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ffffff,#191919> 어뢰정 | 페르노프 | |||
구축함 | |||||
잠수정 / 함 | 델핀, 솜급, 카사크타급, 미노가, 아쿨라, 카르프급, 카이만급, 크랍, 모르즈급, 바르스급, 나르발급, A급 | ||||
경순양함 | 알마스급, 스베틀라나급 | ||||
장갑순양함 | 게네랄 아드미랄, 미닌, 블라디미르 모노마흐, 드미트리 돈스코이, 아드미랄 나히모프급, 파먀티 아조노바, 로시야, 그로모보이, 바얀급, 류리크 | ||||
방호순양함 | 디아나급(아브로라함), 바랴그급, 스베틀라나급, 아스콜드, 노빅급, 바가티르급, 이주므루드급 | ||||
군수지원함/구난함 | 콤무나 | ||||
순양전함 | |||||
전함 | <colbgcolor=#ffffff,#191919> 전드레드노트급 | 예카테리나 2세급, 나바린, 임페라토르 알렉산드르 2세급, 페트로파블로프스크급, 트리 스비아티테리아, 아드미랄 우샤코프급 전함, 체자레비치, 보로디노급, 로스티슬라브, 페레스베트급, 포템킨, 레트비잔, 에프스타피급, 안드레이 페르보즈반니급 | |||
드레드노트급 | |||||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Бронепалубные крейсера типа «Диана» |
1. 개요
디아나급 방호순양함은 극동에서의 러시아 해상 전력의 확장 프로그램 하에 1897년에 시작하여 1903년까지 건조된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군함 설계의 전형적인 특징을 가진 방호순양함급으로 당시 기준으로 뛰어난 성능의 주함포를 장착하였다. 부함포도 여러 문 장착하고 있었으며 주요 부분은 경사 갑판 장갑으로 보호하였다.2. 제원
디아나형 방호순양함[1] Бронепалубные крейсера типа «Диана») | ||
이전급 | 스베틀라나급 방호순양함 | |
다음급 | 바랴그급 방호순양함 | |
전장 | 126.8m | |
전폭 | 16.76m | |
흘수 | 6.4m | |
기준배수량 | 11,354 톤 | |
만재배수량 | 11,536 톤 | |
출력 | 벨빌 보일러 24개 11,610ihp 8,660kW | |
항속거리 | 10노트 (약 19km/h) 순항 시 7,200km | |
최고 속력 | 19노트 (약 35km/h) | |
동력 | 기관 | 3단 팽창식 피스톤 왕복 증기기관 3기 |
추진 | 3축 프로펠러 | |
무장 | 주포 | 1892년식 45구경장 6인치(152mm) 함포 8기 |
중간포 | 1892년형 3인치(75mm) 50구경장 함포 24기 | |
속사포 | 단장 37mm 속사포 8문 | |
어뢰 | 15인치 단장 수중 어뢰발사관 3문 | |
장갑 | 갑판 | 51~76mm |
함교 | 152mm |
3. 상세
참조: 영어참조: 러시아어
4. 동형함
1번함 디아나 (Диана, Diana): 1901년 완공, 러일전쟁 - 제1차 세계 대전 - 러시아 혁명 참가, 노농적군해군 소속, 1922년 퇴역-스크랩.
2번함 팔라다 (Паллада, Pallada)
: 1901년 완공, 러일전쟁 참가, 뤼순항에 봉쇄, 일본군 포격으로 격침. 인양후 일본측에 노획되어 츠가루로 개명. 1924년 격침 처분.
3번함 아브로라 (Аврора, Aurora)
: 관련 문서 참조
5. 미디어 등장
| |
다이아나 | 다이아나 리마 |
월드 오브 워쉽에서 소련 프리미엄 순양함 2티어로 등장한다. 여기서는 영어식 발음인 '다이아나'를 쓴다.
전함소녀에서 아브로라가 교관으로 등장한다.
벽람항로에서도 아브로라가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