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매 현황 · 등장인물 · 애니메이션 (인터뷰) · 무대탐방 |
향기로운 꽃은 늠름하게 핀다 薫る花は凛と咲く The Fragrant Flower Blooms with Dignity | |
<nopad> | |
<colbgcolor=#ffffff,#000000> 장르 | 러브 코미디, 학원, 성장 |
작가 | 미카미 사카 |
출판사 | |
연재처 | 매거진 포켓 |
레이블 | |
연재 기간 | 2021. 10. 21. ~ 연재 중 |
단행본 권수 | |
관련 사이트 | 웹 연재 (매거진 포켓) |
1. 개요
일본의 러브 코미디 · 학원 · 성장[3] 만화. 작가는 미카미 사카(三香見サカ). 한국에서의 약어는 향꽃, 향기꽃, 향꽃늠핀으로 사용되고 있다.2. 줄거리
어떤 곳에는 인접한 두 개의 고등학교가 있다. 바보가 모이는 저변 남고·치도리 고등학교와, 유서 깊은 아가씨학교·사립 키쿄 학원 여자 고등학교. 강경하고 조용한 치도리 고등학교 2학년, 츠무기 린타로는, 부모의 케이크 가게 일을 돕는 도중 손님으로 와 있던 소녀·와구리 카오루코를 만난다. 카오루코와의 시간을 기분 좋게 느끼는 린타로였지만, 그녀는 인접해 있으면서도 철저하게 치도리 고등학교를 싫어하는 사립 키쿄 학원 여자 고등학교의 학생으로……!? "가깝고도 먼” 둘이 만들어 내는, 청춘 물들이는 학원 이야기!!
매거진 포켓
문제아들만이 다니는 공립 남자 고등학교인 치도리 고등학교와 유명한 사립 여자 고등학교인 키쿄 학원 여자 고등학교. 이 학교는 서로 간에 사이가 나쁜데, 실제로는 사립학교인 사립 키쿄 학원 여자 고등학교에서 공립학교인 치도리 고등학교를 일방적으로 고깝게 보며 몰아붙이는 거에 가깝다.매거진 포켓
겉으로는 험악하지만 속은 여린 고등학생 츠무기 린타로. 그는 누구보다 섬세하고 상냥하지만 험악한 외모로 인해 남녀노소 모두에게 따돌림만 받아 모든 것을 포기한 비운의 청소년이다. 어느날, 그는 가업인 케이크 가게 일을 돕던 중 우연히 손님으로 온 미소녀 와구리 카오루코를 만나지만 너무나도 적대적인 학교 상황으로 인해 연애전선에 고민이 많은데...
3. 발매 현황
||<-6><table align=center><table width=720><table bordercolor=#000000,#fafafa><table bgcolor=transparent><table color=#212529,#e0e0e0><bgcolor=#ffffff,#000000><color=#000000,#ffffff> 향기로운 꽃은 늠름하게 핀다 ||
1권[4] | 2권[5] | 3권[6] | |||
| | | |||
|
|
| |||
| 2022년 03월 09일 | | 2022년 05월 09일 | | 2022년 07월 08일 |
| 2023년 08월 29일 | | 2023년 10월 19일 | | 2023년 11월 22일 |
| 2023년 10월 06일 | | 2023년 10월 27일 | | 2024년 01월 05일 |
4권[7] | 5권[8] | 6권[9] | |||
| | | |||
|
|
| |||
| 2022년 09월 09일 | | 2022년 11월 09일 | | 2023년 01월 06일 |
| 2024년 01월 05일 | | 2024년 01월 29일 | | 2024년 02월 29일 |
| 2024년 01월 05일 | | 2024년 02월 23일 | | 2024년 04월 12일 |
7권[10] | 8권[11] | 9권[12] | |||
| | | |||
|
|
| |||
| 2023년 03월 09일 | | 2023년 05월 09일 | | 2023년 08월 08일 |
| 2024년 03월 22일 | | 2024년 05월 13일 | | 2024년 05월 28일 |
| 2024년 04월 12일 | | 2024년 08월 02일 | | 2024년 08월 02일 |
10권[13] | 11권[14] | 12권[15] | |||
| | | |||
|
|
| |||
| 2023년 11월 09일 | | 2024년 01월 09일 | | 2024년 04월 09일 |
| 2024년 07월 23일 | | 2024년 10월 25일 | | 2025년 01월 17일 |
| 2024년 08월 02일 | | 2025년 01월 03일 | | 2025년 03월 21일 |
13권[16] | 14권[17] | 15권[18] | |||
| | | |||
|
|
| |||
| 2024년 07월 09일 | | 2024년 10월 08일 | | 2025년 01월 08일 |
| 2025년 02월 21일 | | 2025년 04월 25일 | | 2025년 08월 29일 |
| 2025년 03월 21일 | | 2025년 07월 11일 | | 2025년 10월 02일 |
16권[19] | 17권[20] | 18권[21] | |||
| | | |||
|
|
| |||
| 2025년 04월 09일 | | 2025년 06월 09일 | | 2025년 08월 07일 |
| 2025년 09월 30일 | | 2025년 10월 발매 예정 | | 미정 |
| 미정 | | 미정 | | 미정 |
19권 | 20권 | 21권 | |||
| | | |||
|
|
| |||
| 2025년 09월 09일 | | 2025년 10월 09일 | | 미정 |
| 미정 | | 미정 | | 미정 |
| 미정 | | 미정 | | 미정 |
코단샤의 웹코믹 사이트 매거진 포켓에서 연재를 시작했으며 매주 목요일마다 최신화를 볼 수 있다. # 단행본은 코단샤 코믹스 레이블로 발매되었다.
4. 특징
2020년대에 나온 작품, 소년 만화 플랫폼 연재작이라고는 믿기 어려울 정도로 고전적인 정서가 물씬 풍기는 작품이다. 흡사 80 ~ 90년대 순정만화를 보는듯한[22] 작화 및 연출과 스토리가 특징인 러브 코미디. 러브 코미디라고 하지만 사실 러브 코미디보단 청춘물, 드라마 성향이 더욱 짙다.러브 코미디 장르는 21세기 들어 자극적인 요소들(서비스신, 하렘, 수라장 등)을 도입하고 있고 라이트 노벨 또한 성장, 청춘, 드라마 등의 시리어스한 요소가 축소되고 미소녀와 연애하는 그 자체가 포커스인 것이 트렌드로 자리잡았다. 반면 이 만화는 특이하게도 자극적인 요소와 클리셰를 완전히 배제하고 "편견과 혐오"라는, 20년대에 들어서 특히나 대두되는 상당히 현실적인 소재를 스토리에 적극 담아내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무거운 이야기를 다루는 과정에서 정신적 성장과 인간관계의 가치를 강조한다. 이런 탓에 분명 장르는 러브 코미디지만 분위기는 결코 가볍지 않다.
작품에서 많은 등장인물은 외모, 학벌, 성적, 성별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한 편견과 선입견 그리고 차별을 겪는 동시에 스스로도 이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면을 지니고 있다. 이는 현실에서도 장시간 심각한 사회 문제로 지적되어 온 무거운 문제들이다. 주역들 중 상당수가 고정관념에 사로잡힌 시선에 의해 피해를 받거나 정신적으로 상처를 받는 요소들을 지니고 있으며 특히 주인공은 외모 하나 때문에 어릴 때부터 악의 가득한 시선에 시달린 나머지 불과 초등학생 시절에 심각한 인간 불신을 안고 인간 관계를 완전히 포기해버렸을 정도로 그 상처의 깊이가 심각하다. 이렇게 저마다의 상처를 가진 사람들이 우연한 기회로 서로를 알아가는 과정에서 악의를 강조하는 주변에 휘둘리지 않고 진정한 청춘을 구가하는 것이 작품의 주요 스토리 전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작품의 특징은 러브라인 전개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보통 러브코미디가 남녀 주인공의 연애 성사 그 자체가 작품의 중심이라 주인공 사이의 밀당과 만담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그 과정에서 오해, 사랑싸움, 주변인의 반대 등 여러 고구마 클리셰를 동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반면 본작에서 두 주인공의 연애기류에는 그런 요소가 전혀 없다. 남녀 주인공은 첫만남부터 차근차근 호감도를 적립해 작품 초반부, 한 학기만에 정식으로 커플이 되어 말다툼 한번 하지 않는 평화로운 연애를 하고 가족들도 둘의 사이를 행복한 마음으로 지지한다.
때문에 일반적인 러브코미디를 생각하고 봤다가 오글거리거나 지루하다고 평가하는 의견도 꽤 있다. 본 작품에서 린타로와 카오루코의 연애는 스토리의 초점이 아니라 절대 끊어지지 않을 확고한 사실 취급이며, 두 주인공의 선하고 올곧은 마음에 구원받아 선입견과 그에 의한 상처를 마주하고 극복하고 넘어서는 성장드라마의 기둥으로 작용한다.
5. 등장인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향기로운 꽃은 늠름하게 핀다/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향기로운 꽃은 늠름하게 핀다/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설정
- 도립 치도리 고등학교
겉보기엔 평범한 남자 고등학교인데, 작중에선 바보와 문제아들만 모이는 똥통으로 전국적 악명이 자자하다. 주인공 츠무기 린타로를 필두로한 주조역 남고생들이 여기 재학 중. 소문과 주변 평 때문인지 치도리에 다닌다고 하면 바로 멸시가 대놓고 날아오는데, 정작 재학생들은 이런 대접에 큰 신경을 쓰지 않는다.[23] 나츠사와 사쿠 같은 똑똑한 학생들도 존재하는 걸 보면 앞서 언급된 악명은 어른들에 의해 악의적으로 만들어진 것일 가능성이 큰데, 현재 왜 이런 구도가 형성되었는지는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다.
- 사립 키쿄 학원 여자 고등학교
전국적으로 유명한 명문 중고일관교로 흔히 말하는 아가씨 학교. 고등학교는 치도리고와 담 하나를 사이에 두고 마주 보는 형태로 위치하고 있다. 명문 학교생이라는 자부심 때문에 치도리고 학생들에 대한 노골적인 멸시가 만연해 있다.
7. 인기
7.1. 누계 부수
돌파 시점 | 누계 발행 부수 | 출처 |
2023/03/09 | 100만 | # |
2023/05/9 | 130만 | # |
2024/01/09 | 200만 | # |
2024/09 | 330만 | # |
2025/06 | 500만 | # |
2025/07/25 | 620만 | # |
2025/08/28 | 700만 | # |
2025/09/09 | 750만 | # |
8. 평가
스킵과 로퍼처럼 등장인물들에 대한 세심한 심리 묘사와 고찰, 그리고 등장인물들이 가진 특정 문제를 조명함으로써 입체적인 캐릭터성을 형성한다. 특히 처음에 꼴통이라 불리던 도립고 학생들을 벌레 보듯 대하며 악역처럼 등장했던 명문여고 여학생들이 실제로는 그녀들 또한 본인이 가진 열등감 때문에 자신보다 더욱 열등한 존재들이 있다는 식으로 자기 위안을 얻고 있었지만 근본적으로는 상냥함을 지니고 있음을 강조하며, 그런 그녀들이 다른 등장인물들의 도움으로 자신의 행위나 마음가짐을 반성하고 진정한 청춘을 구가하기 시작하는 과정을 흔히 세탁기로 표현되는 억지 미화가 아닌 열등감의 극복과 정신적 성장으로 연결함으로써 개연성과 핍진성을 부여한다.물론 무조건적인 호평만 존재하는 작품은 아니며, 호불호 요소가 분명하게 존재한다. 작가가 작중 등장하는 남성들을 너무 여성스럽게 그려서 마치 여성들만 나오는 것 같다는 의견이 있는가 하면, 우정을 강조하는 스토리가 오글거린다는 지적이 존재하기도 하고, 남고에서 보여주는 모습들이 실제 남고의 모습과 괴리가 있다는 평가도 존재한다. 여성향 순정만화 감성이 취향에 맞지 않는다면 큰 재미를 느끼기 힘들 수 있다.
그 외에 치도리고는 문제아들만 다닌다는 꼴통 학교로 전국적 악명이 자자하다는 설정이지만, 실제로 작중 치도리 학생들을 보면 교칙이 느슨해 등교 시 복장과 패션 등에 약간 껄렁한 분위기가 묻어 나고[24] 공부에 별 관심이 없는 애들이 많다는 정도지 비행 청소년이나 양아치, 또는 아예 담배나 술과 같은 범법적으로 문제되는 진짜 문제아들은 단 한 명도 보이지 않는다. 작중 "100% 오해는 아니라 실제로 질 나쁜 선배도 있고 치안도 좋지 못하다"라는 언급이 등장하긴 하지만 정작 그런 인물이 한 명도 등장하지 않다 보니 독자 입장에선 실감하기 힘든 것.
9. 수상
<rowcolor=#5c8db8,#5c8db8> 연도 | 수상 내역 | 순위 | 비고 |
2022년 | 제6회 모두가 선택하는 TSUTAYA 코믹 대상 | 2위 | # |
10. 미디어 믹스
10.1. 애니메이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향기로운 꽃은 늠름하게 핀다/애니메이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향기로운 꽃은 늠름하게 핀다/애니메이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1. 무대탐방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향기로운 꽃은 늠름하게 핀다/무대탐방#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향기로운 꽃은 늠름하게 핀다/무대탐방#|]]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2. PV
감사 PV |
13. 기타
개인 신상을 공개하지 않고 작품에 더욱 집중해 달라는 작가들처럼 본인에 대해 직접적으로 밝힌 적은 없으나, 의외로 미카미 작가의 활동 이력에 대한 연도와 나이를 유추할 수 있는 내용이 담긴 SNS 및 인터뷰 등에 공개되어 있다.- 작가의 단편 만화와 본 작품들은 남성향 위주의 소년 만화라는 장르 및 특징과는 별개로 순정 만화에 가까운 여성향이 짙은 그림체와 등장 인물의 패션 코디 및 등장 인물들의 정서, 그리고 작가의 X 계정 중 작품을 그리는 영상에서 작가의 손모양을 통해 독자들 사이에서 여성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지만 작가 본인이 공식적으로 밝힌 적은 없다.
- 캐릭캐릭 체인지와 진격의 거인을 가장 좋아하는 작품이라고 하며, 만화가를 지망하게 된 계기는 진격의 거인이었다고 한다. 이후 미술 계통의 학과가 있는 고등학교에 다니며 고등학교 3학년 당시 만화에 대해 잘 아는 선생님께 어드바이스를 받으며 단편을 준비했다고 한다.# 이후 첫 단편 만화인 'Liebring'이 2019년 10월 코단샤 매거진 포켓(MGP) 수상 후 2019년 12월 20일 매거진 포켓에 올라왔다. 이를 토대로 보아 작가의 연령대는 고등학교를 유급이나 월반으로 조기졸업한 경우가 아니라면 2001년생 또는 빠른 생일인 2002년생으로 추정된다.
- 작가가 요요기 애니메이션 학원 1학년 재학 중 2020년 10월 1일에 매거진 포켓에 올라온 두 번째 단편 만화 '죄인사변(罪因事変)'이 주간 소년 매거진에서 제104회 신인 만화상 수상작 중 특별 장려상을 수상하였다.#
- 세 번째 단편 만화는 2020년 11월 9일 암살자 메이드와 스님(殺し屋メイドとお坊ちゃま)이다.
- 본 만화의 연재를 할 수 있었던 결정적인 기회가 된 계기는 2020년 11월 9일 매거진 포켓에 올라온 단편 만화 '해파리의 노래([ruby(海月,ruby=くらげ)]のうた)'로 해당 작품은 주간 소년 매거진에서 제105회 신인 만화상을 수상하였다.#만화 보기
- 니이 사토루(にいさとる) 작가의 일본 만화 WIND BREAKER의 어시스턴트로 참가한 경력이 있다.#[25]
- 애니메이션 방영 기념 관계자 인터뷰에서도 코단샤의 담당 편집자에 의해 고교생 시절에 소년 매거진에 만화를 투고했고, 졸업 직후 본작을 연재하기 시작했다는 내용이 등장한다.
- 제목을 일본어로 읽어보면 작중 두 주인공 이름을 일부러 엮어 놓았음을 알 수 있다. 향기로운 꽃의 한자(향풀 훈(薰)은 카오루코(薫子), 늠름하다 할 때의 한자 찰 름(凜)은 린타로(凛太郎)[26]와 연관이 있고, 일본어 원본 표기인 薫る花は凛と咲く를 보면 두 사람의 이름으로 대구를 만들어 놓아 시각적 미학도 노렸음을 알 수 있다.
14. 외부 링크
[1] 2025. 10. 17권 발매 예정[e북] [3] 대표적으로 호시나 스바루의 작중 행적이나 나츠사와 사쿠의 작중 행적.[4] 1화~5화[5] 6화~13화[6] 14화~21화[7] 22화~29화[8] 30화~37화[9] 38화~ 45화[10] 46화~53화[11] 54화~61화[12] 62화~69화[13] 70화~77화[14] 78화~85화[15] 86화~93화[16] 94화~100화[17] 101화~109화[18] 110화~117화[19] 118화~125화[20] 126화~133화[21] 134~141화[22] 애니메이션 제작진들도 "이게 왜 소년 만화 분류에 있어?" 라고 하기도 했다.[23] 학교도 결국은 사람이 만드는 작은 사회이기 때문에, 이런 류의 재학생들이 '우리만 좋으면 됐지'하는 경우가 많다.[24] 당장 주인공 린타로만 해도 피어스 + 염색을 하고 다니는데 이게 교칙에 저촉되지 않는지 선생님들이 전혀 지적하지 않는다.[25] WIND BREAKER의 연재 시기가 2021년 1월부터 시작되었으므로 본 만화의 연재 시기인 2021년 10월 이전 또는 본 만화의 연재 중에 니이 사토루 작가의 어시스턴트로 참여한 것으로 보인다.[26] 일본은 신자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한국 한자와는 다른 생김새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