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6 21:03:04

크리스 영(1979)

크리스 영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tablebordercolor=#001840><tablebgcolor=#001840>
파일:MLB 로고.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D1D1D,#E2E2E2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내셔널 리그
<colcolor=#FFFFFF> 동부 파일: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로고.svg 파일:마이애미 말린스 로고.svg 파일:뉴욕 메츠 로고.svg 파일:필라델피아 필리스 로고.svg 파일:워싱턴 내셔널스 로고.svg
알렉스 앤소폴로스 피터 벤딕스 공석 프레스턴 매팅리 마이크 리조
중부 파일:시카고 컵스 엠블럼.svg 파일:신시내티 레즈 엠블럼.svg 파일:밀워키 브루어스 로고.svg 파일:피츠버그 파이리츠 엠블럼.svg 파일: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로고.svg
카터 호킨스 브래드 미도어 맷 아놀드 벤 셰링턴 마이크 거쉬
서부 파일: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엠블럼.svg 파일:콜로라도 로키스 엠블럼.svg 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로고.svg 파일: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엠블럼.svg 파일: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로고.svg
마이크 헤이젠 빌 슈미트 브랜든 곰스 A.J. 프렐러 잭 미나시안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동부 파일:볼티모어 오리올스 엠블럼.svg 파일:보스턴 레드삭스 로고.svg 파일:뉴욕 양키스 로고.svg 파일:탬파베이 레이스 로고.svg 파일:토론토 블루제이스 엠블럼.svg
마이크 일라이어스 브라이언 오할로란 브라이언 캐시먼 공석 로스 앳킨스
중부 파일:시카고 화이트삭스 엠블럼.svg 파일:클리블랜드 가디언스 로고.svg 파일: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엠블럼.svg 파일:캔자스시티 로열스 로고.svg 파일:미네소타 트윈스 엠블럼.svg
크리스 게츠 마이크 션오프 제프 그린버그 J.J 피콜로 새드 러빈
서부 파일:휴스턴 애스트로스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엠블럼.svg 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로고.svg 파일:시애틀 매리너스 로고.svg 파일:텍사스 레인저스 엠블럼.svg
다나 브라운 페리 미내시언 데이비드 포스트 저스틴 홀랜더 크리스 영
}}}}}}}}}}}}}}} ||

크리스 영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Royals-2015WorldSeries.png
MLB 월드 시리즈
우승반지
2015

파일:텍사스 레인저스 2023 월드 시리즈 우승 엠블럼.svg
MLB 월드 시리즈
우승단장
2023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14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올해의 재기상
마리아노 리베라
(뉴욕 양키스)
크리스 영
(시애틀 매리너스)
프린스 필더
(텍사스 레인저스)

텍사스 레인저스 등번호 49번
라이언 스네어
(2004)
크리스 영
(2004~2005)
미구엘 오헤다
(2006)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등번호 32번
션 버로우스
(2004)
크리스 영
(2006~2010)
랍 존슨
(2011)
뉴욕 메츠 등번호 55번
션 에스테스
(2002)
크리스 영
(2011~2012)
페드로 펠리시아노
(2013)
시애틀 매리너스 등번호 53번
조시 키니
(2012)
크리스 영
(2014)
메이콜 과이페
(2015)
캔자스시티 로열스 등번호 32번
지미 파레디스
(2014)
크리스 영
(2015~2017)
브랜든 마우러
(2017)
}}} ||
}}} ||
파일:external/cdn.fansided.com/chris-young-mlb-minnesota-twins-kansas-city-royals1-850x560.jpg
<colbgcolor=#003278><colcolor=#ffffff> 텍사스 레인저스 야구운영사장 겸 단장
크리스토퍼 라이언 "크리스" 영
Christopher Ryan "Chris" Young
출생 1979년 5월 25일 ([age(1979-05-25)]세)
텍사스 주 댈러스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학력 프린스턴 대학교 (정치학 학사)
신체 208cm | 115kg
포지션 선발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00년 드래프트 3라운드 (PIT)
소속팀 텍사스 레인저스 (2004~2005)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2006~2010)
뉴욕 메츠 (2011~2012)
시애틀 매리너스 (2014)
캔자스시티 로열스 (2015~2017)
프런트 텍사스 레인저스 사장 겸 단장 (2021~)
1. 개요2. 생애
2.1. 선수 생활2.2. 프런트 시절
3. 피칭 스타일4. 엘리트 스포츠인5. 그 외6. 연도별 성적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전 야구 선수이자 현 텍사스 레인저스의 사장 겸 단장.

2. 생애

2.1. 선수 생활

젊을 적에는 6′ 10″(208cm)[1]라는 우월한 신장을 바탕으로 농구야구를 병행하다가 야구 쪽으로 진로를 잡고 2000년 메이저리그 드래프트에서 피츠버그 파이리츠에 지명되어 $1.65m의 계약금을 받고 입단한다. 마이너리그에서 준수한 성적을 기록하며 착실히 성장해 나갔지만, 2003년을 앞두고 몬트리올 엑스포스로 트레이드되었고 2003년 이후 다시 텍사스 레인저스로 트레이드되었다. 그렇게 암흑기를 보낼 적에 2004년 후반기에 드디어 빅리그로 콜업되었고, 3년 $1.5m의 계약을 보장받은 2005년부터 풀타임 선발 투수로 뛰면서 12승 7패 평균자책점 4.26의 괜찮은 성적을 기록했다.

하지만 이따금 컨트롤에 난조를 보이며 볼을 많이 던지는 탓에[2] 이닝 소화력이 다소 떨어지는데다 플라이볼 피쳐라는 특성상 장타가 많이 나오는 아메리퀘스트 필드에 적합한 투수는 아니었고, 결국 2005년 이후 아드리안 곤잘레스와 함께 샌디에이고 파드리스로 트레이드되었다.[3]

메이저리그 최고의 투수 친화 구장인 펫코 파크에 온 영은 2년 연속 내셔널리그 최저 피안타율의 기록을 세우는 등 준수한 선발투수로서 승승장구했고 2007년에는 올스타로까지 선정되었다. 그러나 2008년 알버트 푸홀스의 라인드라이브 타구를 얼굴에 직격당하고 두 달을 개점휴업 상태로 보낸 뒤, 2008년부터 어깨 부상을 당하며 하향세를 타기 시작했다.

결국 2010년 종료 후 파드리스에서 옵션이 거절되며 뉴욕 메츠로 이적, 데뷔전에서 콜 해멀스를 상대로 3타수 3안타 2타점을 치고 5.1이닝에 7K를 잡아내는 활약을 펼쳤지만 이후 팔 부상으로 다시 주춤하며 4경기만에 시즌을 마감한채 FA가 되었다. 다행히도 메츠와 재계약에는 성공하며 2012년 중순에 복귀했지만, 20경기 4승 9패 평균자책점 4.15로 그다지 인상적인 활약은 보여주지 못했다.

2013년에는 워싱턴 내셔널스와 마이너리그 계약을 맺으며 예비 선발의 임무를 맡게 되었다. 하지만 부상 때문에 빅리그는 올라오지도 못한 채 워싱턴을 떠나게 되었고, 2014년 초에 시애틀 매리너스와 계약을 맺었다. 그리고 예상과 달리 꾸준히 로테이션을 돌며 7년만에 규정이닝을 소화하는 등 12승 9패 평균자책점 3.65의 성적으로 시즌을 마쳤다.

그러나 너무나도 큰 ERA와 FIP의 괴리[4]로 나쁘지 않은 성적에도 어느 팀과도 재계약을 맺지 못하다가 2015년 초 캔자스시티 로열스와 거의 최저연봉 수준인 1년 0.675m의 계약을 맺었다. 그리고 2014년과 마찬가지로 ERA(3.06)와 FIP(4.52)의 상당한 괴리를 보여주며 11승 6패, 3.06의 평균자책점, 83탈삼진을 잡아내었다. 그리고 포스트시즌에서도 준수한 활약을 했고, 특히 2015년 월드 시리즈에서는 1차전에서 연장전 3이닝 무실점, 4차전에서는 50여개의 투구수 제한이 걸려 있었음에도 호투를 하면서 생애 첫 우승반지도 획득한다. 그 활약을 인정받아 3년간 최대 18M이라는 계약에 사인하는데 성공했다.

그 첫 해인 2016년에는 41이닝동안 무려 17개의 피홈런을 뚜드려맞으며 방어율 6점대를 마크하고 있다. 7~8%대를 마크하던 HR/FB 비율이 갑자기 22%로 올라간 것이 그 비결이다. 40이닝 이상 던진 투수들 중 압도적인 1위로, 원래 플라이볼 피쳐인데 플라이볼이 9개가 뜨면 그 중 2개가 넘어간다는 무서운 수치이다.

2017 시즌에도 7점대가 넘는 ERA를 기록하며 부진했고 결국 팀은 네프탈리 펠리즈를 영입하면서 그를 지명할당 시켰다. 이후 6월 25일에 완전 방출.

이후 2018 시즌을 앞두고 친정팀들 중 하나인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의 스프링캠프에 참가했지만 로스터 진입에 실패한채 4월 1일에 방출되었고 이후 5월 10일에 MLB 사무국에서 현장 운영·계획·전략 부사장으로 임명되어 선수생활을 마감했다.

2.2. 프런트 시절

2021 시즌부터 존 대니얼스가 구단 사장으로 영전하면서 뒤를 이어 텍사스 레인저스의 신임 부사장이자 단장으로 선임되었고, 2022년 여름에는 존 대니얼스 사장이 퇴임하면서 그 권한을 모두 이어받았다.

2023 시즌을 앞두고는 브루스 보치 전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감독을 팀의 신임 감독으로 선임했다. 한편 전임 단장이 키스톤 듀오에게 쏴 놓은 거대한 계약 때문에라도 윈나우로 달려야 하는 상황에서 1선발급 투수 영입에 집중하고 있는데 뉴욕 메츠제이콥 디그롬 영입설 등이 돌고 있었고 타 팀보다 긴 계약 기간을 제시하며 영입에 성공했다. 또한 능력 있는 투수 코치로 유명한 마이크 매덕스를 다시 데려와 투수 코치로 재임명했다. 그리고 텍사스는 원정 전승 파죽지세를 달리며 구단 역사상 첫 월드 시리즈 우승에 성공했다. 선수와 프런트로 모두 우승을 거둔 케이스는 자니 머피와 스탠 뮤지얼에 이어 역대 세 번째라고 한다.

2024 시즌에는 야구운영 부사장에서 야구운영 사장으로 승진하였다.

3. 피칭 스타일

큰 신장에서 주는 이미지와는 달리 패스트볼의 스피드가 빠른 투수는 아니다. 특히 30대에 접어든 이후부터는 부상 등으로 인해 빨라야 80마일대 후반이 나올 정도로 구속이 많이 떨어졌다. 또한 커리어 초창기만 하더라도 커브, 슬라이더, 체인지업 등의 변화구를 던졌으나 부상의 여파로 2012년부터 변화구는 슬라이더 1개 구종만 던지는 투피치 투수가 됐다.

그의 패스트볼은 현역 최고급의 V무브먼트를 가지고 있기에 타자들 입장에서는 처음 봤을 때 정타로 맞추기가 정말 어려우며, 이는 빗맞은 뜬공을 양산해내면서 피안타율을 낮추는 효과를 낳았다. 그러나 그 특출난 패스트볼을 받쳐줄만한 보조구종이 부족한 편이라 타순이 한번 돌아간 뒤에는 공략당할 때가 많았다. 전성기였던 파드리스 시절에는 탈삼진도 그럭저럭 뽑아냈지만, 구속이 떨어진 후에는 탈삼진률도 많이 하락한 편.

평균에 비해 항상 낮았던 피안타율에 반해 플라이볼 투수임에도 불구하고 평균보다 낮은 홈런/플라이볼 비율 때문에 평균자책점과 FIP 사이의 갭이 매우 큰 편이다. 2016시즌 종료 시점에서 통산 평균자책점은 3.87인데 반해 통산 FIP는 4.55로 대략 0.7 정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통산 BABIP이 0.258로 엄청나게 낮은 선수였는데, BABIP과 FIP로 대표되는 2000년대 세이버매트릭스의 설명론에 의해 분석하기 어려운 극단적인 예외에 속하는 선수였다. 물론 2010년대 이후로는 BABIP 이론의 허구성이 드러나며 완전히 박살난 상황이라 별 문제는 없다.

4. 엘리트 스포츠인

앞서 설명했듯이 학창시절에는 농구와 야구를 병행했는데, 프린스턴 대학교에서도 양 포지션에서 신인왕을 먹는 놀라운 활약을 펼쳤다고 한다. 그런데 공부까지 잘해서 2002년까지 학업을 병행하면서 결국 프린스턴에서 정치학 학위를 땄고, 마이너리그에서 한동안 고생하고 있을 때는 NBA 새크라멘토 킹스에서 2년 계약을 오퍼받았다고 한다. 자세한 이야기는 엠엘비바다 글 참조.[5] 또한 처가와 본가 양쪽 집안 배경도 빵빵하다. (이쪽은 위의 엠엘비바다 글 참조)

하여간 이 정도 스펙이면 할 말이 없다. 괜히 은퇴 후에 야구 행정가쪽으로 활동하는 게 아니다. 아쉽게도 2000년대 말부터 부상이 찾아온 것을 보면 신은 공평하다는 것도 맞는 말이다만.

5. 그 외

6. 연도별 성적

역대 기록
<rowcolor=#ffffff> 년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ERA+ fWAR bWAR
2004 TEX 7 3 2 0 0 36⅓ 4.71 36 7 10 2 27 1.266 107 0.8 0.4
2005 31 12 7 0 0 164⅔ 4.26 162 19 45 7 137 1.257 108 2.9 1.3
<rowcolor=#ffffff> 년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ERA+ fWAR bWAR
2006 SD 31 11 5 0 0 179⅓ 3.46 134 28 69 10 164 1.132 117 3.0 1.6
2007 30 9 8 0 0 173 3.12 118 10 72 7 167 1.098 128 3.6 2.3
2008 18 7 6 0 0 102⅓ 3.96 84 13 48 5 93 1.290 96 1.0 0.2
2009 14 4 6 0 0 76 5.21 70 12 40 5 50 1.447 73 -0.3 -0.9
2010 4 2 0 0 0 20 0.90 20 10 1 11 15 1.050 416 1.0 0.8
<rowcolor=#ffffff> 년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ERA+ fWAR bWAR
2011 NYM 4 1 0 0 0 24 1.88 12 3 11 1 22 0.958 199 1.1 0.9
2012 20 4 9 0 0 115 4.15 119 16 36 7 80 1.348 92 0.8 0.1
<rowcolor=#c4ced4> 년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ERA+ fWAR bWAR
2014 SEA 30 12 9 0 0 165 3.65 143 26 60 6 108 1.230 100 1.8 0.3
<rowcolor=#ffffff> 년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ERA+ fWAR bWAR
2015 KC 34 11 6 0 0 123⅓ 3.06 91 16 43 0 83 1.086 137 2.7 1.6
2016 34 3 9 0 0 88⅔ 6.19 104 28 43 2 94 1.658 70 -0.9 -1.8
2017 14 0 0 0 0 30 7.50 47 7 14 3 22 2.033 60 0.1 -1.0
MLB 통산
(13시즌)
271 79 67 0 0 1297⅔ 3.95 1130 186 502 57 1062 1.258 103 16.9 5.6

7. 관련 문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MLB 역대 선수들 중 랜디 존슨 등과 함께 최장신 역대 2위에 올라 있다. 공동 1위는 2013년 은퇴한 불펜투수 존 라우시, 션 젤리(211cm). 마이너리그까지 포함하면 네덜란드 출신 불펜투수 록 반 밀(216cm)이 최장신 선수다.[2] 다만 2005시즌 BB/9는 2.5로 준수한 편이었다.[3] 결론적으로, 영 대신 데려온 선발투수 아담 이튼이 폭삭 망하면서 이 트레이드는 일방적인 파드리스의 승리로 결정되었다.[4] 평균자책점이 3.65인 반면 FIP은 5.02를 기록했다.[5] 마지막이 압권이다. 트레버 호프만의 말에 따르면 영은 인터뷰를 할 때마다 놀림을 받았는데 놀림을 받은 이유가 영어를 너무 완벽하게 구사해서 재밌게 들렸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