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20 19:06:09

프롤로그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내용은 [[Prolog]]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Prolog#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Prolog#|]]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브렌던 그린이 제작 중인 게임}}}에 대한 내용은 [[프롤로그(게임)]]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프롤로그(게임)#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프롤로그(게임)#|]]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나카모리 아키나의 1번째 정규앨범}}}에 대한 내용은 [[プロローグ〈序幕〉]]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プロローグ〈序幕〉#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プロローグ〈序幕〉#|]]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프로그래밍 언어: }}}[[Prolog]]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Prolog#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Prolog#|]]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브렌던 그린이 제작 중인 게임: }}}[[프롤로그(게임)]]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프롤로그(게임)#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프롤로그(게임)#|]]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나카모리 아키나의 1번째 정규앨범: }}}[[プロローグ〈序幕〉]]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プロローグ〈序幕〉#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プロローグ〈序幕〉#|]]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2. 역사3. 역할4. 예시
4.1. 게임4.2. 무대 예술4.3. 프리쇼4.4. 스크린

1. 개요

Prolog (美) / Prologue (英)

소설이나 영상매체[1]에서 본편에 선행하여 먼저 읽히도록 하는 파트. 반대말로는 에필로그(Epilogue)가 있다.

2. 역사

기원은 그리스 비극에서 본편이 시작되기 이전에 배경을 설명하고 분위기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독백 혹은 대화를 뜻하는 프롤로고스(prologos). 'pro-'가 '~의 앞에'라는 의미이며 로고스는 익히 알려져 있듯이 '말'이라는 뜻이므로, 프롤로고스는 말 그대로 (본편 시작에) 앞서서 하는 말 정도의 뜻이다.

그리스 비극에서 유래했다는 점에서 알 수 있듯이 대단히 오랜 전통을 가진 기법이다. 처음 프롤로고스를 도입한 것이 최초의 본격 배우로 여겨지는 테스피스라고 하는 것을 보면, 사실상 희곡문학이 시작된 시점부터 프롤로그라는 문학적 프레임은 유지되어 왔던 셈이다. 다만 당시의 프롤로고스와 달리 오늘날 작품들의 프롤로그는 단지 배경이나 분위기 설정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이상으로 본편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

3. 역할

프롤로그는 이야기의 시작을 알리는 도입부인지라 보통 이 이야기가 어떤 내용인지를 파악하게끔 만드는 요소나 어떤 식으로 전개해 나갈 것인지를 알리는 역할을 한다. 가령 용사마왕을 처치하는 일반적인 모험물이라면 용사나 마왕에 대해 어떤 인물인지를 짐작하게 만들 수 있는 프롤로그를 만들거나, 용사가 마왕을 처치하고자 마음 먹은 계기, 또는 용사가 마왕을 처치하고자 마을을 떠났을 때의 시기를 묘사하는 프롤로그를 쓰는 것이 좋다.

주인공 시점만이 아니라 제3자의 시점으로 프롤로그를 서술하는 것도 좋은 방법인데, 이 경우엔 다른 사람이 그 인물을 어떻게 보는지를 알 수 있고 제3자가 중요한 인물일 경우 은근한 떡밥 요소를 작용하기도 한다.

그렇지만 프롤로그는 써도 되고 안 써도 된다. 그냥 에피소드 1을 프롤로그로 해버리건, 프롤로그를 따로 쓰고 에피소드 1에서 본격적으로 이야기를 전개하건 그건 순전히 작가의 마음이다. 일부 작가들은 프롤로그랍시고 어지간한 본편급의 스케일로 작성하는 경우도 있지만 지나치게 길뿐더러 독자들을 지치게 하기도 한다. 링크로 언급된 작품들만큼 크게 히트를 칠 만한 대작을 쓸 능력이 없다면 프롤로그는 적당히, 독자들의 흥미를 이끌 수 있는 정도만 쓰는 것이 좋다.

이야기를 창작하고픈 사람들이 빠질 수 있는 흔한 함정이기도 하다. 번뜩인 아이디어를 주체하지 못해 프롤로그라는 이름 하에 만들고 싶은 장면을 후다닥 만든 채 '이거 어때요?'라고 게시판에 올려놓고는 다음 편 따위 싹 잊어버리는 (혹은 만들려다 실패하는) 사람들이 그 좋은 사례다.[2] 창작 관련 커뮤니티에서는 이들을 '프롤로거'라 부르며 경멸하는 경우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4. 예시

대부분 작품은 시간 순서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특히 주인공의 출생, 젊은 시절 등 과거의 아주 먼 순간을 먼저 제시하기도 한다. 한편 역순행적 구성의 일환으로, 훗날에 일어날 사건을 먼저 제시한 후 회상 등의 방법으로 과거 이야기를 들려주는 작품도 있다. 시작과 끝이 같은 수미상관 구조가 쓰이는 작품도 있다.
소설
* 매디슨 카운티의 다리: 자녀들은 돌아가신 어머니 프란체스카 존슨의 유품을 정리하다가 이상한 열쇠를 발견한다. 이 열쇠로 다른 유품을 열어보니, 어머니가 누구에게도 밝히지 않은 4일간의 이야기(24년 전)를 읽어볼 수 있었다.
* 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 마츠모토 사쿠타로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울루루에 히로세 아키의 화장된 유해를 뿌린 후 과거를 회상한다.
* 해리 포터 시리즈

4.1. 게임

프롤로그는 게임 속 미션으로 구현되어 플레이어의 체험을 유도할 수도 있고, 오프닝 영상이나 컷신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첫 전투나 1장을 튜토리얼이나 프롤로그로 사용할 수도 있다. 데모 버전이 고유의 서사를 갖기도 하는데, 이는 본편의 프롤로그일 수도 있다.

4.2. 무대 예술

뮤지컬
* 겨울나그네(뮤지컬): 삼연(2023~2024)은 1막에서 수미상관을 채택했다. 한민우가 칼을 맞은 채 클럽 나이아가라로 들어오는 오프닝으로 1막을 시작하는데, 이 장면은 1막의 가장 마지막 장면이기도 하다. 결국 회상하듯 과거 장면으로써 1막의 이야기를 진행하는 셈이다.
* 그레이트 코멧: 첫 넘버 Prologue는 등장인물들을 소개한다.
* 나폴레옹(뮤지컬): 워털루 전투의 한 순간을 보여주고, 서술자 탈레랑은 과거를 희상한다.
* 다시, 동물원: 김창기는 '그 친구'의 기일(1월 6일)을 맞이하여 함께 연습했던 연습실에 방문한다. 1987년부터 1996년까지 걸친 과거의 기억들을 회상한다.
* 레 미제라블(뮤지컬)는 장발장이 미리엘 주교(Monseigneur Myriel)의 용서를 받고 회개한 후 로고를 띄운다. 따라서 여기까지가 프롤로그이다.
* 레베카(뮤지컬): Ich가 '어젯밤 꿈속 맨덜리'를 부른 후, 16년 전의 과거를 회상한다.
* 리틀잭: 1967년의 어느 날, 영국인 잭 피셔는 컴백 무대에서 미국 여자 줄리 이야기를 관객들에게 들려준다.
* 마리 앙투아네트(뮤지컬): 마리 앙투아네트가 처형된 후(1793년), 페르젠 백작이 과거를 회상한다. 본편의 이야기는 1784년 파리에서 시작한다.
* 마리 퀴리(뮤지컬): 노년기에 다다른 마리 퀴리가 딸 이렌 퀴리와 대화를 나눈다.
* 모래시계(뮤지컬): 혜린의 후배 영진은 재연판에서 하숙집 딸로 등장하는데, 기자로서 혜린의 이야기를 받아적음과 동시에 극의 막을 올린다. 막을 내리는 순간에도 같은 장면이 나타나는데, 책상 위에 있던 모래시계를 돌려 다시 흐르게 한다.
* 미세스 다웃파이어(뮤지컬): 안내 방송이 프롤로그를 겸한다. 성우 다니엘은 안내 방송에 애드립을 첨가하다가 해고당한다.
* 베르테르(뮤지컬): 1막은 장례식과 헌화로 시작한다. 앙상블 배우들이 이젤 위에 해바라기를 놓는다. 베르테르가 나타나고 자전거 탄 정원사 카인즈가 이젤 위 해바라기를 가져간다.
* 베토벤(뮤지컬): 베토벤의 장례식(1872년)을 먼저 보여준다.
* 살리에르(뮤지컬): 살리에르가 모차르트를 독살했다는 소문으로 극을 시작한다.
* 아이다(뮤지컬): 넘버 Every Story Is a Love Story가 처음과 마지막을 장식한다. 현대 박물관과 고대 이집트 사이에서 시점을 전환하는 곡이다.
* 엘리자벳: 루케니는 황후 엘리자벳을 암살한 혐의로 100년의 재판을 받다가, 서술자로서 과거 이야기를 들려준다.
* 젠틀맨스 가이드: 사랑과 살인편: 9대 다이스퀴스 백작 몬태규 다이스퀴스 나바로 경이 감옥에서 회고록을 쓴다. 언제 사형당할지 모르니, 오직 진실만을 쓰겠다고 말하며 그는 과거를 회상하는데...
* 프랑켄슈타인(뮤지컬): 앙리 뒤프레의 머리를 가진 피조물이 철침대에서 일어난다. 그리고 앙리와 빅터가 만나는 과거 이야기로 극을 시작하며, 1막 넘버 '위대한 생명창조의 역사가 시작된다' 후에 오프닝이 다시 무대에 오른다.
* 하데스타운: 첫 넘버는 등장인물들을 소개한다.
연극
* 아마데우스(연극): 노년기에 이른 안토니오 살리에리가 과거를 회상한다.
* 연극 분홍립스틱: 40여년 전의 어느 날, 강해옥의 남편(향년 32세)이 교통사고로 사망했다는 소식을 들려준다.

4.3. 프리쇼

공연을 시작하기도 전에 배우들이 자리하는 순간을 워밍업 공연 또는 프리쇼라고 한다. 이걸 보기 위해 관객들은 공연장에 일찍 들어가야 한다. 보통 공연 30분 전에 문을 열어준다.

4.4. 스크린

영화
* 범죄도시 시리즈: 2~4편은 처음부터 최종 보스의 이야기를 보여주어, 최종 보스(강해상, 주성철, 백창기)가 어떤 사람인지를 알려준다.
* 삼국지 : 명장 관우: 조조는 관우의 장례식을 치르며 과거를 회상한다.
* 어벤져스: 엔드게임은 호크아이가 타노스의 핑거 스냅에 의해 가족들을 잃는 상황으로 화면에 로고를 띄우며 영화를 시작한다. 이는 5년 후 호크아이 클린트 바튼이 일본에서 야쿠자들을 학살한 이유를 알려준다.
* 영웅(2022): 첫 넘버 단지동맹(노래) 후에 회령 전투 등 안중근의 과거를 보여준다.
* 열혈검사(誤判): 경찰특공대 霍子豪(곽자호)는 마약 조직 보스 張文炳(장문병)을 검거했지만, 장문병이 재판에서 무죄 받는 것을 보고 만다. 곽자호는 7년 후 검사가 되어 법무부에 들어간다.
* 칼리토(영화): 주인공 칼리토의 죽음으로 영화를 시작하는데, 이는 수미상관으로 나타난다.
* 타임 패러독스(영화): 한 템포럴 요원(Temporal Agent)이 폭발에 휘말려 얼굴에 화상을 입는다.
* 패왕별희: 程蝶衣(정접의) 및 段小樓(단소루)가 불이 꺼진 체육관에서 경극 패왕별희를 연기하는 1977년의 순간이 프롤로그 및 엔딩을 장식한다.
극장판 애니메이션
* 극장총집편 봇치 더 록! 전편은 이지치 니지카고토 히토리가 자판기 앞에서 나누는 대화(8화)로 시작한다. 대화가 끝난 후 오프닝 곡을 재생한다.
*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 - 우부야시키 카가야(産屋敷 耀哉)가 얼굴에 붕대를 두른 채 누워있다. 곁을 지키던 철퇴남 히메지마 교메이(悲鳴嶼行冥)에게 지시를 전한다. 이는 합동 강화 훈련편의 한 장면이다.
* 명탐정 코난: 100만 달러의 펜타그램: 에도 막부 말기, 마치다 쇼토쿠(町田 正徳)의 일기에 기록된 이야기를 보여준다. 마치다 쇼토쿠는 히지카타 토시조에게 성릉도를 바치는데, 히지카타 토시조는 자신을 습격하러 온 정부군을 성릉도로 도륙한다.
*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 첫 장인 '살아남은 아이'에서 해리의 아주 어린 시절과 이모부인 버넌 더즐리에게 맡겨지기까지의 내용을 다룬다.
드라마
* 야인시대: 장년기 김두한의 국회 오물 투척 사건을 먼저 보여준다.

[1] 영상매체보다는 소설 쪽에서 많이 쓰이는 편이다. 연극이나 영화는 일단 사람들이 앉으면 웬만큼 망작이 아닌 이상 끝까지 보지만, 소설은 처음 몇 페이지에서 독자가 소설을 읽을지 말지가 결정되기 때문이다.[2] 차라리 아이디어가 있다면 따로 기록을 해두는 것이 좋다. 막상 쓰고 보니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않거나 바닥났을 때 참고할 수 있도록.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