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진보 정당 | ||||
(창당) | → | 민주사회당 | → | [[한국사회민주당|]] (당명 변경) |
[[새천년민주당| 새천년민주당 ]](개별 합류)[1] | ||||
(당명 변경) | → | 한국사회민주당 | → | (신설 합당) |
<nopad> | |
민주사회당 (社會民主黨) (2002~2003) | |
<colcolor=#0080FF> 영문 명칭 | <colbgcolor=#fff>Democratic Socialist Party (DSP) |
등록 약칭 | 민사당 |
등록번호 | 제99호 |
주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암동 168-24 |
등록일 | 2002년 11월 18일 (민주사회당) |
대표 | 이남순 |
한국사회민주당 (韓國社會民主黨) (2003~2004) | |
영문 명칭 | Social Democratic Party of Korea (SDPK) |
등록 약칭 | 사민당 |
당명 변경 | 2003년 4월 4일 (한국사회민주당) |
해산일 | 2004년 3월 3일 (녹색평화당과 신설 합당, 녹색사민당 창당) |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1-14 (동성빌딩 6층) |
대표 | 장기표 |
국회의원 | 0석 / 271석 |
[[광역자치단체장|{{{#0080FF 광역자치단체장}}}]] | 0석 / 14석 |
[[기초자치단체장|{{{#0080FF 기초자치단체장}}}]] | 0석 / 218석 |
당 색 | 파란색 (#0080FF) |
이념 | 사회민주주의 진보주의 |
정치적 스펙트럼 | 중도좌파 |
당원 수 | 1,213명 (2004년 3월 3일 기준)[2] |
1. 개요
<nopad> |
대한민국에 존재했던 정당. 줄여서 사회민주당 또는 더 줄이면 사민당. 참고로 2017년 창당한 사회민주당의 실질적 전신이다.
2. 역사
|
한국노총이 주축이 되어 민주사회당으로 창당하였으나, 한국노총이 제16대 대통령 선거에 참여하지 않기로 결의하면서 민주사회당은 아무것도 하질 못하고 조직력 악화로 이어졌다. 이후 2003년 3월 31일 장기표를 영입하면서 한국사회민주당으로 당명이 바뀌었다.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녹색평화당과 합당하여 녹색사민당을 신설한다.
3. 강령 및 정책
4. 역대 지도부
- 대표
- 1대 이남순 (2002년 11월 18일~2003년 3월 31일)
- 2대 장기표 (2003년 3월 31일~2004년 3월 3일),,
- 부대표
- 강찬수, 이용득, 이병균, 강성천, 장대익 (2002년 11월 18일~2003년 3월 31일)
- 김성태, 권오만, 유팔무 (2003년 3월 31일~2004년 3월 3일)
- 회계책임자
- 권오만 (2002년 11월 18일~2003년 3월 31일)
- 김성태 (2003년 3월 31일~2004년 3월 3일)
5. 선거 결과
6. 기타
- 2017년에 탄생한 사회민주당과는 전혀 관련이 없지는 않다, 주대환이 이끄는 사회민주주의연대와 장기표가 이끄는 사민포럼이 주축이 되어서 사회민주당을 재건했는데, 옛 한국사민당 구성원들이 그곳에 상당수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사민당 창준위원장 인터뷰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대한민국의 진보정당 | |||||||||
문민정부 ~ 이명박 정부 (1993 ~ 2013)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 ▲ 문민정부 이전 | ||||||||
건설국민승리21 | 청년진보당 | 녹색평화당 | 민주사회당 | ||||||
민주노동당 | 사회당 | 한국사회민주당 | |||||||
희망사회당 | 녹색사민당 | ||||||||
민주당에서 분당 | 민주노동당 | 진보신당 | 한국사회당 | 정당등록취소 | |||||
국민참여당 | 사회당 | ||||||||
새진보통합연대 | 진보신당 | 진보신당에 합당 | 초록당사람들 | 사회민주주의연대 | |||||
시민통합당 | 통합진보당 | 진보신당 | 녹색당 | 청년당 | |||||
민주통합당으로 합당 | 통합진보당 | 진보정의당 | 진보신당연대회의 | 정당등록취소 | |||||
▼ 이명박 정부 이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