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황해 | 평북 | 평남 | 함북 | 함남 | |
기덕영 | 이세웅 | 정경조 | 지성호 | 손양영 | ||
광역자치단체 시·도지사 일람 | }}}}}}}}} |
평안남도지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김병연 | 제2대 길성운 | 제3대 박재창 | 제4대 박인각 | 제5대 유기천 |
제6대 사병권 | 제7대 김훈기 | 제8대 차성호 | 제9대 김훈기 | 제10대 백남진 | |
제11대 김인선 | 제12대 강의용 | 제13대 장암 | 제14대 정중렬 | 제15대 박용옥 | |
제16대 백남진 | 제17대 김중양 | 제18대 이명우 | 제19대 조명철 | 제20대 정경조 |
<colcolor=#ffffff> 평안남도지사 平安南道知事 Governor of Pyeongannam-do Province | |
현직 | <colbgcolor=#ffffff,#1f2023>정경조 / 제20대 (관선) |
내정(임명) | 2024년 8월 2일 |
취임일 | 2024년 8월 9일 [1] |
[clearfix]
1. 개요
이북5도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 2017. 7. 26.] [법률 제14839호, 2017. 7. 26., 타법개정]
제3조(도청의 임시 위치) 이북5도의 임시 사무소는 해당 관할지구가 수복될 때까지 서울특별시에 둔다.
[전문개정 2010. 3. 12.]
제5조(도지사)
① 이북5도에 도지사를 둔다.
② 제1항의 도지사는 행정안전부장관의 제청으로 국무총리를 거쳐 대통령이 임명하되 정무직으로 한다.<개정 2013. 3. 23., 2014. 11. 19., 2017. 7. 26.>
③ 미수복 시ㆍ군에 관한 제4조 각 호의 사무는 제1항의 도지사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도지사가 관장한다.<신설 2015. 5. 18.>
[전문개정 2010. 3. 12.]
평안남도지사는 평안남도를 대표하고, 행정 사무를 처리하는 이북5도의 정무직 공무원이며, 정부 차관급 인사이다.[시행 2017. 7. 26.] [법률 제14839호, 2017. 7. 26., 타법개정]
제3조(도청의 임시 위치) 이북5도의 임시 사무소는 해당 관할지구가 수복될 때까지 서울특별시에 둔다.
[전문개정 2010. 3. 12.]
제5조(도지사)
① 이북5도에 도지사를 둔다.
② 제1항의 도지사는 행정안전부장관의 제청으로 국무총리를 거쳐 대통령이 임명하되 정무직으로 한다.<개정 2013. 3. 23., 2014. 11. 19., 2017. 7. 26.>
③ 미수복 시ㆍ군에 관한 제4조 각 호의 사무는 제1항의 도지사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도지사가 관장한다.<신설 2015. 5. 18.>
[전문개정 2010. 3. 12.]
일반적인 광역자치단체장인 도지사와 다르게 이북5도에 대한민국의 행정권이 미치지 못한다. 이에 따라서 평안남도 평양시 상수동에 있어야 할 도청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구기동에 있으며, 여기서 대신 업무를 본다. 행정안전부 장관의 제청으로, 대한민국 대통령이 직접 임명한다. 즉, 민선직이 아니라 관선직이다.
그리고, 2022년에 북한이탈주민 출신의 조명철이 평안남도지사로 임명됨으로써 이북5도 지사 중 최초로 6.25전쟁 이후 북한에서 탈북한 탈북민이 지사를 맡게 되었다.
2. 평안남도지사 목록
2.1. 일제강점기
# | 호적 | 이름 | 임기 | 비고 |
장관 | 내지인 | 마쓰나가 다케키치(松永武吉) | 1910년 10월 1일 \~ 1916년 3월 28일 | 평안남도 장관 |
1 | 내지인 | 구도 에이이치(工藤英一) | 1916년 3월 28일 \~ 1919년 9월 26일 | 평안남도 장관으로 임명, 1919년 8월부터 평안남도지사 |
2 | 내지인 | 시노다 지사쿠(篠田治策) | 1919년 9월 26일 \~ 1923년 2월 24일 | |
3 | 내지인 | 요네다 진타로(米田甚太郎) | 1923년 2월 24일 \~ 1926년 3월 8일 | |
4 | 내지인 | 아오키 가이조(青木戒三) | 1926년 3월 8일 \~ 1929년 1월 21일 | |
5 | 내지인 | 소노다 히로시(園田寛) | 1929년 1월 21일 \~ 1931년 9월 23일 | |
6 | 내지인 | 후지와라 기조(藤原喜蔵) | 1931년 9월 23일 \~ 1935년 4월 1일 | |
7 | 내지인 | 야스타케 다다오(安武直夫) | 1935년 4월 1일 \~ 1936년 5월 21일 | |
8 | 내지인 | 가미우치 히코사쿠(上内彦策) | 1936년 5월 21일 \~ 1938년 8월 18일 | |
9 | 내지인 | 이시다 센타로(石田千太郎) | 1938년 8월 18일 \~ 1941년 11월 19일 | |
10 | 내지인 | 고 야스히코(高安彦) | 1941년 11월 19일 \~ 1942년 6월 2일 | |
11 | 내지인 | 시모이이자카 하지메(下飯坂元) | 1942년 6월 2일 \~ 1944년 9월 20일 | |
12 | 내지인 | 이사카 게이이치로(井坂圭一良) | 1944년 9월 20일 \~ 1945년 5월 20일 | |
13 | 내지인 | 후루카와 가네히데(古川兼秀) | 1945년 6월 16일 \~ 1945년 8월 15일 | 8.15 광복 |
2.2. 대한민국 명예 평안남도지사
대수 | 성명[2] | 재임기간[3] | 출신 시•군 | 비고[4] |
1 | 김병연(金炳淵) | 1949년 2월 15일 ~1959년 5월 | 평양시 | |
2 | 길성운(吉聖運) | 1959년 5월~1961년 10월 | 평안북도 선천군 | |
3 | 박재창(朴在昌) | 1962년 4월~1979년 4월 | 평양시 | |
4 | 박인각(朴仁珏) | 1979년 4월~1982년 7월 | 양덕군 | |
5 | 유기천(劉基天) | 1982년 7월~1988년 6월 | 평안북도 박천군 | |
6 | 사병권(史秉權) | 1988년 7월~1991년 4월 | 용강군 | |
7 | 김훈기(金勳基) | 1991년 4월~1993년 3월 | 용강군 | |
8 | 차성호(車成鎬) | 1993년 3월~1995년 9월 | 평원군 | |
9 | 김훈기(金勳基) | 1995년 9월~1997년 11월 | 용강군 | |
10 | 백남진(白南辰) | 1997년 11월~1998년 3월 | 강동군 | |
11 | 김인선(金麟善) | 1998년 3월~2000년 12월 | 대동군 | |
12 | 강의용(姜義勇) | 2000년 12월~2003년 5월 | ||
13 | 장암(張岩)[5] | 2003년 5월~2006년 6월 | 개천군 | |
14 | 정중렬(鄭重烈) | 2006년 6월 22일~2009년 11월 | 평양시 | |
15 | 박용옥(朴庸玉) | 2009년 11월~2013년 9월 | 평원군 | |
16 | 백남진(白南辰) | 2013년 9월 9일~2016년 9월 | 강동군 | |
17 | 김중양(金重養) | 2016년 9월~2019년 8월 | 평양시[6] | |
18 | 이명우(李明遇) | 2019년 8월~2022년 7월 | 양덕군 | |
19 | 조명철(趙明哲) | 2022년 7월 22일 ~ 2024년 8월 6일 | 평양시[7] | |
20 | 정경조(鄭敬朝) | 2024년 8월 6일 ~ 현직 | 강서군 |
3. 관련 문서
[1] 8월 6일, 윤석열 정부 정부 인사 발령에 따른 조치에 따라 8월 2일에 내정(內定)함[2] 출생 및 몰년[3] 취임식 기준[4] 실향민 및 2세, 3세[5] 1929.00.00~2012.10.26 향년(82세)[6] 출생지는 평원군[7] 탈북인 최초 및 역대 이북5도지사 최초의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