 별 볼일 없다고 할 수 없지요."라고 제법 정곡을 찌르는 말로 받아 친다. 실제로 불변자는 이 에피소드에서 자신을 "방주 협회의 친구(friend of the Ark society)"라든가 "외부에서 온 옵저버(outside observer)"라고 칭하는 등, 방주 협회 내에서는 무언가에 책임을 질 만한 공식적인 직위를 가지고 있지는 않아도 권력만은 엄청나게 크게 가지고 있는 전형적인 비선실세.[36] 히트맨 3의 두바이 에피소드에서 칼 잉그램의 암살목표 정보를 읽어 보면 소피아 워싱턴은 (정작 본인은 잉그램을 비롯한 프로비던스 동반자들 3가문의 이름조차 모르고 있고 칼 잉그램이 자기들 집안의 빽이라는 사실도 자각 못하고 있지만) 아버지가 운영하는 팍스 문두스 재단의 뒷배인 잉그램 가문의 빽을 믿고 이렇게 나대고 있다는 사실을 유추할 수 있다. 실제로도 소피아가 방주 협회 위원회원들을 모아 시도하려는 정책이 바로 잉그램이 의도한 녹색 에너지 사업 전환이며, 6이 잉그램과 스투이페산트에게 복수 영상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게 돕는 미션 스토리에서도 잉그램이 6을 보고 '그레이 니가 워싱턴 쌍둥이도 죽였다'라는 식으로 비난한다.[37] 불변자도 어지간히 빡쳤는지, 이 미션 스토리 이후로 불변자가 조이 워싱턴을 만나면 먹이를 주는 주인의 손을 물지 말라고 경고하면서 언니 소피아가 나대지 않게 주의 좀 똑바로 주라고 경고를 날린다.[38] 소피아의 언급에 따르면, 그 와중에 워싱턴 자매와 워싱턴 자매가 이끄는 용병부대(=약탈자)가 잃어버린 도시 Z(Lost city of Z)를 찾아낸답시고 아마존을 뒤지고 다니다가 아마존 현지 부족들을 학살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 유일한 증인인 어느 인류학자가 있는데, 에피소드 6 시점에서 이 인류학자는 브라질 상파울루에서 잠수를 타고 있는 중. 당연히 소피아는 어떻게든 이 인류학자를 담궈 버리려고 약탈자 한 명을 보내서 추적중이며, 국제앰네스티도 워싱턴 자매의 학살범죄를 증명하기 위해 유일한 증인인 이 인류학자를 증언석에 세우려고 눈에 불을 켜고 추적하고 있다고 한다.[39] 언차티드 시리즈의 주인공 네이선 드레이크의 패러디.[40] 조이가 나다니엘과 만나서 말싸움하는 걸 들어 보면, 그것 때문에 소피아가 보물 사냥에 완전히 흥미를 잃어버렸다고 화낸다. 실제로 불사조 동상 미션 스토리때 밸브를 조작하지 않고 조이를 무사히 탈출하게 만들 경우 조이가 소피아에게 음성메시지를 남기면서 "그놈의 기업 회장들이랑 짝짜꿍하는 지루한 짓은 그만 두고 성전 기사단의 잃어버린 보물이나 찾으러 가자"라고 하는 반면, 소피아는 건축가 계급 구역의 경비실 옆방(약탈자들의 작전실)에 들어갈 때 하는 대화 패턴들 중 하나로 "조이는 혈기가 너무 넘쳐서 상어 사냥이라도 보내서 진정시켜야 할 것 같다"라며 보물 사냥에 더 이상 관심이 없는 듯한 말을 하기도 한다. 어떻게 보면 나다니엘이 워싱턴 쌍둥이랑 같이 다니기에는 아까운 인물인데, 방주 일원과 나다니엘이 잡담하는 내용을 들어 보면 나다니엘은 현지 문화를 존중하고 유적 탐사 때도 현지 고대 유적의 훼손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 정성스럽게 함정을 해체하며 탐험을 하는 점잖은 실력파 스타일인 반면(그래서 블레이크로 변장하고 목걸이로 암살하기 전에, 소피아는 용병들을 시켜서 보위 나이프로 블레이크 모가지를 그어 버리고 목걸이를 다시 뺏어갈까 생각하긴 했지만 블레이크의 실력은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는 말을 한다), 워싱턴 쌍둥이는 현지 유적지 보존이고 나발이고 그냥 무식하게 C4 폭약으로 유적지를 다 때려부수고 다닌다고 하는데, 헬기장 근처의 창고 입구로 이동하여 잡담(아래에 추가 설명함)하는 관리인들의 숨겨진 대화에서도 여성 관리인은 자기들을 약탈자라 자칭하고 다니는 워싱턴 자매의 약탈자 용병들을 망나니들(roughnecks)이라고 경멸하고 남성 관리인은 워싱턴 쌍둥이의 보물 사냥 실력이 신사다운 탐험가인 나다니엘과는 달리 서투르다(heavy-handed)고 돌려 깐다. 하긴 현지인들 학살까지 하고 다니는 인간들에게 유적지를 온전히 보존해 주길 바라는 건 무리. 인성 면에서 봐도 인류의 소중한 문화 유산이라며 목걸이를 방주 협회 박물관에 기증한 나다니엘의 대인배스런 인성은 워싱턴 쌍둥이 따위와 비교를 불허하는 수준이다.[41] 이 미션 스토리 이름이 "이건 박물관으로 가야해(It Belongs in a Museum)"다.[42] 미션 스토리 가이드에는 경보를 해제하고 그냥 그 다음에 바로 목걸이를 훔치라고 되어 있는데, 애초에 목걸이를 보는 눈이 주변에 너무나도 많기 때문에 나다니엘 변장 없이 사람들 코앞에서 목걸이를 훔치는 행위는 그냥 대놓고 나 죽여달라고 하는 꼴. 목걸이를 훔치기 전에 나다니엘(목걸이를 가져가도 아무도 의심하지 않음)로 변장하는 과정이 필수다. 나다니엘은 인디아나 존스 영화에서 튀어나온 듯 한 탐험가 복장이라서 눈에 확 띄기에 찾는 건 쉽다.[43] 목걸이가 도난당했음을 확인한 나다니엘은 그 자리에서 피꺼솟해서 불쌍한 경비원을 갈구고, 경보 시스템에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경보 시스템이 있는 박물관 구역 위층으로 올라가 시스템을 체크한다. 이 때가 제압 타이밍. 시스템을 체크하면서 이런 프로스러운 솜씨는 워싱턴 쌍둥이의 방식이 아니라면서 "설마 마당새들 놈들 짓인가? 아니야 그럴 리가. 코박은 파나마에서 이미 체포당했잖아."라며 스나이퍼 어쌔신 모드의 마당새들 절도단을 언급하기도 한다.[44] 나다니엘은 가끔 가다 핸드폰으로 소피아가 보낸 욕지거리 문자들을 확인하면서 비웃는데, "유감이지만 방주 협회 회원을 개인적인 이유로 강제탈퇴 시키는 건 금지되어 있지"라고 비웃기도 한다. 그 말 그대로 나다니엘도 방주 협회 회원, 그것도 특별회원급 회원이라서 건축가 계급부터 출입 가능한 구역에도 출입할 수 있고 심지어 집사와 엘리트 경비원이 지키고 있는 불변자의 탑 1층 방도 출입할 수 있다.[45] 컴퓨터 화면 오른쪽에서 컴퓨터를 조작 중인 약탈자. 제압할 경우 방주 협회 의장이 머무는 성 꼭대기 펜트하우스로 가는 카드키를 떨구는 것으로 보아, 소피아 워싱턴에게 몇 년 동안 같이 보물 사냥에 참여하면서 알고 지내지 않았냐는 불평불만이 허언이 아닌 듯 약탈자들 중에서도 최선임 고참급으로 추정된다.[46] 자막에서는 일부 단어가 누락되었지만 원래는 You and me though라고 한다.[47] 프로비던스가 원하는 "대세를 녹색 에너지로 바꾸기"에 거슬리는 짓을 하고 있기 때문인지, 불변자가 제버다이어 블록을 찾아가서 블록이 방주 협회를 때려 치우도록 부추기기도 한다(이때 블록은 불변자를 "제너스의 부하" 정도로 인식하고 있다). 대충 요약하자면 "세상이 진짜로 망하고 우리 협회 회원들끼리만 살아 남으면 모두가 다 같이 평등해져 버리잖습니까? 시장 경제도 없고 그냥 우리끼리만 평등한 지위 가진 채 살아 남으면 그건 그냥 공산주의죠"라는 말로 꼬시는데, 거기에 넘어간 블록은 "내가 지금까지 그딴 꼴을 보려고 방주 협회에 그 많은 돈을 꼬라박았다고??"라고 충격을 먹는다. 분노한 블록은 대충 수십억 불을 꼬라박았다고 하는데 이만하면 NASA의 1년 예산과 족히 맞먹을 금액이다. 근처의 NPC들은 아예 조직의 상위권 자리를 놓고 특허 개수 배틀을 벌이며 자랑을 하고 있다.[48] 회의에서 찬성을 던지거나, 반대를 던져 회의를 파토낸 다음 다시 위원회 회원들 대기실로 들어가 이들의 대화를 듣다 보면, 이 오리지널 파이브 중에 지금껏 시즌 1과 시즌 2에서 언급되었던 함순 오일 회사의 CEO도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대화 도중에 이 CEO는 "이제 함순 오일 회사는 이름에만 '오일'이 들어가는 회사로 바뀔 거야"라고 한다.[49] 에이브러햄 링컨을 남부의 탄압자이자 폭군이라고 여겨서 저격한 유명한 암살자이다. 흑인에 관한 은유나 드립이 많은 에피소드답게 47을 흑인의 원수나 다름없는 부스에 비유하고 있는데, 정말로 흑인인 자신을 죽이러 온 거라서...[50] 회의 자리에서 소피아가 하는 말을 들어보면, 소피아는 위원회를 구성하는 "오리지널 파이브"가 모인 자리에서 대놓고 "나랑 함께 하든가 아니면 적응 못하고 폭망해서 죽든가"라는 말까지 하며 묘하게 오리지널 파이브를 하대하는 듯한 어조로 회의를 진행하는데, 오리지널 파이브는 워싱턴 자매보다 훨씬 이전부터, 방주 협회가 처음 생길 때부터 협회에 있었던 최고참급 멤버들이라 소피아가 협회 회장이라는 직함만 믿고 제 맘대로 해도 좋을 만한 멤버들이 아니다. 즉 이 회장 투표 미션 스토리에서 소피아가 위원회 멤버들을 대하는 태도는 방주 협회에서도 새파란 애송이에 불과한 소피아가 회장이라는 직함만 믿고서는 건방지게도 협회 최고참 멤버들을 상대로 갑질을 시전하는 것. 제버다이어 블록만 빼면 애초에 나머지 위원회 회원 4인 모두가 안 그래도 녹색 에너지에 찬성하기에 저렇게 맞는 말을 싸가지 없게 할 필요는 없건만, 저런 식의 태도를 보여주는 건 은연중에 오리지널 파이브 멤버들에게 시건방지다는 부정적인 인상을 심어줄 수도 있기에 좋은 생각은 아니다. 그래서 제버다이어 블록도 투표 안 나가고 버팅기면서 하는 전화 통화 중에 전화 상대가 "일단 규정상으로는 소피아가 당신을 협회에서 짜를 권한이 있다"라고 하자 블록이 "그깟 새파란 애송이가 감히 이 나를 협회에서 짜른다고?"라며 분노하는 모습을 보여 준다.[51] 이 대화에서 조이가 자신들 워싱턴 자매의 아버지 바이런 워싱턴이 왜 방주 협회의 고참 멤버인데도 불구하고 정기 모임에 출석하지 않았는지 밝히는데, 바이런의 지인 중에 인터폴에서 일하는 사람이 있어 다음 목표물이 바이런 워싱턴 당신이라고 제보를 해 왔기 때문이라고.[52] 반 오르텐이라는 성씨는 시즌 1 홋카이도 에피소드에서도 들을 수 있는데, 에리히 소더스가 ICA 현역 암살자 시절에 수행한 암살 중 1978년 11월에 담배 회사의 미망인(tobacco widow) 에디스 반 오르텐(Edith van Orten)을 자동차 사고로 암살한 임무가 있다. 암살 임무 리스트가 담긴 USB를 수술실 컴퓨터에 꽂으면 수술 담당의가 소더스의 현역 시절 암살 임무 목록들을 읽는데 이 때 확인 가능.[53] 실제 언급된 모든 방식으로 제너스를 암살하는 것이 당연히 가능하다.[54] 워싱턴 자매의 암살 목표에 의하면 바이런 워싱턴의 아버지이자 워싱턴 자매의 할아버지는 미국의 (주)예수 대형교회를 이끄는 목사라고 하며 이 워싱턴 집안의 대형교회가 바로 집안의 부의 원천이라 한다. 싱크 탱크의 성향이 보수 쪽인 것도 이런 집안 배경과 연관이 있는 듯.[55] Pax Mundus: 라틴어로 세계(혹은 우주)의 평화.[56] 조이와 코넬리아 스투이페산트의 두 번째 대화에서도 언급되는데, 코넬리아의 말에 따르면 자살을 시도했을 때 마침 그 자리에 의대생 룸메이트가 있었기에 살았다고 한다. 그리고 나중에 길에서 우연히 데어드레이와 다시 만났는데 여전히 그 당시의 원한을 잊지 않고 있다고. 코넬리아는 그걸 보고 데어드레이에 대해서 죄책감을 느끼는 반면, 집단괴롭힘을 주도한 가해자였던 조이 워싱턴은 "그거 다 옛날 철없던 시절 일인데 뭐 어쩌라고"라면서 뻗대고 있다.[57] 여성 관리인은 "방콕의 호텔에서 죽었다던 그 사람 맞지? 내가 듣기로는 암살당한 거라던데"라고 하는데, 거기에 답변하는 남성 관리인의 말에 따르면 "켄 모건이 암살당했다는 설은 대안 우파 진영에서 주장하는 음모론일 뿐이다"라고.[58] 홋카이도에서도 언급되었던 거대 담배 회사 사장이라는 설정을 반영해서인지 때려눕히면 시가 상자를 떨군다.[59] 토마스 크로스, 시에라 녹스[60] Golden Handshake는 직장 사정에 의해 조기 퇴직하거나 명예 퇴직을 하는 사람에게 주어지는 특별 퇴직금을 가리키는 경영 관련 전문용어로, 임기를 다 채우지 못하고 회사를 떠나는 경영진 같은 사람들에게 지급된다. 미션의 타깃이 임기를 다 채우지 못하고 인생으로부터 영원히 조기 퇴직하게 되어버린 상황을 가리키는 제목.[61] 이때 드러나는 프로비던스 동반자들의 정체는 다음과 같다: 마커스 스투이페산트 - 47세. 네덜란드인. 스투이페산트 가의 상속자. 개인 소유 레이스 트랙에서 테스트 드라이브 도중 사고로 사망. 자유무역 지지자이며 첨단기술과 예술을 사랑함. 네덜란드에서 세 번째로 가장 부유한 사람. / 칼 잉그램 - 62세. 자선가이자 투자자. 리버테리언 성향. 심장병으로 사망. (코네티컷 주 신문에 기사가 난 걸로 보면 미국인으로 추정) / 알렉사 앨리스 칼라일(마담 칼라일) - 70대. 영국인. 일명 "철강여왕(The Iron Magnate)"으로 불리는 기업가. 런던 햄프스태드 출신. 버크셔 주의 자택에서 투병 중 폐암으로 사망.[62] 자기는 충성을 증명하기 위해 목에 폭탄까지 심었는데, 그 동안 동반자들은 이리저리 자신들의 흔적을 지우고 있었다는 것에 배신감을 느꼈을 수도 있다.[63] 원문의 reprieve는 그 중에서도 주로 수감자의 '사망'에 의한 법원의 형집행정지 명령을 의미한다. 앞서 프로비던스 수뇌부가 거짓 죽음 기사를 낸 것처럼, 기존의 신분을 공식적으로 사망 처리시키고 새로운 신분으로 갈아타는 형태의 서비스임을 유추해볼 수 있다.[64] 호크스 베이 미션의 뉴스에서도 아나운서가 로버트 녹스에 대한 뉴스를 전할 때 "칸단양 독재자 진 포"라고 언급하긴 한다. 다만 뉴스에 자막이 없어서 한투 항구 발매 전까지는 칸단양이 뭔지 못 알아들은 플레이어들이 많았겠지만...[65] 이 은행원이 굉장히 불쌍한 게, 은행원 휴게실에서 은행원들이 잡담하는 걸 들어 보면 꽤 능력이 있었다. 그런데 고작 지점장 마음에 안드는 스웨터 입었다고 짤라 버린 거로도 모자라 옆에는 경비원이 한 명 붙어서 감시하고 있는 데다 이 해고된 은행원으로 변장하면 일반 은행원 변장 상태에선 그냥 넘어가는 구간에서도 경비원들이 수시로 몸수색을 한다. 자기가 멋대로 짤라 놓고 꼴에 또 눈에 뵈는 게 없어진 은행원에게 보복당할까봐 두려웠던 모양이다.[66] 다이애나 역시 미션 스토리를 설명하면서 'Termination은 당신의 전문(Specialty)이죠.'라는 얘기를 한다.[67] 이 때 여성 면접관 멜리사가 CEO 사무실에만 들어가지 말라고 말해주는데, CEO 사무실은 면접 결과에 관계 없이 적대구역 판정이므로 그냥 무시해도 된다.[68] 시즌 1 파리 지역에서 헬무트 크루거로 변장한 후 크루거의 휴대폰으로 마골리스에게 전화를 걸어 미팅 장소를 물어보면 마골리스가 '2층(second floor)'이라고 말하는데, 여기서 마골리스가 언급한 2층이라는 표현을 미국식으로 바꿔서 계산하면 3층에 해당한다.[69] The fair-skinned girl with the bright blue eyes and warm smile has been replaced by an impossibly white creature of infinite sternness who is always in complete control.[70] 그걸 반영했는지 사발라스의 개인실에 있는 그녀의 젊은 시절 초상화를 보면 이게 정녕 우리가 암살하는 그 선민사상에 찌든 마귀할멈이랑 동일 인물이 맞는가 싶을 정도다.[71] 파일:Hitman2YoungAthenaSavalas.png 아테나 사발라스의 젊은 시절 초상화.[72] 이 유리창 나사를 풀어서 느슨하게 만들어 추락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작업을 하고 밑의 난간에 서 있다보면 전작에서 달리아에게 깔려죽은 빅터처럼 47도 유리창과 아테나에게 깔려죽게 되니 주의해야 한다.[73] 아마 본인이 세계를 뒤에서 좌지우지하는 그림자 정부 조직인 프로비던스의 일원, 그것도 수뇌부의 자금을 관리하는 관리인 역할이기에 저렇게 생각하는 것으로 추정. 그런데 사발라스를 발견했을 때 다이애나가 하는 설명에 따르면 웃기게도 정작 프로비던스 내에서 사발라스의 계급은 고작 전령(Herald), 그러니까 기껏해봐야 변호사 야마자키 유키나 경호팀장 놀런 캐시디와 같은 계급이다.[74] rat에는 밀고자라는 뜻도 있다. 즉 쥐(rat) 수준의 두뇌를 가진 밀고자(rat)라는 이중적인 의미로 투자은행원을 욕하는 것.[75] 자료를 기자 대신 3층의 회의실에서 문서를 조사중인 투자은행원들이 있는 책상 위에 올려 놓을 수도 있는데, 이렇게 하면 이걸 발견한 여성 투자은행원이 자료를 보고 자기 어머니도 이렇게 고객 예금 가지고 장난치는 놈들 때문에 집을 잃었다면서 이걸 보고할 거라고 불 같이 화를 낸다.[76] 실제로 사발나스의 부정이 담긴 문서 자료(1층의 기자 혹은 최상층의 투자은행원에게 보여줄 수 있는 그것)를 획득하고 정보창을 확인해 보면 아테나 사발나스와 파비앙 만이 자기들 멋대로 은행의 고객 예금을 갖다 썼음을 입증하는 자료라고 나온다.[77] 미션의 배경이 몰디브의 부유층 전용 "리조트(Resort)"임을 감안한 언어유희적인 제목이기도 하다.[78] 브리핑 영상에 잠깐 나오는 이 꾸며낸 백스토리를 읽어 보면, 1990년대 후반의 시에라리온 내전 중 생산된 다이아몬드 절도극에 연루되어 있고 최근에는 라스베이거스의 샤말 카지노 금고에서 값비싼 르네상스 시기 예술품 6종을 절도했다는 등의 내용이 있는데 보면 알겠지만 6와 47의 과거 이력들을 대충 적당히 짬뽕해서 가공한 백스토리다.[79] 후속작에서 밝혀진 바는 배신 플래그가 아니라 사망 플래그였다.[80] 이 사건은 뉴욕 에피소드에서도 언급되는데, 뉴욕 에피소드에서 사발나스 지점장의 비리를 까발리려 잠입해 있는 그 빨간머리 여기자가 바로 제이슨 포트먼의 개인정보 무단 유출 스캔들을 폭로한 장본인이다.[81] 포트먼을 때려 눕히는 도전 과제 설명도 "그냥 그를 처리하세요"가 전부다.[82] 그나마 유일하게 사실인 건 타이슨이 편집증에 걸려 빌라에 있는 류드밀라의 방을 멋대로 뒤지고 다닌다는 거. 빌라 직원들이 1층에서 청소 도중에 하는 뒷담에 따르면 그것 때문에 류드밀라가 며칠째 빌라에 안 돌아 오고 있으며, 이전보다 본인의 고객 대응 일에 더욱 열중하는 데다 잠도 빌라에 있는 본인 방이 아니라 손님이 없는 빈 오두막에서 잔다고 한다.[83] 이 상태에서는 둘을 동시에 익사시켜 버릴 수 있다.[84] 타이슨의 경호원은 빌라 경비를 맡는 총책임자가 아니라, 빌라 경비원들의 대장이 따로 있다. 빌라 정문으로 들어가면 왜 아직도 USB를 훔쳐간 범인을 못 잡았냐면서 휘하 경비들을 갈구는 경비원 NPC가 보이는데 이 사람이 바로 빌라 경비실장이다.[85] 저 경찰도 아닌 주제에 권총으로 무장하고 볼스를 경호하는 "볼스의 조수들" 역시 볼스가 내세운 대체 의학을 맹신하는 사람들일 가능성이 크다. 볼스의 신원 보호 요청을 받고 출동한 보안관과 경찰들이 집 안으로 들어간 뒤에는 조수 중 한명이 문 앞의 의자에 앉아 보초를 서게 되는데, 이 때 기본 복장 상태에서 보초 담당 조수에게 말을 걸면 "볼스 박사님은 성공하는 사람들의 마인드를 가지신 분(DOCTOR vholes is an elite mind) 이라서 박사님이 직접 엄격하게 선별하신(hand-selected: 보통 격의 없는 자리에서 흔히 쓰는 picked도 아니고 selected라고 더 격식 있는 표현을 사용하여 볼스를 높여주고 있는 것이 포인트) 고객들의 방문만 받는다"라고 볼스를 찬양하는 말을 하며 47을 쫓아낸다. 조수의 이 대사를 보면 정황상 이 볼스의 조수들은 자기들에게 대체의학으로 깨우침(?)을 준 의사선생을 몸을 던져 지키겠다고 직접 권총까지 들고 자발적으로 경호에 나선 듯.[86] 마이애미 DLC 보너스 미션에서 AJ 크리쉬를 암살하고 출구 근처에 도달하면 다이애나가 크리쉬의 전화를 해킹하여 통화 내역을 확보했는데 버몬트 쪽에 전화를 건 흔적들을 발견했고, 분명 버몬트 인근에는 AJ 본인이나 아틀란티드 사 소유의 건물 같은 것도 없는데 이상하다는 무전을 보내 온다. 결국은 나중에 AJ의 통화 상대가 갈렌 볼스라는 인물인 것을 알아낸 뒤에, "아틀란티드라는 회사"를 조사하는 게 아니라 "갈렌 볼스라는 개인"에 대해 뒷조사를 한 뒤에야 갈렌 볼스가 아틀란티드의 배후 인물이라는 걸 알아낼 수 있었을 정도. 다이애나에게 정체를 추적당한 시점에서도 아틀란티드 판매를 계속하기 위해 '이목을 잘 끌지 않는' 자택 일체형 클리닉(inconspicuous home clinic)의 개업을 준비하고 있었다. 아마 평범한 일반인 혹은 경찰 수준이었다면 정말로 아무런 관련성도 찾지 못하고 볼스가 아틀란티드의 배후에 있는 인물이라는 것도 몰랐겠지만, 하필이면 상대가 너무 안 좋았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히트맨 암살의 세계/스토리|히트맨 암살의 세계/스토리]]}}}{{{#!if external != "o"
[[히트맨 암살의 세계/스토리]]}}}}}}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히트맨 암살의 세계/스토리?uuid=a57dbc2c-171b-48f0-9094-049a72860f81|r504]]}}}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히트맨 암살의 세계/스토리?uuid=a57dbc2c-171b-48f0-9094-049a72860f81#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히트맨 암살의 세계/스토리?from=504|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히트맨 암살의 세계/스토리|히트맨 암살의 세계/스토리]]}}}{{{#!if external != "o"
[[히트맨 암살의 세계/스토리]]}}}}}}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히트맨 암살의 세계/스토리?uuid=a57dbc2c-171b-48f0-9094-049a72860f81|r504]]}}}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히트맨 암살의 세계/스토리?uuid=a57dbc2c-171b-48f0-9094-049a72860f81#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히트맨 암살의 세계/스토리?from=504|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