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틀 | |||||||||||||||||||||||||||||||||||||||||||||||||||||||||||||||||||||
|
2024-25 시즌 참가 구단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555555,#aaaaaa | | | |
| | | |
| | | |
| | | |
| | | |
| | | |
▶ | |||
라리가| 세리에 A| 프리메이라 리가 쉬페르리그| A 카티고리아스| 수페르리가 프르바 HNL| 수페르리가| 리갓 하알 파르바 리가| 리가 I| 프리미어 리그 프르바 리가| 카테고리아 수페리오레| 몰타 프리미어 리그 코소보 수페르리가| 풋볼 리그| 프르바 CFL 프리메라 디비지오| 캄피오나토 삼마리네세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보기 |
'''{{{#fff Liga Portuga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0px; background: #e20013; font-size: .9em" 리가 포르투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0px; background: #e20013; font-size: .9em"''' | |
| |
<colbgcolor=#00225b><colcolor=#fff> 정식 명칭 | 프리메이라 리가 (Primeira Liga) |
창설 연도 | 1934년 - 프리메이라 리가 1938년 - 프리메이라 디비장 1999년 - 프리메이라 리가 |
운영 기관 | 리가 포르투갈 |
진출 팀 수 | 18개 팀 |
하위 리그 | 리가 포르투갈 2 |
최근 우승팀 | 스포르팅 CP (2023-24) |
최다 우승팀 | SL 벤피카 (38회) |
UEFA 랭킹 | 7위 # |
공식 웹사이트 | |
공식 SNS | | | | | | |
[clearfix]
1. 개요
2024-25 프리메이라 리가 Betclic 인트로 영상 |
포르투갈의 프로 축구 1부 리그다. '리가 포르투갈' 이라는 명칭으로도 알려져 있다.
2. 특징
1934년부터 전국적인 토너먼트 형태로 경기가 출범했고, 1938년에 지금과 같은 리그전으로 개편되어 오늘날까지 이른다. 이 때 이후로 단 한 번도 중단되는 일 없이 쭉 리그를 이어오고 있다. 심지어 제2차 세계 대전이나 포르투갈의 카네이션 혁명 때도 리그는 계속되었다.18개 팀 중 17위~18위는 리가 포르투갈 2로 강등되며, 16위는 리가 포르투갈 2 3위와 승강 플레이오프를 통해 잔류 또는 강등을 결정하게 된다.
초창기에는 포르투갈의 해외 식민지에서도 많은 선수들이 건너와 활약했다. 대표적인 선수가 모잠비크 태생으로 포르투갈의 축구 영웅이 된 에우제비우. 그러나 포르투갈의 식민지가 독립한 후에는 식민지 태생도 물론 뛰지만, 주로 언어가 같은 브라질 선수들이 대규모로 건너와서 활약한다. 그 중에는 데쿠처럼 포르투갈로 귀화해서 대표팀에 발탁된 사례도 있을 정도. 물론 당연히 포르투갈 출신 선수들의 비중이 더 높다.
리그의 선수 수급 및 생태가 네덜란드 에레디비시와 전반적으로 비슷한 편인데, 리그 소속 빅클럽[1]들이 유스를 키워내거나 비유럽 리그 혹은 유럽내 변방 리그[2]에서 유망주를 발굴하면, 그 빅 클럽들은 상위 4대 리그[3]에 장사해서 재정을 유지하는 구조가 거의 일치한다. 이런 빅클럽이 주로 2, 3개 클럽으로 한정되었다는 점도 역시 그렇다. 다만 2000년대 이후 에레디비시가 급격하게 몰락하며 2010년대에 들어선 아예 10위권 밖으로 밀려난 것에 비해 프리메이라 리가는 꾸준히 UEFA 리그 순위 6~8위를 오가며 선전했었다. 심지어 2011년부터 2016까지 무려 5년 동안은 리그순위가 프랑스의 리그 1를 한단계 뛰어넘은 5위를 유지해왔을 정도였다. 그리고 소위 5대 리그 바로 다음 자리를 두고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와 경쟁하고 있었는데, 인구 1억 5,000만이 넘는 러시아에 비해 재정적 규모에선 밀리지만 유럽 대항전에서의 성적이 더 좋은 편이다.포르투갈 리그의 발전 원동력에 대해 다룬 글 2022년에는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가 유럽 대항전 성적 하락에 이어 국가가 일으킨 전쟁으로 유럽 대항전 무기한 출전 정지 처분을 받은 여파로 리그 랭킹이 대폭 하락하면서 과거의 일이 되었다.
리그가 가진 장점은 언어적으로 크게 다를 게 없는 이웃 라리가가 바로 곁에 있다는 점으로 언어나 지리적 요소로도 라리가에 진출할 길도 높다는 점이 있다. 언어적으로 통하는 브라질 선수들 수급도 여전하고 이전 장점으로 실력을 갖춘 선수들이 많이 채워진다. 이렇기에 2020년대 와서는 리그 랭킹이 더 올라서 유럽 리그 5위 프랑스 리그 1을 추격하고 있다. 부활한 네덜란드 에레디비시도 2020년대 들어 유럽 대항전에서 대약진을 하면서 포르투갈 프리메이라 리가와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으며 이 둘을 벨기에 리그가 뒤쫓고 있다.
대표적인 포르투갈의 빅3는 FC 포르투, SL 벤피카, 스포르팅 CP로 꼽힌다.[4] SC 브라가 등의 약진이 있긴 하나 여전히 빅3 체제는 견고한 편으로[5], 1938년부터 시작된 리그 체제에서 빅3 외의 팀이 우승한 것은 단 두 번뿐이다.[6][7] 이러한 빅3의 독주는 포르투갈의 인구나 경제력이 그리 크지 않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소수 빅 클럽에 의해 좌지우지되고, 나머지 클럽들의 성장을 담보할 인구나 경제력이 매우 부족하기 때문에 빚어진 현상이다. 대신 그런 빅 클럽의 대외 경쟁력은 나쁘지 않아서 포르투갈 리그는 2000년대 이후 리그 랭킹이 대부분 7위 안에는 들었다.[8] 과거 빅 리그의 영향력이 크지 않던 시절에는 챔피언스 리그에서도 맹활약했고, 빅 리그의 영향력이 커진 지금에도 유럽 대항전에서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전력과 실적을 내고 있다. 단적인 예가 2003-04 UEFA 챔피언스 리그에서 FC 포르투가 우승한 것과 2010-11 UEFA 유로파 리그에서 4강에 포르투갈 클럽 3팀이 올라가서 그 중 포르투가 우승을 차지한 것이다. 포르투 외에도 벤피카 등이 유럽 대항전에서 준우승을 하는 등 좋은 성적을 내었고, 2014-15 시즌 부터는 참가팀이 2개 늘어 분데스리가, 에레디비시, 쉬페르리그처럼 18개팀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처럼 실력 면에서는 분명 뒤질 것이 없는 리그이지만, 유럽에서 중위권에 속하는 포르투갈의 경제력과 1000만을 겨우 넘는 인구 한계가 더 큰 규모로 성장하는데 제약이 되고 있다.[9] 그래서 프리메이라 리가에게 실력이 살짝 떨어지는 쉬페르리그[10]가 자국시장만으로도 중계권료가 포르투갈 프리메이라 리가의 2.5배에 달하며 유럽에서 5~6위를 프랑스 리그 1이랑 다투는 거와 달리 프리메이라 리가는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에게도 뒤처져 10위 안팎을 맴돈다. 다만, 2018년부터 3개의 빅클럽인 벤피카, 포르투, 스포르팅은 독자적인 TV중계권 계약으로 최대 4,000만유로(약 514억원)의 중계권료 수입을 올리게 된다. 이는 바이에른 뮌헨의 중계권료 수입인 4,300만 유로와 큰 차이가 없는 수준으로, 이들 세 팀이 유럽 대항전에서 다른 6~10위권 리그 팀들을 압도하는 원동력이 된다. 문제는 나머지 팀들은 중계권비가 저조하고 종합적인 수입 면에서 변방 리그와 다름없는 수준으로 뒤떨어진다는 것이다.
유럽의 5대 리그 중계권료는 모두 균등분배+성적에 따른 차등분배라서 팀들간 중계권료 수익차이는 그리 크지 않다. 균등분배 때문에 리그 우승팀과 강등팀간의 중계권료 수입은 보통 두 배 정도 차이난다. 중계권료 개별협상 방식으로 악명높던 스페인 라 리가조차 2015년부터는 중계권료의 50%는 균등 분배하기로 바뀌었다. 그런데, 포르투갈 프리메이라 리가는 아직도 개별협상 방식이라 빅클럽과 하위팀간 중계권료 차이가 수십배씩 난다. 요컨대 프리메이라 리가 빅클럽의 중계권료 수익이 바이에른 뮌헨과 비슷한건 구시대적 중계권료 배정방식 때문이지 시장성과 인기가 바이에른 뮌헨과 비슷하다는 뜻이 절대로 아니다.
현재 후원사는 통신사 NOS로, 이에 따라 중계 등에서 Liga NOS(NOS 리그)라는 이름을 써왔다가 21-22 시즌부터는 오스트리아 도박업체인 bwin를 후원사로 변경되어서 리그 이름도 Liga Portugal Bwin로 변경된다.
리그 외 컵대회로는 FA컵인 타사 드 포르투갈(Taça de Portugal), 리그컵인 타사 다 리가(Taça da Liga)[11], 슈퍼컵인 수페르타사(Supertaça)가 있다.
3. 유럽 대항전
2020-2021 시즌부터 프리메이라 리가 팀들에게 부여되는 유럽 대항전 티켓은 다음과 같다. 이번 시즌은 리그 랭킹이 6위로 올랐고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출범 전 시즌이라 변화가 좀 있다.1, 2위는 UEFA 챔피언스 리그 본선에[12], 3위는 UEFA 챔피언스 리그 예선에, 4, 5위는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예선에 진출한다. 타사 드 포르투갈 우승 팀은 유로파 리그 본선으로 간다.[13]
4. 역대 시즌
4.1. 2023-24 시즌
자세한 내용은 프리메이라 리가/2023-24 시즌 문서 참고하십시오.4.2. 2024-25 시즌
자세한 내용은 프리메이라 리가/2024-25 시즌 문서 참고하십시오.5. 프리메이라 리가와 대한민국
현역 프리메이라 리거는 볼드체로 표시.순서 | 이름 | 클럽 | 기간 |
<colbgcolor=#00225b><colcolor=#fff> 1 | 정재권 | 비토리아 FC | (1998) |
2 | | SC 브라가 | (2006) |
3 | 김병석 | 비토리아 FC | (2007~2008) |
4 | 석현준 | CS 마리티무 CD 나시오날 비토리아 FC FC 포르투 | (2013) (2014~2015) (2015~2016) (2016~2018) |
5 | 황문기 | 아카데미카 드 코임브라 | (2015~2016)[a] |
6 | 이승우 | 포르티모넨스 SC | (2021) |
7 | 박지수 | 포르티모넨스 SC | (2023) |
정재권 선수가 처음 비토리아 FC에서 뛰면서 프리메이라 리가와 인연을 맺기 시작하였다. 이후
2015-16 시즌 한국 내 방송 중계권은 JTBC3 FOX Sports가 가져갔다.
여담인데 아시아 선수가 제법 많이 오는 유럽 리그다. 나카지마 쇼야는 이 리그에서 리그 10골 이상을 넣었으며, 석현준도 리그 9골을 기록했던 바 있다. 말레이시아 선수인 사파위 라시드도 이 리그에 임대되었으나, 여러 사정으로 제대로 뛰지 못했다. 아시아 선수 중에서 가장 큰 족적을 남긴 선수는 이란의 메흐디 타레미로, 2020~21 시즌 리그 18골을 넣으며 아시아 국적으로 처음인 공동 득점 1위[16]를 차지했으며 2020-21 시즌에도 리그 16골 15도움으로 리그 3위, 도움왕을 기록하며 전체 공격포인트 23골 18도움으로 22골 17도움인 손흥민을 제치고 아시아 유럽리거로 유일하게 통산 40공격 포인트를 넘어섰다. 덤으로 2021-22 시즌에도 전체골로 22골을 기록하여 자신의 기록을 경신하였으며 2022-23 시즌에는 단독 득점왕이 되었는데 이는 아시아 선수 역사상 처음으로 유럽리그에서 4개 시즌 연속 20골 이상을 기록하여 동시에 3시즌 연속 40공격 포인트를 기록하며 종전의 본인의 기록을 또 한번 갈아치웠다. 이는 차범근과 손흥민[17], 막심 샤츠키흐[18]도 이루지 못한 기록이다.
이승우 이후 한동안 뜸했던 포르투갈의 한국인 선수는, 2022-23 시즌 1군에 올라와 등번호 10번을 받으며 초고속 성장중인 김용학이 등장하면서 다시 이어지게 되었다. 김용학은 시즌 개막전 교체 명단에 이름을 올리며 예열을 마쳤으나 주전으로는 기용되지 않고 있다. 반면 2023년 겨울에 이적한 박지수는 입단하자마자 주전 센터백 자리를 차지하며 빠르게 연착륙했고, 리그 하반기 14경기 출전 1어시스트를 기록하며 팀의 1부리그 잔류에 큰 힘을 보탰다.
2023-24 시즌을 앞두고 박지수가 중국 리그로 이적했으나, 김용학은 완전 이적에 성공했고 김용학과 함께 U-20 월드컵에 다녀온 수비수 황인택이 이스토릴로 임대된 데다 이예찬까지 포르티모넨스에 합류하면서 한국인 선수의 수는 3명으로 늘어났었다.
2024 시즌을 앞두고 영등포공고 출신의 김태원이 포르티모넨스와 링크가 났고, 결국 1월 14일 포르티모넨스행이 확정되면서 포르티모넨스에 한국인 선수만 4명이 생기게 됐다. 거기에 2부 리그 소속의 CD 나시오날 소속의 훈련생이던 배현웅이 CF 이스트렐라 다 아마도라 U-23에 들어감으로서 새로운 프리메이라 리가 선수가 생긴 것이나 다름 없어졌다.
포르티모넨스가 2023-24 시즌 강등되며 한국 선수 3명은 2024-25 시즌부터는 리가 포르투갈 2에서 뛰게 되었고, 황인택도 이스토릴이 완전 영입을 포기함에 따라 수원으로 돌아가며 다시 한국 선수 명맥이 끊기게 되었다. 다만 아마도라, AVS 등에는 한국인 유스 선수들이 있기 때문에 이들이 1군에 데뷔할 가능성은 남아 있다.
6. 참가 구단
2024-25 시즌 참가 구단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555555,#aaaaaa | | | |
| | | |
| | | |
| | | |
| | | |
| | | |
▶ | |||
라리가| 세리에 A| 프리메이라 리가 쉬페르리그| A 카티고리아스| 수페르리가 프르바 HNL| 수페르리가| 리갓 하알 파르바 리가| 리가 I| 프리미어 리그 프르바 리가| 카테고리아 수페리오레| 몰타 프리미어 리그 코소보 수페르리가| 풋볼 리그| 프르바 CFL 프리메라 디비지오| 캄피오나토 삼마리네세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보기 |
참가 구단 | 전 시즌 순위 | 특이사항 | 1부 첫 참가 | 최근 승격 시즌 |
SL 벤피카 | 우승 | UEFA 챔피언스 리그 본선 조별리그 진출 | 1934-1935[A] | |
FC 포르투 | 준우승 | UEFA 챔피언스 리그 본선 조별리그 진출 | 1934-1935[A] | |
SC 브라가 | 3위 | UEFA 챔피언스 리그 3차예선 진출 | 1947-1948 | 1975-1976 |
스포르팅 CP | 4위 | UEFA 유로파 리그 본선 조별리그 진출 | 1934-1935[A] | |
FC 아로카 | 5위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3차예선 진출 | 2013-2014 | 2021-2022 |
비토리아 SC | 6위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2차예선 진출 | 1941-1942 | 2007-2008 |
GD 샤베스 | 7위 | - | 1985-1986 | 2022-2023 |
FC 파말리캉 | 8위 | - | 1946-1947 | 2019-2020 |
보아비스타 FC | 9위 | - | 1935-1936 | 2014-2015 |
카사 피아 AC | 10위 | - | 1938-1939 | 2022-2023 |
FC 비젤라 | 11위 | - | 1984-1985 | 2021-2022 |
히우 아브 FC | 12위 | - | 1979-1980 | 2022-2023 |
질 비센트 FC | 13위 | - | 1990-1991 | 2019-2020 |
GD 이스토릴 프라이아 | 14위 | - | 1944-1945 | 2021-2022 |
포르티모넨스 SC | 15위 | - | 1976-1977 | 2017-2018 |
모레이렌스 FC | - | 리가 포르투갈 2 1위[22] | 2002-2003 | 2023-2024 |
SC 파렌스 | - | 리가 포르투갈 2 2위[23] | 1970-1971 | 2023-2024 |
CF 이스트렐라 다 아마도라 | - | 리가 포르투갈 2 3위, 승강 플레이오프 승자[24][25] | 2023-2024 |
7. 구단별 감독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세자르 페이소투 | 브루누 라즈 | 크리스티아노 바치 |
카를루스 카르발랼 | 루벤 데라바레라 | 루이스 프레이르 | |
모레누 | 후이 보르즈스 | 바스쿠 세아브라 | |
이안 카트로 | 필리페 마르틴스 | 브루누 피녜이루 | |
페드루 모레이라 | 주앙 로드리게스 | 후이 페드루 실바 | |
비토르 브루누 | 세르지우 비에이라 | 페티트 | |
<colbgcolor=#ffffff,#191919> 라리가 | 세리에 A 프리메이라 리가 | 쉬페르리그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감독 |
8. 우승 트로피
9. 기록
9.1. 역대 우승 구단
1934-35 | 1935-36 | 1936-37 | 1937-38 | 1938-39 | 1939-40 | 1940-41 | 1941-42 | 1942-43 | 1943-44 |
FC 포르투 | SL 벤피카 | FC 포르투 | 스포르팅 CP | SL 벤피카 | 스포르팅 CP | ||||
1944-45 | 1945-46 | 1946-47 | 1947-48 | 1948-49 | 1949-50 | 1950-51 | 1951-52 | 1952-53 | 1953-54 |
SL 벤피카 | CF 오스 벨레넨스스 | 스포르팅 CP | SL 벤피카 | 스포르팅 CP | |||||
1954-55 | 1955-56 | 1956-57 | 1957-58 | 1958-59 | 1959-60 | 1960-61 | 1961-62 | 1962-63 | 1963-64 |
SL 벤피카 | FC 포르투 | SL 벤피카 | 스포르팅 CP | FC 포르투 | SL 벤피카 | 스포르팅 CP | SL 벤피카 | ||
1964-65 | 1965-66 | 1966-67 | 1967-68 | 1968-69 | 1969-70 | 1970-71 | 1971-72 | 1972-73 | 1973-74 |
SL 벤피카 | 스포르팅 CP | SL 벤피카 | 스포르팅 CP | SL 벤피카 | 스포르팅 CP | ||||
1974-75 | 1975-76 | 1976-77 | 1977-78 | 1978-79 | 1979-80 | 1980-81 | 1981-82 | 1982-83 | 1983-84 |
SL 벤피카 | FC 포르투 | 스포르팅 CP | SL 벤피카 | 스포르팅 CP | SL 벤피카 | ||||
1984-85 | 1985-86 | 1986-87 | 1987-88 | 1988-89 | 1989-90 | 1990-91 | 1991-92 | 1992-93 | 1993-94 |
FC 포르투 | SL 벤피카 | FC 포르투 | SL 벤피카 | FC 포르투 | SL 벤피카 | FC 포르투 | SL 벤피카 | ||
1994-95 | 1995-96 | 1996-97 | 1997-98 | 1998-99 | 1999-2000 | 2000-01 | 2001-02 | 2002-03 | 2003-04 |
FC 포르투 | 스포르팅 CP | 보아비스타 FC | 스포르팅 CP | FC 포르투 | |||||
2004-05 | 2005-06 | 2006-07 | 2007-08 | 2008-09 | 2009-10 | 2010-11 | 2011-12 | 2012-13 | 2013-14 |
SL 벤피카 | FC 포르투 | SL 벤피카 | FC 포르투 | SL 벤피카 | |||||
2014-15 | 2015-16 | 2016-17 | 2017-18 | 2018-19 | 2019-20 | 2020-21 | 2021-22 | 2022-23 | 2023-24 |
SL 벤피카 | FC 포르투 | SL 벤피카 | FC 포르투 | 스포르팅 CP | FC 포르투 | SL 벤피카 | 스포르팅 CP |
9.2. 구단별 우승 횟수
구단 | 우승 횟수 | 우승 연도 |
SL 벤피카 | 38 | 1936, 1937, 1938, 1942, 1943, 1945, 1950, 1955, 1957, 1960, 1961, 1963, 1964, 1965, 1967, 1968, 1969, 1971, 1972, 1973, 1975, 1976, 1977, 1981, 1983, 1984, 1987, 1989, 1991, 1994, 2005, 2010, 2014, 2015, 2016, 2017, 2019, 2023 |
FC 포르투 | 30 | 1935, 1939, 1940, 1956, 1959, 1978, 1979, 1985, 1986, 1988, 1990, 1992, 1993, 1995, 1996, 1997, 1998, 1999, 2003, 2004, 2006, 2007, 2008, 2009, 2011, 2012, 2013, 2018, 2020, 2022 |
스포르팅 CP | 20 | 1941, 1944, 1947, 1948, 1949, 1951, 1952, 1953, 1954, 1958, 1962, 1966, 1970, 1974, 1980, 1982, 2000, 2002, 2021, 2024 |
CF 우스 벨레넨스스 | 1 | 1946 |
보아비스타 FC | 1 | 2001 |
9.3. 시즌별 올해의 팀
9.4. 역대 강등 구단
시즌 | 구단명 |
10/11 | 포르티모넨스 SC |
아소시아상 나발 1º 드 마이우 | |
11/12 | CD 페이렌스 |
UD 레이리아 | |
12/13 | 모레이렌스 FC |
S.C. 베이라-마르 | |
13/14 | SC 올랴넨스 |
14/15 | 질 비센트 FC |
FC 페나피엘 | |
15/16 | CF 우니앙 |
아카데미카 드 코임브라 | |
16/17 | FC 아로카 |
CD 나시오날 | |
17/18 | FC 파수스 드 페헤이라 |
GD 이스토릴 프라이아 | |
18/19[26] | GD 샤베스 |
CD 나시오날 | |
CD 페이렌스 | |
19/20 | 비토리아 FC |
CD 아베스 | |
20/21 | 히우 아브 FC[27] |
CD 페이렌스 | |
CD 나시오날 |
10. 관련 문서
11.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
프리메이라 리가 | 타사 드 포르투갈 | 타사 다 리가 | 수페르타사 칸디두 드 올리베이라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남자 리그 | 프리메이라 리가 |
리가 포르투갈 2 | ||
리가 3 | ||
캄페오나투 드 포르투갈 | ||
여자 리그 | 캄페오나투 나시오날 페미니누 |
[1] 프리메이라 리가의 FC 포르투, 벤피카, 스포르팅 리스본 / 에레디비시의 아약스, PSV, 페예노르트 등[2] 프리메이라 리가는 주로 남미권 리그, 에레디비시는 동/북유럽 리그[3] 라리가, EPL, 세리에 A, 분데스리가. 여기에 리그 1의 PSG, 리옹, 모나코 등이 해당된다.[4] 그와 동시에 다른 유럽 리그에서는 셀링 클럽의 3대장으로도 알려져있다.[5] 10여년전 즈음부터 약진하여 가장 꾸준하게 4,5위권과 가끔 챔스권에 진입하고 있는 SC 브라가를 포함하여 프리메이라 리가 빅4로 부르기도 한다.[6] 1946년 CF 우스 벨레넨스스, 2001년 보아비스타 FC 빅3 이외의 팀이 2위 안에 든 적도11번 뿐이다.[7] 지금까지 리스본과 포르투 이외의 도시에서 우승팀이 나온적은 한번도 없다.[8] 다만 스코티시 프리미어십처럼 빅클럽과 약팀의 실력차가 크기 때문에 elo랭킹으로 볼 경우 순위가 낮아진다.[9] 다른 이야기인데 포르투갈어조차 이렇게 되었다. 1000만이 겨우 넘는 인구로 인하여 본고장 포르투갈어보다도 옛 식민지인 브라질이 인구 2억 1천만을 넘어가며 여기에서 쓰이는 브라질 포르투갈어가 인구가 21배나 많은 브라질에게 밀려나서 브라질 포르투갈어가 국제적으로 쓰임새가 많아지고 있다. 심지어는 듀오링고의 포르투갈어 강좌도 상징이 포르투갈이 아니라 브라질 국기로 되어 있다.[10] 리그 랭킹으로 쉬페르리그는 10위권 초반이지만 튀르키예 인구는 포르투갈 8.5배가 넘고 인구증가률 또한 포르투갈보다 압도적이다.[11] 현재 후원사가 CTT(우체국)이라서 중계 등에서 Taça CTT라는 이름을 사용한다.[12] 우승 팀은 1번 시드 부여[13] 만약 이 대회 우승 팀이 리그 3위 이상이면 4위 팀이 양도 받는다.[a] 소속팀이 리가 포르투갈 2로 강등되었다.[15] 하지만 김정민은 이후 국내로 임대를 돌다가 2023년 FC 안양으로 이적하였고 프리메이라 리가는 단 한 경기도 뛰지 못 했다. 그래서 역대 프리메이라 리거 명단에 포함되지 않은 것이다.[16] 경기 출전시간이 많아 출전시간이 더 적은 카를로스 비니시우스가 단독 득점왕을 차지했다.[17] 4대 리그 중 두 곳에서 3회 연속 리그 10골 이상을 기록했다.[18] 아시아 국적 최초 유럽리그 득점왕 및 리그 최다골 기록[A] 프리메이라 리가 출범 이후 한번도 강등 되지 않은 팀[A] 프리메이라 리가 출범 이후 한번도 강등 되지 않은 팀[A] 프리메이라 리가 출범 이후 한번도 강등 되지 않은 팀[22] 1년만의 승격[23] 2년만의 승격[24] 창단 첫 승격[25] 해체가 아닌 계승으로 기준을 했다면 14년만의 승격이였다.[26] 이번 시즌부터는 3팀이 2부 리그로 강등됐다.[27] 승강 플레이오프 패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