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특이별 / Chemically peculiar star특이별은 특이한 화학 조성을 가진 항성들이다. 뜨거운 주계열성중엔 흔하게 발견된다. 공통된 특징으로는 주변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이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2. 상세
2.1. Am 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m 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m 별#|]][[Am 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2. Am/Fm 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m/Fm 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m/Fm 별#|]][[Am/Fm 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3. Ap/Bp 별
Ap, Bp 별은 스트론튬, 크롬 또는 유로퓸이 매우 풍부한 A형 주계열성 또는 B형 주계열성으로 흔히 프라세오디뮴과 네오디뮴이 과다하게 많다. 통상적인 A형 주계열성이나 B형 주계열성과 달리 자전 속도가 상당히 느린 것이 보통인데 몇몇은 초당 약 100킬로미터로 자전한다.가장 큰 특징은 항성의 자기장이 일반적인 A형, B형 주계열성에 비해 매우 강하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항성인 HD 215441(뱁콕의 별)의 자기장 강도 약 33.5 킬로가우스(3.35 테슬라)인데, 일반적인 경우에는 몇 천에서 1만 킬로가우스이다. 현재 주계열성 단계를 이탈하여 적색 덩어리 거성이 된 폴룩스는 주계열성 시절에는 이 Ap별이었던 걸로 추정하고 있다.
2.4. CEMP 별
Carbon-enhanced metal-poor star(탄소가 풍부한, 금속이 적은 항성).이 항성의 원소비율을 보면 철 대비 탄소(C/Fe)가 >+1로, 태양과 비교하면 태양보다 탄소 함유량이 10배 이상이며, 반대로 철은 10분의 1미만이다. 고속 중성자 포획(r-process)으로 생성된 원소가 더 많은지, 저속 중성자 포획(s-process)으로 생성된 원소가 더 많은지에 따라 추가로 나눈다.
CEMP-r 항성은 유로퓸/철이 > +1이고 바륨/유로퓸이 <0이며, CEMP-s 항성은 바륨/철이 >+1이고, 바륨/유로퓸이 > 0.5인 항성이으로 CEMP 항성의 80%를 차지한다. CEMP-no 항성은 바륨/철이 < 0인 항성으로 약 20%의 CEMP 항성이 이 분류로 들어간다.
2.5. HgMn 별
수은-망간 별.스펙트럼 분석을 하면 398.4 nm에서 이온화된 수은으로 인한 뚜렷한 흡수선이 보이는 항성이다. 광도는 B8, B9, A0이며, 표면 온도는 이에 따라 1만 켈빈에서 1만 5천 켈빈 사이이다.
다른 항성과 구별되는 특징으로는 인(원소), 망간, 갈륨, 스트론튬, 이트륨, 지르코늄, 백금, 수은과 같은 원소가 대기 중에 많이 존재하며, 강력한 쌍극 자기장이 존재하지 않는다. 자전 속도가 비교적 느리기에 대기도 큰 활동 없이 잔잔하다. 대표적인 항성은 안드로메다자리의 알파성인 알페라츠다.
2.6. 헬륨선 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헬륨선 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헬륨선 별#|]][[헬륨선 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6.1. 강한 헬륨선 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강한 헬륨선 별])]2.6.2. 약한 헬륨선 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약한 헬륨선 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약한 헬륨선 별#|]][[약한 헬륨선 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7. 바륨 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바륨 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바륨 별#|]][[바륨 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