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1 13:09:06

홍성민(2006)

1 윤평국 · 2 어정원 · 3 이동희
VC
· 4 전민광 · 5 아스프로 · 6 김종우 · 7 김인성 · 8 오베르단
9 조르지 · 10 백성동 · 11 조성준 · 12 조재훈 · 13 강민준 · 15 이규민 · 16 한찬희
VC
· 17 신광훈
18 강현제 · 19 이호재 · 20 안재준 · 21 황인재 · 22 홍지우 · 23 이동협 · 24 한현서 · 25 차준영
26 이태석 · 30 백승원 · 34 이규백 · 37 홍윤상 · 44 이헌재 · 47 김범수 · 66 이창우 · 70 황서웅
77 완델손
C
· 80 홍성민 · 88 김동진 · 90 김동민 · 91 권능 · 97 주닝요 · 99 조상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태하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성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치곤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규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이섭 · 파일:브라질 국기.svg 바우지니 · 파일:브라질 국기.svg 하파엘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임대 선수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파일:홍성민25.png
<colbgcolor=#fb342e><colcolor=#ffffff> 포항 스틸러스 No. 80
홍성민
Hong Sung-min
출생 2006년 9월 29일 ([age(2006-09-29)]세)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신체 184cm / 체중 84kg
포지션 골키퍼
소속 <colbgcolor=#fb342e><colcolor=#ffffff> 유스 상주 상무 FC (2016~2019)
포항 스틸러스 (2022~2024)
선수 포항 스틸러스 (2024~ )
국가대표 15경기 (대한민국 U-17 / 2023)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b342e><colcolor=#ffffff> 학력 함창중학교 (전학)
안동중학교 (졸업)
포항제철고등학교 (졸업)
}}}}}}}}} ||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여담5. 기록
5.1. 대회 기록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포항 스틸러스 소속 골키퍼.

2. 선수 경력

상무 축구단이 상주를 연고지로 할 때 상주상무U12팀에서 축구를 시작해 U15까지 올라갔으나 상무가 김천으로 이전하는 바람에 안동중으로 전학을 가야했다. 고등학교에 진학할 때 포항스틸러스 U18팀인 포항제철고에 스카우트됐다.

2학년 때 이미 주전 골키퍼로 활약하며 2023 K리그 주니어 전반기 최우수 골키퍼상을 수상했다.

2.1. 포항 스틸러스

2024년 5월 31일 준프로 계약을 통해 K리그1포항 스틸러스에 입단하였다. 첫 시즌 경기 출전은 불발되었으나, 2025시즌을 앞두고 포항과 정식 프로계약을 체결했다.

2.2. 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

2022년 출범한 변성환호 U-17 대표팀부터 선발됐다.

2.2.1. 2023 AFC U-17 아시안컵 태국

등번호 23번으로 대회에 참가했다. 대회 6경기 모든 경기에 풀타임을 소화하며 7실점을 기록했고 주전 골키퍼로 대한민국의 준우승에 기여했다.

2.2.2. 2023 FIFA U-17 월드컵 인도네시아

등번호 18번으로 대회에 참가한다. 3경기 모두 풀타임을 소화했다. 6실점을 허용했고 팀은 3전 전패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하고 말았다. 다만 대회 준우승팀 프랑스를 상대로 세트피스 상황에서 1실점 밖에 하지 않았고 부르키나파소전에서도 팀 수비가 많이 흔들리는 상황에서 여러차례 좋은 방어를 보였다.

FIFA 기술연구그룹에서도 홍성민의 플레이를 굉장히 높게 평가했다. 17세 신예 GK 홍성민, 어떻게 FIFA TSG 멤버 추버뷜러 홀렸나?

2.3.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 2025 AFC U-20 아시안컵
이 대회에서는 써드 키퍼로 뽑혔다. 한일전 하프타임에 교체되어 출전했다.

3. 플레이 스타일

골키퍼로서 신장은 그다지 크지 않은 편이지만 반사신경이 좋다. 무엇보다 양발을 자유자재로 활용하는 빌드업, 키핑, 킥 능력이 장점으로, 발을 활용한 플레이는 U17 월드컵에서도 최상위 수준이었다.

4. 여담

5. 기록

5.1. 대회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