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절 문자의 계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오른쪽 문자는 왼쪽 문자에서 파생됨 >>> | |||||||||
이집트 상형 문자 | 신관문자 | 민중문자 | 메로이트 문자 | |||||||
원시 시나이 문자 | 우가리트 문자 | |||||||||
페니키아 문자 | 고대 히브리 문자 | 사마리아 문자 | ||||||||
아람 문자 | 카로슈티 문자 | |||||||||
브라흐미 문자 | 바티프롤루 문자 | 칸나다 문자 | ||||||||
텔루구 문자 | ||||||||||
팔라바 문자 | ||||||||||
참 문자 | ||||||||||
그란타 문자 | 싱할라 문자 | |||||||||
말라얄람 문자 | ||||||||||
타밀 문자 | ||||||||||
크메르 문자 | 태국 문자 | |||||||||
라오 문자 | ||||||||||
카위 문자 | 발리 문자 | |||||||||
순다 문자 | ||||||||||
자바 문자 | ||||||||||
바이바이인 문자 | ||||||||||
버마 문자 | ||||||||||
굽타 문자 | 실담 | 나가리 문자 | 데바나가리 문자 | 캐나다 원주민 문자 | ||||||
모디 문자 | ||||||||||
구자라트 문자 | ||||||||||
난디나가리 문자 | ||||||||||
카이티 문자 | ||||||||||
가우디 문자 | 동부 나가리 문자 | |||||||||
오리야 문자 | ||||||||||
네팔 문자 | 란자나 문자 | 소욤보 | ||||||||
티베트 문자 | 파스파 문자 | |||||||||
타나 문자 | ||||||||||
시리아 문자 | 나바테아 문자 | 아랍 문자 | 타나 문자 | |||||||
페르시아 문자 | ||||||||||
자위 문자 | ||||||||||
응코 문자 | ||||||||||
소그드 문자 | 돌궐문자 | 로바시 문자 | ||||||||
위구르 문자 | 몽골 문자 | 만주 문자 | ||||||||
팔라비 문자 | 아베스타 문자 | |||||||||
히브리 문자 | ||||||||||
팔미라 문자 | ||||||||||
만다야 문자 | ||||||||||
그리스 문자 | 에트루리아 문자 | 로마자 | 체로키 문자 | |||||||
오세이지 문자 | ||||||||||
프레이저 문자 | ||||||||||
데저렛 문자 | ||||||||||
홋착 문자 | ||||||||||
룬 문자 | ||||||||||
오검 문자 | ||||||||||
콥트 문자 | ||||||||||
고트 문자 | ||||||||||
아르메니아 문자 | ||||||||||
조지아 문자 | ||||||||||
글라골 문자 | ||||||||||
키릴 문자 | 아부르 문자 | |||||||||
리비코-베르베르 문자 | 티피나그 문자 | |||||||||
고대 히스파니아 문자 | ||||||||||
남아랍 문자 | 그으즈 문자 | |||||||||
고대 북아랍 문자 | ||||||||||
한글 · 비저블 스피치 · 주음부호 | }}}}}}}}} |
베르베르어: ⵜⵉⴼⵉⵏⴰⵖ(Tifinaɣ)
투아레그어: ⵜⵉⴼⵉⵏⴰⵗ 또는 ⵜⴼⵏⵗ
영어, 프랑스어: Tifinagh
스페인어: Tifinag
1. 개요
전통 티피나그식 표기법: ⵜⴼⵏⵗ (tfngh)네오 티피나그식 표기법: ⵜⵉⴼⵉⵏⴰⵖ (tifinagh)
베르베르어 발음: [tifinaɣ]
마그레브 및 일부 서아프리카의 사헬 지대에서 거주하는 베르베르인들과 투아레그족들이 쓰는 아브자드.
'티피나그'라는 말의 어원은 불분명하나, 몇몇 언어학자들은 이 단어가 라틴어로 페니키아인을 의미하는 Punicus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1]
2. 특징
티피나그 문자 ⵜⴼⵏⵗ / Tifinagh | |||||||||
ⴰ | ⴱ | ⴲ | ⴳ | ⴴ | ⴶ | ⴷ | ⴸ | ⴹ | ⴺ |
ⴻ | ⴼ | ⴽ | ⴾ | ⴿ | ⵀ | ⵁ | ⵂ | ⵃ | ⵄ |
ⵅ | ⵆ | ⵇ | ⵈ | ⵉ | ⵊ | ⵋ | ⵌ | ⵍ | ⵎ |
ⵏ | ⵐ | ⵑ | ⵒ | ⵓ | ⵔ | ⵕ | ⵖ | ⵗ | ⵘ |
ⵙ | ⵚ | ⵛ | ⵜ | ⵝ | ⵞ | ⵟ | ⵠ | ⵡ | ⵢ |
ⵣ | ⵤ | ⵥ | ⵦ | ⵧ | ⵯ | ⵰ |
총 57개의 문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랍 문자나 히브리 문자와는 달리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고 쓰는 문자이다.
기존 티피나그 문자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 특성상 자음만 있었으나, 여기에 모음 기호를 추가하고 몇 가지를 개선한 개량판 "네오 티피나그 문자(Neo-Tifinagh)"가 따로 존재하며, 이는 모로코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된다.
3. 관련 문서
[1] 이들의 분석에 따르면 3자음 어군을 기본으로 하는 셈어족 특성상 Punicus가 PNQ로 변형되었고 이게 베르베르어식 발음 변화를 거쳐 FNƔ로 바뀌었는데 여기에 베르베르어의 여성 접두사 ti-가 붙어 tiFNƔ 즉 tifinagh라는 단어로 정착했다고 본다. 여기서 Ɣ는 [ɣ\] 발음이며, 전통적으로 셈어족에는 [p\] 발음이 없고 대신 이를 [f\]로 받아들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