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4:05:21

한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본명이 한무인 중국 전국시대 한나라의 군주}}}에 대한 내용은 [[한소후]]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한소후#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한소후#|]]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본명이 한무인 중국 전국시대 한나라의 군주: }}}[[한소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한소후#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한소후#|]]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fff> 공채 이전 <colbgcolor=#ffffff,#1c1d1f>구봉서† · 배삼룡† · 서영춘† · 권귀옥 · 김희자 · 이기동† · 이영일†· 이대성† · 이순주† · 손치원 · 유하나 · 남성남 · 배연정 · 배일집 · 남철† · 문영미[KBS] · 김영하 · 신소걸† · 이병희 †· 장고웅 · 김병조 · 이홍렬 · 강석 · 주병진 · 홍우례 · 서세원† · 김은우 · 이하원† · 조정현
탤런트
1기
(1975)
이규혁 · 이기철†· 이용식
탤런트
2기
(1978)
김한일 · 노한욱† · 박미애 · 여정건 · 이문식 · 정애자 · 한무
탤런트
3기
(1980)
김덕성 · 김학성 · 김종석 · 나도국 · 정귀영 · 정부미 · 근종기 · 박경순 · 김혜영 · 전정희 · 김영옥 · 원경애 · 이효신 · 정성월 · 이은순 · 최미진 · 한월순
콘테스트
1기
(1981)
최양락[KBS][SBS] · 엄영수[KBS] · 이상운[KBS] · 김보화 · 이경규 · 이경래[KBS] · 박세민 · 김정렬 · 김혜영 · 김명덕 · 이철구
콘테스트
2기
(1982)
최병서 · 황기순 · 김문섭 · 김창준 · 이원승
탤런트
4기
(1983)
김복배 · 단덕수
콘테스트
3기
(1983)
장용 · 지영옥[KBS] · 김종석 · 김은우 · 배영만 · 정재환 · 이재포 · 노유정
탤런트
5기
(1984)
김상호 · 박창현 · 임성균 · 조재호
1기
(1987)
이경실 · 정재윤 · 김은태 · 이현주 · 김성은 · 최홍림 · 정이래
2기
(1988)[8]
이옥주 · 박미선[SBS] · 손병재 · 정진수 · 김형진 · 이웅호[SBS]
2기
(1989)[11]
서승만 · 김종하 · 김완섭 · 이명리 · 신경숙 · 최왕순
3기
(1991), (1992)
최성훈 · 이영자 · 이휘재 · 김한석
4기
(1993)
홍기훈 · 서경석 · 이윤석 · 박명수 · 김학도 · 표영호 · 나경훈 · 오승환 · 서춘화 · 김수진 · 이은혜 · 박경아 · 장경란 · 강호동 · 전영준 · 표명선
5기
(1994)
정찬우[SBS] · 김태균[SBS] · 정성한 · 김가연[배우] · 김광회 · 김철민† · 김소정 · 조훈성 · 임은실 · 배태선
6기
(1995)
한재진 · 이정용 · 김장렬 · 양신강 · 이희찬 · 장수정 · 이희진 · 최진희 · 이은지 · 안선희 · 김진수 · 김효진 · 정준하
7기
(1996)
김현철 · 노정렬 · 최현진 · 전영미 · 정경숙· 이은애 · 서태석
8기
(1997)
고명환 · 문경훈 · 배호근[배우] · 전광희 · 차승환 · 이태일 · 김상준 · 김준호 · 박혜숙 · 여윤정
9기
(1998)
정성호 · 고정호 · 강우석 · 방용화 · 이칠선
10기
(1999)
이혁재 · 박희진 · 문천식 · 라윤경 · 박은헌
11기
(2000)
장재영[SBS] · 손헌수 · 이진환 · 최병임 · 이우제[SBS] · 정용국[SBS] · 안선영 · 유재원
12기
(2001)
이은호 · 김선정 · 양헌 · 조인기[SBS] · 양철수
13기
(2002)
추대엽 · 조해욱 · 김수미 · 김미연 · 윤설란
14기
(2004)
오나연 · 이선미 · 전환규 · 김완기 · 문용현 · 곽신봉 · 임준혁[SBS]
15기
(2006)
김두영 · 김주연 · 류경진 · 이문원 · 안용진 · 이국주 · 조승제 · 채명성 · 신동수 · 함효주† · 송병철[KBS] · 이승윤[KBS] · 김주철 · 조현민 · 오정태 · 이종호 · 김미려 · 김철민 · 박동근 · 홍가람
16기
(2007)
성은채 · 김경진 · 황제성 · 박초은 · 최우람 · 유정승 · 이석재 · 이시온 · 이태영 · 홍성진 · 김대성[KBS]
17기
(2008)
천수정 · 권영기 · 기승미 · 송슬기 · 유대은 · 유상엽 · 정이랑 · 조성미 · 최설아 · 홍훤[KBS] · 허안나[KBS]
18기
(2009)
근현 · 박지후 · 박진용 · 양해림 · 이지성 · 이지수 · 이정규 · 최재호 · 김영희[KBS]
19기
(2012)
김병준 · 김용재 · 김현주 · 도대웅 · 박찬혁 · 박현정 · 신완순 · 심정은 · 유미선 · 윤상민[KBS] · 이명훈 · 이준수[KBS] · 장윤희
20기
(2013)
권형준 · 김마주 · 김상희 · 김정구 · 김예슬 · 오지환 · 이성배 · 허민행
기수 불명 및 특별채용[29] 김익근 · 김진규 · 박민환 · 배칠수 · 이훈[배우] · 전철우 · 정정아[배우] }}}
* 특채 · 제명 · †: 고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c8f8f; font-size: .8em;"
탤런트}}} : 코미디 탤런트
콘테스트
: 개그맨 콘테스트

[KBS] MBC보다는 KBS에서 주축으로 활동하거나 KBS 공채로 재데뷔[KBS] [SBS] MBC보다는 SBS에서 주축으로 활동하거나 SBS 공채로 재데뷔[KBS] [KBS] MBC보다는 KBS에서 주측으로 활동하거나 KBS 공채로 재데뷔[KBS] MBC보다는 KBS에서 주측으로 활동하거나 KBS 공채로 재데뷔[KBS] MBC보다는 KBS에서 주측으로 활동하거나 KBS 공채로 재데뷔[8] 88 개그맨 콘테스트에서 선발[SBS] [SBS] [11] 89 개그맨 콘테스트에서 선발[SBS] [SBS] [배우] 배우 전업[배우] 배우 전업[SBS] [SBS] [SBS] [SBS] [SBS] [KBS] MBC보다는 KBS에서 주측으로 활동하거나 KBS 공채로 재데뷔[KBS] MBC보다는 KBS에서 주측으로 활동하거나 KBS 공채로 재데뷔[KBS] MBC보다는 KBS에서 주측으로 활동하거나 KBS 공채로 재데뷔[KBS] MBC보다는 KBS에서 주측으로 활동하거나 KBS 공채로 재데뷔[KBS] MBC보다는 KBS에서 주측으로 활동하거나 KBS 공채로 재데뷔[KBS] MBC보다는 KBS에서 주측으로 활동하거나 KBS 공채로 재데뷔[KBS] [KBS] [29] MBC를 주력으로 활동했거나 MBC에서만 활동했던 인물 기준. 항목이 있는 인물만 기재.[배우] 배우 전업[배우] 배우 전업
}}}}}}
<colbgcolor=#424242><colcolor=#fff> 한무
韓茂|Han Moo
파일:external/image.kmib.co.kr/201611042038_23110923637557_1.jpg
이름 한무
출생 1940년 8월 11일 ([age(1940-08-11)]세)
평안남도 평양부 (現 평양시)
종교 개신교
가족 슬하 1남 1녀, 아내
데뷔 1979년 MBC 청춘만세
경력 1969년 해운연예대 1기
소속사 스카이피플엔터테인먼트
1. 소개2. 활동 내역3. 출연작
3.1. 영화
4. 여담

1. 소개

대한민국코미디언.

2. 활동 내역

1940년 8월 11일[1], 평양에서 태어나 광복 후인 1945년 남북분단 당시 월남하여[2] 1965년 연극배우로 시작, 밤무대 악극단등을 거쳐 늦은 나이에 1979년 MBC 코미디 프로 청춘만세로 방송에 데뷔하였다. 별명은 금붕어. 유난히 앞으로 튀어나온 눈 때문에 붙은 별명이다. 이 별명은 원로 코미디언 서영춘이 청소를 하던 신인 한무를 보고 이름이 아니라 야! 붕어!라고 부르고 너 금붕어같이 생겼으니, 붕어 물먹는 거 한 번 연기 해봐라. 하고 제안했고 뒤로 별명이 되었다고 한다.

1990년대에 방영했던 MBC 웃으면 복이와요의 코너 중 하나이자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한 코미디 '만주의 밤'과 '만주에 뜨는 별' 이라는 코너에서는 일본 순사로 등장하여 코미디언 조정현과 연기를 하였는데[3] 조정현 앞에서 처음에는 조상[4][5]이라고 부르며 마치 진짜 일본 순사인 것처럼 보이게 연기를 했다. 하지만 막판에 독립만세 배경음과 함께 달려와서 조선놈들이 만세를 부르고 있다고 보고하더니 급기야는 품 속에 태극기를 꺼내면서 대한독립이노만세~!라고 불렀던 연기는 그 당시 봤던 사람들로부터 인상을 남기기도 하였다.[6]

그리고 2011년 1월에는 서울특별시 중구 황학동에서 차를 운전하다가 가속페달을 밟는 바람에 택시와 충돌하는 사고를 겪어서 검찰로부터 불구속 기소를 받은 적이 있다.

3. 출연작

3.1. 영화

4. 여담



[1] 1940년 5월 출신이라는 설도 있다. 단순히 설만 있는 게 아니라 본인이 방송에서 1940년생이라고 인정한 영상이 있다. #[2] 월남 후 부산에서 궁핍한 생활을 하다가 구걸 나가는 어머니를 따라갔다가 시장에서 어머니를 놓치고 한 거지의 손에 이끌려 6개월간 각설이 생활을 했다고 한다. 그 후, 지나가시던 어느 한 할머니의 도움으로 다시 가족의 품으로 돌아갔다고.[3] 그 당시 조선인 독립운동가 역할로 나왔는데 경찰서에 감금되어서 나왔다.[4] 이 당시 일본 문화개방이 되지 않았던 시기였는데도 지상파 코미디 프로그램에서 일본사람 앞에 붙이는 상이라고 부른 것이 의외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어차피 배경이 일제강점기였고 코미디 연기 시나리오를 취하고 있었기 때문에 진짜라고 보기는 어렵다. 게다가 동 작품에서 일본녀 연기를 했던 코미디언 배연정은 그 당시 일본 기모노를 입고 연기하기도 했는데 배경이 일제강점기였던지라 시청자들 사이에 비난은 없었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당시 일제강점기를 다룬 영화나 드라마 등에서 "~상" 하는 호칭이나 기모노, 간단한 일본어 등은 아무런 거부감 없이 흔하게 나왔다. 대표적인 예가 장군의 아들.[5] 표기는 조상이 맞지만 어떤 때는 좆쌍이라고도 들리기도 했다(...)[6] 일본어로 '만세' 는 '반자이(banjai)'라고 한다.[7] 이는 한무가 해당 날에 식도암으로 사망한 코미디언 이기철의 장례식에 참석했던 사실을 오해했던 것으로 보인다.[8] 채널A 분노왕이라는 프로에서 본인, 패널들 및 게스트 엄영수의 증언들이 쏟아졌는데, 내용들이 워낙 기구한 수준. # 술자리에서 화장실 가기, 구두끈 매기, 전화받는 연기 등 계산 타이밍을 피하는 본인의 팁도 직접 이야기했다... 또 한명의 알아주는 짠돌이 설운도와의 일화가 압권인데, 한무가 밧데리 핑계대고 핸드폰 빌려쓰려고 하면 설운도가 밧데리만 빼서 내줬다고 한다.[9] 이 이야기는 링크된 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2012년 세바퀴에서 직접 언급했으며, 2017년에는 알쓸신잡에서 이 실험의 자문을 맡은 정재승에 의해 다시 한번 언급된다.[10] 주변에서는 그 이상한 방귀 때문에 그런다는 말을 많이 들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