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30 08:53:50

타슝카 위트코

크레이지 호스에서 넘어옴
타슝카 위트코
Tȟašúŋke Witkó
파일:Crazy_Horse_sketch.jpg
1934년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선교사가 그의 여동생의 묘사를 바탕으로 그린 그의 스케치. 그의 여동생은 이 묘사가 정확하다고 주장했다.
이명 미친 말
Crazy Horse
출생 1840년
사우스다코타 래피드 강 근처
사망 1877년 9월 5일(향년 37세)
미국 네브래스카 주 포트 로빈슨
직업 추장, 지도자, 장군

1. 개요2. 생애3. 조각상
3.1. 비판
4. 게임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3: 대전사에서

[clearfix]

1. 개요

아메리카 원주민 수우 족의 추장.

이름을 번역하자면 '그의 말이 미쳤다'라는 뜻으로 영어 번역으로는 통칭 Crazy Horse로 불리며 한국에서는 영어 이름을 중역하여 성난 말 혹은 미친 말[1]로 번역된다. 아메리카 원주민인 수우족의 지파인 테톤 수우족(라코타족)의 오글라라 부족 추장이었고 현재의 미국 사우스다코타 지역에서 태어나 1877년 9월 5일에 죽었다.

2. 생애

수우 족이 백인의 대평원 북부 침략에 대항해 싸울 때 가장 뛰어난 전략가이자 결연한 전사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그는 1865년 젊은 나이에 이미 몬태나에서 금광지로 향하는 길을 건설하려는 미국의 계획에 저항하는 부족민의 지도자가 되었다.

성난 말은 1866년 12월 21일에 미 육군의 윌리엄 J. 페터먼 대위와 부하 80명을 사살했으며 1867년 8월 2일에는 4륜마차 전투에 참여했다.[2] 1868년의 제2차 라라미 요새 조약(1868)의 원주민 보호구역에 관한 조항을 받아들이기를 거절하고 출입이 금지된 들소 떼 지역으로 부하들을 데리고 가서 사냥과 낚시를 하는 한편 적대 부족과 백인에 대항한 싸움을 계속했다. 그러자 미국 정부는 국력 손실을 우려해 원주민과의 평화조약을 맺고 한동안 교전이 중지되었다.

그렇게 원주민과 백인과의 싸움이 추춤하는 듯 했으나 그리 오래가지 못했다. 1874년 다코타 준주의 블랙힐스에서 금이 발견된 것이다. 금을 찾는 사람들이 조약에 인정된 수우 족의 권리를 무시하고 원주민 보호구역으로 몰려들었고 미 육군 준장 조지 크룩 장군은 성난 말 일행을 몬태나 준주의 텅 강변과 파우더 강변에 있던 그들의 겨울 거주지에서 내쫓으려고 했지만 그들은 오히려 언덕 깊숙이 숨어 버렸으며 샤이엔 족에 가담해 1876년 6월 17일에 몬태나 남부에 있는 로즈버드 계곡에서 크룩 장군을 기습공격했다. 공격을 받은 크룩 장군의 군대는 철수했다.

그 뒤에 성난 말은 북으로 가서 리틀 빅혼 강가에 있는 웅크린 황소 추장의 수우 족 본진지에 들어갔는데 여기서 조지 암스트롱 커스터 중령이 지휘하는 미 육군 제7기병연대를 섬멸한 리틀 빅혼 전투에 참여하고 부하들과 함께 다시 진지로 돌아와 이전의 생활을 계속했다.[3] 성난 말은 계속해서 넬슨 마일스 육군대령의 추적을 받았는데 마일스는 모든 원주민들을 원주민 보호기관과 보호구역에 강제 수용하기 위해 군대를 강화해 전투를 벌이고 있었다. 성난 말의 부족은 추위와 굶주림 때문에 쇠약해졌다.

마침내 성난 말은 1877년 5월 6일 네브래스카 레드 클라우드 원주민 보호소에서 자신의 오랜 적인 크룩 장군에게 항복했다. 로빈슨 요새에 감금된지 몇 개월 뒤인 1877년 9월 5일에 성난 말은 짐승에게 사용하는 덫을 채우려는 경찰관에게 저항하다가 단검에 찔려 살해당했다.
"It is a good day to die!"
"죽기에 딱 좋은 날이군"
ㅡ 그의 마지막 유언으로 유명해져서 이후의 미디어물에 자주 인용된다.[4]

살아생전에 위스키 같이 독한 술을 결코 마시지 않았는데 이유는 미국인들이 보낸 증류주를 마신 원주민 부족민들이 병들고 쇠약해져 가는[5] 모습을 보았기 때문에 "불의 물(위스키)은 백인들이 만든 사악한 물이다. 나는 결코 백인들이 주는 나쁜 선물인 불의 물을 마시다가, 내 몸과 부족을 망하게 하지 않겠다."라는 결심을 했다고 한다.북미 인디언들을 망친 증류주

파일:external/www.silencertalk.com/M14SE_KV1T0662.sized.jpg

한편 미군은 그의 뜻을 기려 M14 소총의 개조판인 M14SE에 크레이지 호스라는 이름을 붙였다.

3. 조각상

파일:attachment/타슝카 위트코/13.jpg

앞의 흰색 석상이 완공되었을 때의 모습을 조각해 놓은 축소모형이다.

파일:external/d1jrw5jterzxwu.cloudfront.net/crazy-horse-monument-AP9804150754-copy.jpg

얼굴만 완성된 모습

파일:타슝카 위트코 조각 진척상황 2024.jpg

2024년 얼굴과 손, 팔 일부가 완성된 모습

블랙 힐스 산자락 러시모어 산의 미국 대통령 얼굴상에서 27㎞ 떨어진 곳에서 성난 말의 전신상이 계속 만들어지고 있다. 현재 얼굴은 완성된 상태이며 몸통과 그 밑의 말이 조각중에 있다. 러시모어에서도 잠시 일했던 세계적 조각가 코자크 지올코브스키가 제작하기 시작한 것으로 제작하게 된 사연은 다음과 같다.

파일:external/p2.liveauctioneers.com/1627311_1_l.jpg

코자크 지올코브스키의 1970년 당시의 모습.

지올코브스키는 러시모어의 미국 대통령 조각상이 완성된지 얼마 지나지 않아 원주민 '우뚝 선 곰' 루터[6]로부터 한 통의 편지를 받았는데 그 편지에는 원주민 탄압의 역사가 구구절절하게 적혀 있었으며 마지막에는 이렇게 적혀 있었다.
백인들에게 영웅이 있듯이 우리 원주민에게도 영웅이 있다. 우리의 영웅은 '성난 말'이다.
이 편지를 읽은 지올코브스키는 루터를 만나 그로부터 성난 말에 대해 알게 되었고 자신의 생일과 성난 말이 죽은 날이 같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지올코브스키는 이것이 자신의 정해진 숙명적 사명이라 생각하고 성난 말 조각상을 제작하는 대형 프로젝트를 세워 제작에 박차를 가했지만 과정이 그렇게 순탄치 않았다. 조각 작업을 시작할 때 지올코브스키가 가진 돈은 약 160여만 원에 지나지 않았고 인력이 부족한 탓에 30여 년이 넘도록 가족과 함께 조각상을 계속 만들어갔는데 이러한 사실이 미국 전역에 알려지자 미국인들에게 큰 감동을 주어 자선단체나 여러 업체로부터 후원금을 지원받기도 했다.

파일:external/blog.donga.com/0000591.jpg

미국 정부도 과거 원주민 탄압에 대한 반성의 일환으로 후원금 1천만 달러를 제공하려 했으나 이건 지올코브스키가 거절했다. 미국에 대한 저항정신을 상징하는 조각상이 미국의 지원을 받아 제작되는 건 매우 어색한 일이었기 때문.

지올코브스키는 조각상 제작에 필요한 자금은 관광수입, 기부금, 조각돌을 판매하여 벌어들인 돈으로만 벌충하며 조각상을 완성하겠다고 다짐했지만 세월은 지올코브스키를 도와주지 않았다. 1986년에 지올코브스키는 72세의 나이로 노환으로 사망했다. 사람들은 지올코브스키의 죽음으로 이 조각작업 프로젝트가 끝날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지올코브스키의 가족들이 작업을 이어받아 지금도 계속되고 있으며 2000년대에 들어서야 비로소 얼굴 완성되었다.

전문가들은 이 조각상 완성까지 최소 100여 년은 더 걸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3.1. 비판

(조각상을 만들고 있는) 그들은 우리의 문화를 결코 존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우리는 우리의 성지인 성스러운 검은 언덕을 깎으라고 허가해준 적이 결코 없기 때문이다. 성지는 조각하라고 있는 것이 아니며 이는 우리 일족에게 있어 대단히 잘못된 행동이다. 아무리 생각해봐도 이는 성난 말에 대한 모욕일뿐만 아니라, 우리 부족 모두와 원주민 문화에 대한 모욕이다.
- Elaine Quiver, 타슝카 위트코의 고모의 후손
아름다운 산을 깎아 성난 말의 조각상으로 만드는 것은 자연을 파괴하는 것이며, 그의 정신에 반하는 일이다.
- John Fire Lame Deer, 라코타족 주술사
이스라엘에 있는 시온 산을 깎아 조각상으로 만든다고 하면 기독교인, 무슬림, 유대인은 어떨 것 같은가? 이는 우리 부족 전체에 대한 모욕이다.
- Russell Means, 라코타족 태생의 원주민 인권운동가

그러나 이 석상의 제조에 대한 논란도 만만치 않다. 일단 성난 말의 유족인 후손들부터가 이 석상의 제작에 반대하고 있다.[7]

유족 중에서는 원주민들의 대표로서 석상의 제작을 의뢰한 서 있는 곰에게도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런 기념비나 석상의 제작에 대한 권리는 엄연히 방계 후손인 유족들[8]이 가지고 있는데 서 있는 곰은 유족들에게 단 한마디 상의도 없이 자신의 독단으로 성난 말을 조각상으로 남겨달라고 의뢰했다는 것이다. 거기다 지올코브스키 가족들이 관광 수입을 투명하게 석상의 제조에만 사용했냐에 대하여 의심하고 있는 시선도 있다. 실제로 15년간 진척이 거의 없으며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도 불투명하다.

거기다 가장 큰 문제점은 미국 대통령 조각상이든 이 '성난 말' 조각상이든 결과적으로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성지를 파괴하는 것은 마찬가지라는 점이다. '원주민 추장을 기리기 위하여 원주민의 성지를 또 한번 침범한다'는 셈인데 이 점에서 많은 수우족의 후예들과 유족들은 백인들의 성지 침범과 다를 것이 없다고 비판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타슝카 위트코 본인은 평생 사진 한 장 찍는 것조차 한사코 거부했으며 자신의 시신을 아무도 모르는 곳에 묻게 하여 누구도 자신이 묻힌 곳을 찾지 못하게 하였는데 라코타족의 성지에 묻혀 자연으로 돌아가기를 원했지 산을 훼손하여 거대한 조각상을 남기길 원한 것이 아니었다. 망자의 모습을 조각상으로 만드는 것이 아메리카 원주민의 문화에 부합되는 것도 아니다. 한마디로 이 조각상 자체가 타슝카 위트코에 대한 고인모독이자 그가 속했던 라코타족에게도 또다른 폭거와 다름없다.

4. 게임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3: 대전사에서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3 캠페인 등장인물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3 대전사 아시아 왕조
액트1. 피 액트2. 얼음 액트3. 강철 액트1. 불 액트2. 그림자 액트1. 일본 액트2. 중국 액트3. 인도
<colbgcolor=#8fbc8f,#427042> 주인공 모건 블랙 존 블랙 아멜리아 블랙 <colbgcolor=#fae7a6,#594604> 나다니엘 블랙 <colbgcolor=#fae7a6,#594604> 체이튼 블랙 <colbgcolor=#ffcc97> 사쿠마 키치로 <colbgcolor=#ffcc97> 지안 후앙 <colbgcolor=#ffcc97> 나니브 사히르
서브
영웅
엘리자벳 램지 카넨케 조지 워싱턴 성난 말/프랭크 삼촌 토리이 모토타다 라오 첸 프라바르 파텔
사힌 노나키 쿠퍼 소령 카넨케 도쿠가와 이에야스
알레인 매그넌 워릭 피에르 보몽 스벤 쿠첼러 윌리암 홈 이시다 미츠나리 왕 진하이 조지 에드워드슨
델가도 조지 암스트롱 커스터
NPC 칠체 스튜어트 블랙 시몬 볼리바르 노나키 아멜리아 블랙 - - 바하두르 샤 2세
조지 워싱턴 칠체
}}}}}}}}} ||

파일:attachment/screen34.jpg
캠페인 스크린샷
파일:attachment/crazyhorse_color.jpg
컨셉 아트

Crazy Horse

한국판에서는 성난 말이란 이름으로 번역되어 나온다. 캠페인 2장에 등장한다. 초반에는 수우 족과 대립하는 입장의 주인공 체이튼 블랙과 대립하지만 나중에 수우 족의 처지를 이해하고 수우 족 편으로 돌아선 체이튼과 같은 편이 된다. 성우는 안장혁으로 추정된다.

수우 족을 공격하고 잠적한 윌리암 홈을 찾는 것을 도와주며 마지막 전투인 리틀 빅혼 전투에서 조지 암스트롱 커스터의 부대를 함께 섬멸한다.

게임상 성능은 캠페인 등장 영웅치고는 영 좋지 않은데 체력 외에는 공격력도 일반 수우 족 대전사와 똑같아서 굉장히 공격력이 낮다. 다만 수우 족 대전사의 오오라는 똑같이 가지고 있다.

그러나 목소리는 그야말로 간지폭풍이다. 특히 마지막 리틀 빅혼 전투때 커스터 본대가 도착했다는 보고가 들려온 직후 내가 돌아왔다라는 말과 함께 맵 사방에서 모여드는 수우 족 기병 병력의 위용[9]은 그야말로 보는 사람만이 느낄 수 있는 포스가 흘러나온다.

결정판에서는 등장하지 않으며[10] 체이튼의 친척인 '깃털모자' 프랭크 삼촌이 같은 역할로 등장한다.[11]


[1] 한국판 나를 운디드니에 묻어주오에서는 미친말로 번역했다.[2] 모두 와이오밍 준주에 있는 포트필커니 근처에서 일어났다.[3] 이때 성난 말은 맹세한대로 커스터 중령의 심장을 씹었다고 한다.[4] 스타크래프트에서 프로토스의 공중 유닛인 해적선의 등장 대사이기도 하며 워크래프트2 무적 치트키이기도 하다. 베트남 전쟁 당시 미군 병사들이 지긋지긋한 전쟁을 지겨워하면서 자기들끼리 입버릇처럼 말했던 문장이기도 하다. 이후 스타 트렉의 클링온들이 버릇처럼 입에 달고 사는 대사가 되었으며 최근에는 리그 오브 레전드의 자르반 4세의 이동시 대사로 삽입되었다. 신세계에서 이중구가 죽기전 마지막 유언으로 하는 말이기도 하며 실제로 영문 자막에서도 타슝카의 유언으로 번역되었다.[5] 북미 원주민들은 유럽의 백인들이 북미 대륙으로 이주해 오기 전까지는 위스키 같이 독한 술 자체가 없었고 유전적으로 간에 알콜 분해 효소가 매우 적기 때문에 그만큼 알콜 중독에 백인들보다 더 취약했다. 나중에 백인들도 이 사실을 알고 일부러 원주민들을 병에 걸려 죽게 하기 위해서 위스키 같이 독한 술들을 원주민들한테 마구 나눠주었고 원주민들은 백인들을 증오하면서도 그들이 주는 독한 술에 중독되어 죄다 폐인이 되고 말았다.[6] Luther Standing Bear (1868-1939). 본명은 '오타크테(Óta Kté)' 또는 '몰살(Plenty Kill)'로 시캉구, 오글라라 라코타 족 출신의 작가였다. 퐁카족 출신의 서 있는 곰(마슈나진, 1829~1908)과는 관련 없다.[7] 다만, 성난 말은 딸 하나만 두었는데 아버지가 죽기 전인 1873년 죽어 그의 직계자손은 없다.[8] 성난 말의 직계후손은 없다.[9] 진짜로 커스터가 오는 곳을 제외한 모든 맵 가장자리에서 병력이 나타난다. 미니맵에 지원군 도착이 뜨는 것만 봐도 멋지다![10] 고증 문제도 있거니와 일부 원주민 부족들이 성난 말의 상업적 캐릭터화를 원치 않았기 때문에 결국 삭제되었다고 한다.[11] 유닛 자체는 시나리오 에디터를 이용해보면 더미 데이터로 남아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