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3 19:11:21

플래닛볼

대륙별 컨트리볼
아메리카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기타


1. 플래닛볼
1.1. 내용
1.1.1. 행성계 또는 항성계의 타임라인
1.1.1.1. 단일 항성1.1.1.2. 단일 행성1.1.1.3. 단일 위성
1.1.2. 일반적인 종류
1.1.2.1. 항성 및 갈색왜성
1.1.2.1.1. W형1.1.2.1.2. O형 및 B형1.1.2.1.3. A형·F형·G형·K형·M형1.1.2.1.4. L형·T형·Y형1.1.2.1.5. S형·C형
1.1.3. 행성1.1.4. 은하1.1.5. 성단1.1.6. 성운1.1.7. 기타1.1.8. 천문학 설명 영상
1.2. 유튜버
1.2.1. 미국 유튜버1.2.2. 한국 유튜버1.2.3. 러시아 유튜버

1. 플래닛볼

플래닛볼 / Planet Ball

플래닛볼은 폴란드볼의 행성 버전으로, 레딧에서 따로 하위 스레드가 정해져 있을 정도로 외국에선 메이저한 장르이지만, 한국에서는 거의 알려지지 않은 장르중 하나이다.[예시]행성들의 말투 또한 폴란드볼의 규칙과 동일하게 브로큰 잉글리쉬를 섞어 쓴다. 가끔 전 세계의 브로큰 잉글리시를 전부 사용하기도 한다. 현재 솔러봀에서 사용하는 솔라볼은 이미 예전에 갈라진 듯 보인다. 모습은 행성 위에 컨트리볼의 눈을 그린 형태이다.
현재는 은하 또는 성운등에게도 컨트리볼 눈을 붙이는데, 이는 현재 플볼의 자유도가 늘어난 것이라고 보면 된다.

1.1. 내용

타임라인 동영상이 대부분의 비율을 차지한다. 적색거성 이후로는 슬픈 노래 또는 긴박한 노래가 나오는 것이 대부분이다.[2] 그러나 대부분의 해외 동영상에는 하버드 분광형중 없는 것들도 꽤 나오며 W형을 주계열성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잦다.

1.1.1. 행성계 또는 항성계의 타임라인

일부 사람들은 지극정성으로 M형 주계열성을 만드는 반면, 귀찮아서 B형 주계열성 또는 O형 주계열성을 만드는 사람도 있다.[3][4] 진짜 지극정성으로 만들면 행성들의 대륙 이동까지 에니메이팅한다.[5]
1.1.1.1. 단일 항성
O형 주계열성 또는 B형 주계열성이 대부분 단일 항성이다. 앞서 말했듯이 광증발효과로 인해 행성이 형성될 수 없기 때문.[6] 다른 단일의 무언가보다는 엄청 작업시간이 적다.
1.1.1.2. 단일 행성
보통은 이런 유형의 컨텐츠는 적다. 그래도 역시 단일이라서 작업 시간은 적은 편.[7] 일부는 이 항목에 위성도 포함시키며 이는 단일이 아니다.
1.1.1.3. 단일 위성
단일 위성의 케이스는 흔치 않다. 애초에 위성에 대해 연구된 바가 잘 없으며, 설사 창작으로 할지언정 위성과 행성을 헷깔려하기 때문이다.

1.1.2. 일반적인 종류

1.1.2.1. 항성 및 갈색왜성
1.1.2.1.1. W형
볼프 레이에별. 상술했듯이 주계열성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잦다. 단일로 나오는 경우가 흔하다.애초애 주계열성이 아닌 볼프 레이에별이다….
1.1.2.1.2. O형 및 B형
상술했듯이 보통 행성은 넣지 않으며 굳이 넣는다면 떠돌이 행성을 납치 포획하여 행성을 넣는다.
1.1.2.1.3. A형·F형·G형·K형·M형
행성이 많다. 놀랍게도 이게 끝이다. 보통의 동영상들은 이들의 수명도 계산 안하고 지들 마음대로 한다. 적색거성에서 행성 하나정도 잡아먹히는건 국룰. 점근거성가지때에도 행성은 다시금 잡아먹힌다. 수평가지는 이들에게 지루한 단계일 뿐이며 심하면 이 단계를 모르는 사람들도 있다. 진심으로 한다면 이는 다르다. 상술했듯이 행성의 대륙 이동을 에니메이팅하며 수평가지도 빼먹지 않는다. 시뮬레이션도 사전에 돌려 아주 계획적으로 행동하며 용암은 물론, 뒷배경의 세세한 디테일도 신경쓴다. 그러나 문제는 작업시간이 길어진다. 이게 가장 큰 이유다. 대충 에니메이팅하면 다르겠으나 진심인 사람들은 항성·행성의 눈은 물론, 물, 대륙, 항성의 밝기에 따라 이동하는 골디락스 존, 적색거성·점근거성가지일때의 항성의 표면 모양·색깔등까지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길어진다. 컴퓨터 그래픽이면 그나마 수월하나, 손수 그리는 에니메이션이면 손에 쥐가 날 것이다.
1.1.2.1.4. L형·T형·Y형
행성들은 많지 않다. 갈색왜성 자체가 서서히 꺼져가는 별로 볼 때, 암울한 분위기인 것이 특징이다. 일부는 마지막에 갈색왜성끼리 서로 충돌하여 적색왜성을 만들기도 한다.[8]
1.1.2.1.5. S형·C형
탄소별이라는 것이 대중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탓에 이 분광형을 가진 항성을 만드는 사람은 없다.애초에 주계열성이 아닌 거성이다….

1.1.3. 행성

1.1.3.1. 암석형 행성
그냥 지극히 평범한 암석형 행성이나 매우 높은 확률로 life(천문학적 용어로 말하면 생물의 진화)가 있다.
1.1.3.2. 가스형 행성
가스형 행성. 목성같이 줄무늬가 있거나 구름으로 추정되는 흰색 줄이 있다. 위성을 몇개 정도는 가지고 있다.
1.1.3.3. 왜행성
명왕성 불쌍하게 등장하는 것이 특징. 아니면 가끔씩 서로 충돌해 소행성대를 만들거나 한 개의 행성으로 진화한다.
1.1.3.4. 이중행성
많이 나오지는 않으나, 나타날 경우 서로를 45도 정도 회전시켜 화살표를 긋거나 서로를 위아래로 배치시킨다.
1.1.3.5. 떠돌이 행성
보통 처음엔 평화롭게 가다가 갑자기 사악한 행성의 중력섭동으로 틩겨져 나가는 것이 주된 이야기다. 배경음악이 슬픈 경우가 많다.
1.1.3.6. 미행성
많이 안 나온다. 그래도 뭐…. 행성계가 형성될 때 소행성이 충돌하는 것 처럼 보이는 장면이 있는데, 이중 소행성처럼 보이는 것이 미행성이다.

1.1.4. 은하

1.1.5. 성단

1.1.6. 성운

1.1.6.1. 행성상성운

1.1.7. 기타

1.1.7.1. 창시자
파일:AstroCat.jpg
AstroCat. 본래 닉네임은 Dogepro 였으나, 도지코인과 비슷하다는 이유로 닉을 바꿨다.

1.1.8. 천문학 설명 영상

예시
플래닛볼을 강의에 사용하는 아주 좋은 경우다.

1.2. 유튜버

1.2.1. 미국 유튜버

1.2.2. 한국 유튜버

1.2.3. 러시아 유튜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예시] 파일:항성 및 은하천문학.png[2] 행성이 항성에게 잡아먹히는 순간이 많다.[3] 주계열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편집 시간은 길어진다.[4] 진짜 심하면 무슨 O형 주계열성에 행성을 3개 이상 붙여낸다. 광증발효과로 행성 형성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5] 이것 때문에 편집 시간이 길어진다….[6] 그러나 보통은 해설에 “막대한 질량으로 떠돌이 행성을 1개 붙잡았습니다!” 를 선사한다. 왜냐면 시청자 입장에서 재미가 없어서….[7] 그래도 대륙 이동이 있는 지구형 행성의 경우 작업 시간은 비교적 길어진다.[8] 놀랍게도 실제로 일어날 수 있는 일이다. 우주가 암흑기라는 단계를 지나며 서서히 꺼져갈 때, 갈색왜성이 서로 충돌해 약간의 빛을 발할 수 있다.[9] 자신의 영상을 퍼가는 사람들에 의해 영상을 일부 공개로 변경하였다.[10] 이 동영상만(?) 정상적이다.[11] 영상을 거의 다 내렸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