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0 16:55:21
폴란드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dd0c39> 코즈민 숲 전투 ,1497 , 몰다비아 공국 폴란드-우크라이나 전쟁 ,1918 ~ 1919 ,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서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폴란드-체코슬로바키아 전쟁 ,1919 , 체코슬로바키아 소비에트-폴란드 전쟁 ,1919 ~ 1920 , 소비에트 러시아 소비에트 우크라이나 폴란드-리투아니아 분쟁 ,1919 ~ 1920 , 리투아니아 자올지에 점령 ,1938 , 체코슬로바키아 제2차 세계 대전 ,1939 ~ 1945 , 폴란드 침공 ,1939 , 나치 독일 소련 단치히 자유시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서부전선 ,1939 ~ 1945 , 나치 독일 이탈리아 왕국 비시 프랑스 독소전쟁 ,1941 ~ 1945 , 나치 독일 프라하의 봄 ,1968 ,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걸프 전쟁 ,1990 ~ 1991 , 이라크 쿠웨이트 공화국 민주주의 유지 작전 ,1994 ~ 1995 , 아이티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20 , 탈레반 정권 이라크 전쟁 ,2003 ~ 2011 , 이라크 }}}}}}}}}
폴란드-리투아니아 전쟁 Lenkijos–Lietuvos karas Konflikt polsko-litewski 러시아 내전 중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리투아니아 독립전쟁 의 일부 <nopad> 기간 리투아니아 역사 : 1919년 5월 ~ 1920년 11월 29일 폴란드 역사 : 1919년 9월 28일 ~ 1920년 10월 7일 장소 리투아니아 수발키 주, 빌뉴스 주 교전국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폴란드 공화국}}}}}}]]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폴란드 공화국}}}}}}]]
#!if 기 == null && 깃발 == null
[[폴란드 제2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폴란드 국기(1919-1927).svg|width=24]]}}} {{{#!if 출력 == null
폴란드 제2공화국}}}{{{#!if 출력 != null
폴란드 공화국}}}}}}]]
(1920)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리투아니아 공화국}}}}}}]]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리투아니아 공화국}}}}}}]]
#!if 기 == null && 깃발 == null
[[리투아니아 제1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리투아니아 제1공화국}}}{{{#!if 출력 != null
리투아니아 공화국}}}}}}]]
지휘관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유제프 피우수트스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폴란드 국기(1919-1927).svg|width=24]]}}} {{{#!if 출력 == null
유제프 피우수트스키}}}{{{#!if 출력 != null
}}}}}}]]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문서명}}}{{{#!if 출력 != null
}}}}}}]]
실베스트라스 주카우스카스 결과
1919년 봄이나 1920년 9월에서 1920년 겨울에 폴란드 와 리투아니아 가 벌였던 전쟁이다.당시 리투아니아 와 폴란드 는 소비에트 러시아 로부터 침공 을 당해 공통의 적을 두고 있는 상황이었다. 폴란드는 리투아니아가 미엥지모제라는 연합에 들어오기를 바랬지만, 리투아니아 는 그것을 국가 존속에 대한 위협으로 여기고 거부 했다. 1920년 1월, 프랑스 파리 에서 이탈리아 , 영국 , 미국 등의 대사들이 참여한 대사 회의에서 폴란드 와 체코슬로바키아 간의 치에신 실레시아와 폴란드와 리투아니아 간의 빌뉴스 지방, 독일 과 리투아니아의 클레이페다 지역, 이탈리아와 그리스 간의 코르푸 섬에 대한 영토 문제를 합의하는데 여기서 폴란드와 리투아니아의 국경선이 정해졌다. 그러나 폴란드는 이것을 생까고 선을 넘어 빌뉴스 를 점령 한다. 게다가 유제프 피우수트스키 가 리투아니아 에 쿠데타 를 일으키려다 실패하여 117명이 체포되기도 했다. 이때 리투아니아는 소비에트 러시아와 평화 조약을 맺게 되고, 폴란드가 전쟁에서 밀리게 된다. 이때 리투아니아가 자국을 보호하기 위하여 빌뉴스에 군대 를 배치했다. 관련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중앙리투아니아 공화국]]{{{#!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폴란드는 네만 강에서 붉은 군대와 전투 를 벌이전 중 세이니에 주둔하던 리투아니아군을 공격했다. 하지만 국제연맹 은 폴란드를 압박하여 리투아니아와 수발카이 협정을 맺게 했다. 이렇게 새 국경선이 정해졌는데, 이 협정이 체결된 지 하루만에 폴란드의 장군이었던 루챤 젤리고프스키 가 리투아니아 에서 군사 반란 을 일으켰다. 사실 말이 반란이지, 실제로는 젤리고프스키가 피우수트스키와 미리 짜고 일으킨 사태로, 실질적으로는 폴란드 정부군이 빌뉴스 지방을 병탄한 것이나 다름없었다. 이렇게 리투아니아의 빌뉴스 지방에 중앙리투아니아 공화국 이 세워졌고, 중앙리투아니아 공화국 은 투표 로 폴란드에 흡수 되었다. 폴란드는 이렇게 리투아니아의 빌뉴스 지방을 얻었지만 리투아니아는 카우나스 를 임시 수도로 선포하고 폴란드의 빌뉴스 영유를 인정 하지 않았다. 이미 살얼음판을 달리던 양국 관계는 폴란드의 빌뉴스 지방 병탄을 계기로 완전히 파탄났다. 리투아니아는 국제연맹 에게 분쟁을 해결해 달라고 요청했고, 국제연맹은 리투아니아와 폴란드 국경선에 약 6.5km의 비무장지대 를 만들었다. 그리고 이 전쟁 이후 과거 한 나라였던 두 국가는 1938년 폴란드가 리투아니아에게 최후통첩 을 보내기 전까지 단교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