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 경상남도 김해시 출신/활동 독립유공자 |
{{{#!wiki style="color:#000000;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or:#555555" | <rowcolor=#fede58> 성명 | 운동계열 | 생몰년도 | 훈격 |
<colcolor=#fede58> 강원석 | 의열단 | ? ~ ? | ||
고영건 | 3.1 운동 | 1887 ~ 1941 | 애족장 | |
김두갑 | 일본방면 | 1922 ~ 1944 | 애족장 | |
김만수 | 3.1 운동 | ? ~ ? | ||
김석암 | 3.1 운동 | 1891 ~ 1959 | 대통령표창 | |
김선오 | 3.1 운동 | 1865 ~ 1919 | 애국장 | |
김성득 | 일본방면 | 1923 ~ 1983 | 애족장 | |
김승래 | 3.1 운동 | ? ~ ? | ||
김승태 | 3.1 운동 | 1878 ~ 1940 | 애족장 | |
김양산 | 3.1 운동 | ? ~ ? | ||
김원수 | 3.1 운동 | ? ~ ? | ||
김용이 | 3.1 운동 | 1891 ~ 1919 | 애국장 | |
김용주 | 3.1 운동 | ? ~ ? | ||
김정태 | 3.1 운동 | 1890 ~ 1958 | 애족장 | |
김종훤 | 3.1 운동 | 1893 ~ 1948 | 애족장 | |
김헌규 | 의병 | ? ~ 1916 | 애족장 | |
노백용 | 국내항일 | 1885 ~ 1961 | 건국포장 | |
노상익 | 만주방면 | 1849 ~ 1941 | 대통령표창 | |
노상직 | 파리서명 | 1855 ~ 1931 | 건국포장 | |
노석호 | 국내비밀 결사조직 | 1916 ~ 1944 | 애족장 | |
류진옥 | 파리서명 | 1871 ~ 1928 | 건국포장 | |
문위동 | 국내항일 | 1903 ~ 1976 | 애족장 | |
반양환 | 광복군 | 1924 ~ ? | ||
박도백 | 3.1 운동 | 1892 ~ 1939 | 애족장 | |
박재홍 | 국내항일 | 1903 ~ 1979 | 애족장 | |
박정수 | 광복군 | ? ~ ? | 애족장 | |
배덕수 | 국내항일 | 1895 ~ 1970 | 대통령표창 | |
배동석 | 3.1 운동 | 1889 ~ 1924 | 애족장 | |
배종철 | 국내항일 | 1895 ~ ? | 대통령표창 | |
배치문 | 1890 ~ 1942 | 애국장 | ||
서석재 | 3.1 운동 | ? ~ ? | ||
서진령 | 3.1 운동 | 1899 ~ 1971 | 대통령표창 | |
손명조 | 3.1 운동 | 1884 ~ 1919 | 애국장 | |
송기송 | 대한통의부 | |||
송상진 | 1887 ~ 1967 | 대통령표창 | ||
송세탁 | 3.1 운동 | 1884 ~ 1939 | 대통령표창 | |
신수명 | 일본방면 | 1924 ~ 2007 | 대통령표창 | |
안무술 | 3.1 운동 | ? ~ ? | ||
안효구 | 3.1 운동 | |||
안효진 | 3.1 운동 | 1874 ~ 1946 | 건국포장 | |
이강석 | 3.1 운동 | 1879 ~ 1923 | 애족장 | |
이윤재 | 조선어학회 | 1888 ~ 1943 | 독립장 | |
이윤희 | 노동운동 | |||
이진석 | 3.1 운동 | 1896 ~ 1970 | 애족장 | |
이차수 | 3.1 운동 | ? ~ ? | ||
임학찬 | 국내항일 | 1890 ~ 1952 | 건국포장 | |
조영우 | 3.1 운동 | 1887 ~ 1923 | 애족장 | |
조정환 | 대한독립단 | 1875 ~ 1926 | 애족장 | |
전용헌 | 국내항일 | 1890 ~ 1934 | 건국포장 | |
정적윤 | 3.1 운동 | ? ~ ? | ||
조동출 | 3.1 운동 | ? ~ ? | ||
조용명 | 3.1 운동 | ? ~ ? | ||
조항래 | 3.1 운동 | 1884 ~ 1949 | 애족장 | |
최여봉 | 국내항일 | 1899 ~ 1970 | 애족장 | |
최현호 | 3.1 운동 | 1890 ~ 1974 | 애족장 | |
한임길 | 의병.미상 | ? ~ ? | 애국장 | |
허 발 | 자금지원 | 1874 ~ 1931 | ||
허웅 | 언어학자, 한글학자 | 1918 ~ 2004 | ||
허윤송 | 광복군 | 1919 ~ 1985 | 애족장 | |
허 평 | 파리서명 | 1882 ~ 1968 | ||
황찬숙 | 국내항일 | 1905 ~ 1970 | 애족장 | |
김해에서 태어난 독립운동가들과 김해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들을 포함함. | ||||
[1] | |
이름 | 허웅 (許雄) |
호 | 눈뫼 |
본관 | 양천 허씨[2] |
출생 | 1918년 10월 30일 |
경상남도 김해군 좌부면 동상리 966-1 (現 경상남도 김해시 동상동 966-1번지)[3] | |
사망 | 2004년 1월 26일 (향년 85세) |
학력 | 김해보통학교[4] (졸업) 동래고등보통학교 (졸업) 연희전문학교 (중퇴) |
경력 | 부산대학교 교수 성균관대학교 교수 연세대학교 교수 서울대학교 교수 |
직업 | 언어학자, 한글학자 |
가족 | 부친 허수, 모친 윤영순 |
[clearfix]
1. 개요
"한 나라의 말은 그 나라의 정신이며 그 겨레의 문화 창조의 원동력이다."
"우리 말글과 문화에 대한 중요성을 깨닫는 것에서 나아가 실천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허웅은 대한민국의 국어학자·언어학자·한글학자이다. 평생을 한글연구와 보급에 힘썼으며 세계적으로 한글의 우수함을 알렸다. 본관은 양천(陽川)이며 아호는 '눈뫼'이다.
2. 생애
1986년 10월 9일 KBS2 <11시에 만납시다> 인터뷰 영상.
1918년 10월 30일에 경상남도 김해군 김해면 동상리 966-1에서 출생하였다. 김해보통학교를 졸업하고 동래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였다. 럭비, 축구선수로 활동 할 만큼 건강했지만 2학년때 폐결핵으로 1년간 휴학을 하였다. 김해에 돌아온 아들을 지극정성으로 돌본 어머니 덕분에 건강을 되찾은 후 3학년에 복학하며 국어공부를 하기로 결심하였다.
허웅은 한글을 배우고 연구하기 위해 1938년 18세의 나이로 최현배가 재직하던 연희전문학교에 입학했다.[5] 최현배의 《우리 말본》을 읽었고 학우들과 비밀독서모임을 이끌며 항일의지를 길렀다. 1939년에 최현배가 일제의 압력으로 교수직에서 파직되고 경찰에 체포되자 혼자 공부하기로 결심하고 1940년 학교를 중퇴하였다. 이때부터 독학으로 15세기 국어를 연구하며 세계의 언어학 이론을 공부하였다.
1945년 광복과 동시에 김해에서 한글강습소를 열어 우리말과 우리글을 보급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해방 후 재건된 한글학회에 참여하여 최현배 선생을 보좌하며, 한글의 보급 및 국어사전 편찬 작업 등에 참여했다.
1947년 9월 부산대 국어국문과 교수가 되었고, 이후 성균관대, 연세대, 서울대 교수로 재직하며 수 많은 제자를 양성하였다.
1970년 최현배 선생이 타계하자 뒤를 이어 한글학회 이사장에 취임하였고, 이후 34년간 한글학회를 이끌며 한글전용론을 주장하였고 한글날 공휴일 폐지 반대운동을 펼쳤다.
2004년 1월 26일에 별세하였고 남양주시 모란공원묘지에 안장되었다.
3. 이야깃거리
- 장남 허황(許晃, 1944 ~ )은 울산대학교 화학과 교수로 재직하였고 차남 허원욱(許元旭, 1958 ~ )은 2019년 현재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한국어문콘텐츠전공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 형제로는 고려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를 역임한 허발(1928 ~ )이 있다.
- 스승 최현배가 이숭녕과 오랜 세월 학문적 논쟁을 벌였던 것처럼 그도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의 이기문과 일종의 라이벌 관계였던 것 같다.
-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의 이윤재ㆍ허웅 기념관이 나비공원과 김해문화원 사이에 2019년 3월에 착공해서 2020년 상반기 개관 예정이었다. 하지만 코로나 때문인지 2021년 11월에 개관했고 명칭은 '김해한글박물관'이다.
- 생전에 늘 고향 김해를 자랑하며 다녔다고 한다. 하지만 김해에는 고작 허웅의 생가터[6]에 표지석 하나만이 세워져 있을 뿐이다.
- 안소영 작가의 저서인 「시인동주」에서 윤동주의 동기로 언급된다. 최현배 교수를 동경하는 장면과 몸이 안좋아 김해로 내려가는 장면이 나온다. 실제로 허웅 선생의 소장품이었던 초판본 『우리말본』에서 연희전문 입학 전부터 책을 읽었음을 나타내는 메모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