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팩션이란 팩트와 픽션의 합성어로 실제 사건 혹은 실존 인물의 서사에 허구적 이야기를 더해 각색한 장르이다. 특히, 영화나 소설 등에서 자주 등장하며 팩션을 다루는 영화를 팩션 영화라고 부른다.2. 배경
팩션 영화의 기원을 특정하기는 어렵지만 팩션의 요소를 가장 먼저 도입한 영화는 미국 남북전쟁을 다룬 국민의 탄생[1917] 같은 초기 역사 영화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본격적인 팩션 영화 장르의 발전은 1950년대 이후라고 볼 수 있다. 이 시대의 팩션 영화로는 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군의 태국-미얀마 철도 건설을 배경으로 한 콰이 강의 다리나 로마 시대 검투사 스파르타쿠스의 반란을 배경으로 한 스파르타쿠스와 같은 영화들이 대표적이다.3. 발전
3.1. 1910~1930년대
이 시기의 영화는 주로 역사적 사건의 재현에 초점을 맞췄으며 허구적 요소는 비교적 적었다. 대표작으로는 '국민의 탄생'과 나폴레옹의 일대기를 다룬 '나폴레옹' 등이 있다.3.2. 1940~1960년대
팩션의 본격적인 발전2차 세계대전 이후, 팩션 영화는 단순한 역사 재현을 넘어서 드라마틱한 허구적 요소를 적극 활용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의 대표작으로는 콰이 강의 다리, 스파르타쿠스 등이 있다.
3.3. 1970~1990년대
정치적/사회적 해석의 강화이 시기부터 팩션 영화는 단순한 역사 재현을 넘어, 사회 비판적 시선과 감독의 해석이 강하게 반영되었다. 1964년 실제로 벌어진 미시시피주 흑인 인권 운동가 살해 사건을 바탕으로 한 미시시피 버닝과 실존 인물인 오스카 쉰들러가 나치 학살로부터 유대인 1200명을 구한 사건을 배경으로 한 쉰들러 리스트, 13세기 소코틀랜드 독립운동을 이끌었던 윌리엄 월러스의 이야기를 영화화한 브레이브 하트, 2차 세계대전 노르망디 상륙 작전을 배경으로 한 라이언 일병 구하기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이 시기부터 많은 팩션 영화들이 작품성과 대중성을 모두 인정받게 된다.
3.4. 2000년대 이후
장르의 다양화현대 팩션 영화는 단순한 전쟁, 정치,사회적 이슈뿐만 아니라 스포츠, 범죄, 경제, 과학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었다. 미군의 소말리아 작전을 각색한 블랙 호크 다운,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다룬 빅쇼트, 원자폭탄 개발과 오펜하이머의 내면을 그린 오펜하이머, 기업가 크리스 가드너의 실제 이야기를 각색한 행복을 찾아서 등 비주류 인물 혹은 사건을 배경으로 하는 영화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