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4:04:41

하창호(군인)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본명이 '하창호'인 유튜버에 대한 내용은 하창봉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본명이 '하창호'인 유튜버:
하창봉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F2D53C>
파일:제1보병사단 부대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F2D53C>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C21D2B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초대
송호성
제2대
이응준
제3대
김석원
제4대
유승렬
제5대
백선엽
제6대
최영희
제7대
백선엽
제8대
강문봉
제9대
박임항
제10대
김동빈
제11대
임충식
제12대
박경원
제13대
류흥수
제14대
박준윤
제15대
김종순
제16대
이병형
제17대
윤태호
제18대
박영석
제19대
최석신
제20대
문흥구
제21대
박학선
제22대
김봉수
제23대
우종림
제24대
전두환
제25대
최연식
제26대
황관영
제27대
김을권
제28대
최평욱
제29대
김동진
제30대
김상준
제31대
이충석
제32대
길형보
제33대
강종필
제34대
이강언
제35대
조남진
제36대
송영근
제37대
송기석
제38대
김경덕
제39대
정승조
제40대
황중선
제41대
이성호
제42대
신현돈
제43대
서형석
제44대
하창호
제45대
장경수
제46대
이종화
제47대
박정환
제48대
김홍석
제49대
강호필
제50대
서진하
제51대
최창수
제52대
양진혁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제5군단 부군단장
하창호
Ha Chang Ho
파일:하창호.jpg
학력 강원사대부고 (7회 / 졸업)
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 / 석사)
목원대학교 (정책학 / 박사)
복무 대한민국 육군
1983년 ~ 2019년
임관 육군사관학교 (39기)
최종 계급 소장 (대한민국 육군)
최종 보직 제5군단 부군단장
주요 보직 육군교육사령부 전력발전부장
합동참모본부 전력기획부장
제1보병사단
육군본부 군구조개편차장
제2작전사령부 검열과장
육군사관학교 부생도대장
제35보병사단 제105보병연대장

1. 개요2. 생애3. 주요 직위4.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의 전 군인. 육군 으로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후 보병작전직능으로 소위로 임관후, 중부전선 백골부대 소대장을 시작으로 동부전선과 동서해 해안등지에서 중대장, 대대장, 연대장직을 수행하였으며, 동부전선 GOP대대 작전장교, 3사단 작전참모, 작전보좌관, 18연대 작전과장, 합참전력기획부 실무자, 육사생도부대장, 2작전사 전투지휘 검열과장, 6군단 참모장, 육군 군구조개편차장에 이어 1사단장과 합참전력기획부장 육군교육사령부 전력발전부장, 5군단 부군단장을 끝으로 소장 계급으로 예편했다.

2. 생애

경기광주중학교, 강원사대부고(7회)에 이어 1979년 육군사관학교 39기로 입학 및 1983년에 육군사관학교(39기)를(컴퓨터공학사) 졸업하고 육군 보병 소위로 임관, 야전 군인으로서의 임무를 시작했다.

독실한 가톨릭 신앙인인 어머니의 영향으로 가톨릭에 입문, 대천사 미카엘이라는 영세명을 받았다. 참신앙인이자 참군인의 길을 걸으신 안중근 의사를 롤모델로 삼고자 하였다. 전후방 각지에서 야전 군인으로 주어진 임무를 수행하는 중에도 국방대학교 군사전략 석사 과정과 군사영어반에서 수학하였다. 육군대학 수학 중에는 국무총리 우등상을 수상하였고, 제대별 지휘관 임무 수행 중에는 다수의 전투력 측정에서 최우수 부대상을 수상하는 등 전투 임무 수행 능력 향상에 정진하였다. 현역 전 기간 특등사수와 특급 체력자에게 부여하는 특급 전사 자격을 획득하였으며, 백골부대 대대장 시절에는 국방부 최우수 지휘 성공 지휘관 사례자로 선정되었다. 군사 전략과 작전, 전력 소요 기획 분야에서 실무자 및 과장, 부장 등 다양한 보직을 수행하였다.

본질적 철학과 분별력을 중시하는 군인으로, 도덕적 용기를 지닌 안중근(도마)과 이순신을 존경하고 닮고자 노력한 군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부하들에 대한 본질적인 리더십 발휘를 통해, 입대하는 장병들에게 목표 지향적인 자기계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수백 명의 병사들이 고등학교 검정고시 자격을 획득하였고, 수천 명이 각종 자격증을 획득하였다. 군 복무 기간이 자신의 인생에 도움이 되는 기간으로 인식한 장병들의 자긍심과 자발적인 참여로 높은 부대 전투력 수준과 선진화된 병영 문화를 조성하여 병영 부조리나 사고 없이 병사들이 자신 있고 당당한 부대를 육성하였다.

평소 상급자에게도 본질적 철학과 분별력을 바탕으로 소신 있는 언행을 하여 그를 깊이 신뢰하는 지휘관과, 반대로 그런 행동을 부정적으로 보는 상급자들도 있었다고 전해진다. 그럼에도 그는 자신의 본질적 철학을 바탕으로 소신 있는 언행을 전역 때까지 실천했다. 그를 잘 아는 선배나 동료는 그렇게 소신 있게 군 생활을 하였음에도 소장까지 진급한 것은 역설적으로 우리 군대가 제대로 된 군대였다는 증거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6월에 시행된 전역식 행사 때, 전역사를 하는 동안 장병들을 연병장 잔디밭에 앉혀 듣도록 한 것은 그의 내면에 형성된 본질과 분별력을 통한 부하 사랑의 한 단면이다. 군 복무 중 만난 장병들과 부모들이 추억을 회상하며 올린 글들이 인터넷에 올라와 있다.

3. 주요 직위

4. 여담



[1] 전임 서형석, 후임 장경수[2] 야간 경계근무 중에는 아무리 국방부 장관이나 대통령이 방문해도 수하는 반드시 행해져야 한다.[3] 사단장 재임 당시 1사단은 단순히 '전진!'이라고 경례하는 것이 아니라 '전진! 현장격멸! 현장에서 격멸하겠습니다!'라는 경례를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