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3 15:52:35

캐딜락 하우스

파일:제너럴 모터스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000,#e5e5e5
지배 구조
블랙록9.0%뱅가드그룹7.9%캐피탈 그룹5.6%
주요 인물
윌리엄 C. 듀런트(창업주)로저 스미스(전 회장)밥 루츠(전 부회장)메리 배라(CEO)릭 왜고너(전 회장)닉 라일리(GM유럽 전 사장)어빈 리비츠키(디자이너)알프레드 슬론(전 회장)피트 에스테스(전 CEO)토머스 미즐리(엔지니어)
계열사 ・ 사업부
브랜드 쉐보레뷰익캐딜락GMC우링바오준
고성능 사업부 쉐보레 퍼포먼스캐딜락 V-시리즈뷰익 그랜 스포트HSV폐지T-타입폐지
자동차 전시장 캐딜락 하우스더 하우스 오브 GM폐지쉐보레 테마 라운지폐지쉐보레-새턴 오브 할렘폐지테스트 트랙폐지
설계 및 연구 개발 센터 GM 디자인제너럴 모터스 테크니컬 센터제너럴 모터스 프루빙 그라운즈
부품 제조사 AC델코DMAX얼티엄 셀즈 LLC
방위산업체 GM 디펜스GM 컴포넨츠 홀딩스
안전 페리스코프
물류 GM 인증 서비스GM 에너지GM 엔볼브
서비스 크루즈온스타GM 파이낸셜
해외 자회사 캐딜락 유럽쉐보레 유럽폐지제너럴 모터스 이집트제너럴 모터스 아르헨티나제너럴 모터스 도 브라질제너럴 모터스 오브 캐나다제너럴 모터스 데 칠레제너럴 모터스 콜모터레스콜롬비아제너럴 모터스 OBB에콰도르제너럴 모터스 데 멕시코제너럴 모터스 뉴질랜드SAIC-GM-우링 자동차 인도네시아GM 베트남폐지GM 차이나(더 듀런트 길드중국)GM 재팬(GM 쉐보레점일본)GM 한국사업장GMSV마그레빈 기계 공업튀니지
합작사 우즈오토 모터스얼티엄 셀즈 LLC상하이-GM상하이-GM 우링바오준PATAC
폐지된 브랜드 브라이트드롭새턴허머폰티악알페온GM대우홀덴지오올즈모빌셰리단라살마르퀘테엔보이패스포트아스나스테이츠맨버몬트아카디안라피드베드포드
폐지된 계열사 제너럴 모터스 항공 운송
폐지된 합작사 DMAX(1997~2022)FAW-GM(2009~2019)진베이 GMGM코리아(1972~1976)새한자동차(1978~1982)대우자동차(1983~1991)NUMMI(1984~2010)UAAI(1987~1996)CAMI(1989~2009)GM-아브토바즈(2001-2019)
}}}}}}}}}}}} ||


1. 개요2. 상세
2.1. 미국
2.1.1. 뉴욕(운영 종료)2.1.2. 미시간
2.2. 독일(뮌헨, 운영 종료)2.3. 대한민국(서울, 운영 종료)2.4. 중국(상하이)

1. 개요

제너럴 모터스 산하의 프리미엄 브랜드 캐딜락이 운영하는 브랜드 체험 공간으로, 캐딜락의 판매량 대부분을 책임지는 주요 판매 3개국[1]독일 등에 설치된 바 있다. 현재는 미국과 중국 등 일부 국가에만 남아 있는 상태.

2. 상세

2016년 뉴욕에 첫 개관한 후 뮌헨, 서울, 상하이 등에도 오픈했으나 현재는 일부만 운영 중이다. 캐딜락의 브랜드 체험 공간으로서, 평상시엔 방문객들이 캐딜락 브랜드와 차량을 직접 경험해보고, 시승해볼 수 있는 형태로 운영되다가 신차 출시가 있을 땐 미디어 행사에 사용되기도 했다.

2.1. 미국

2.1.1. 뉴욕(운영 종료)

파일:캐딜락하우스SOHO.jpg 파일:캐딜락하우스.jpg
2016년 5월 23일에 개관이 공식화되었다. 캐딜락의 첫 브랜드 체험 공간으로, 차량 전시와 시승은 물론 아트 갤러리, 카페 프로그램까지 운영했다. 건축물의 디자인 자체는 현대자동차 LA 사옥의 디자인을 맡기도 했던 젠슬러(Gensler) 사에서 진행했다.

뉴욕에 위치한 이유는 요한 드 나이슨 사장 체제 하에서 캐딜락을 BMW 등과 견줄 수 있는 글로벌 프리미엄 브랜드로 체질개선을 시도했기 때문인데, 이 때 당시 캐딜락 하우스 뿐만 아니라 캐딜락 본사 자체도 아예 뉴욕으로 옮겨온 상황이었다. 물론 결과적으로 이 계획이 실패함에 따라 또 한 번 리브랜딩을 진행해야했고, 2018년, 미시간으로의 이동을 선언하며 캐딜락 하우스 뉴욕이 어떻게 처리될지 관심을 끌었었다. 당시 요한 드 나이슨 사장은 캐딜락 하우스 뉴욕을 계속 남겨 뉴욕에서 캐딜락 브랜드의 존재감을 유지시키기 위한 브랜드 체험센터로 운영하겠다 했으나, 요한 드 나이슨 사장이 퇴임한지 딱 1년이 지난 2019년 4월, 미시간으로의 회귀와 함께 캐딜락 하우스 뉴욕도 문을 닫았다.[2]

2.1.2. 미시간

파일:Cadillac-House-Vanderbilt-Press-Photos-Exterior-002-1024x455.jpg 파일:Cadillac-House-Vanderbilt-Press-Photos-Interior-003-1024x455.jpg
뉴욕에서 옮겨온 곳이 바로 이곳이다. 미시간주 워렌에 위치한 GM 테크니컬 센터 캠퍼스에 있으며, 기존의 캐딜락 하우스와 달리 실제 캐딜락 고객들을 초청해 차량의 맞춤형 커미션 경험을 제공하는 곳이다. 롤스로이스, 벤틀리 등의 하이엔드 차량을 구매할 때처럼 비스포크 선택지를 조합하는 곳이라고 이해하면 편하다. 이로 인해 일반인의 방문도 환영하던 이전과 달리 캐딜락의 대형 전기 플래그십 세단인 셀레스틱 고객들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2.2. 독일(뮌헨, 운영 종료)

파일:Screenshot_20230427-172555_(1).png 파일:Screenshot_20230427-171929_(1).png
2017년 7월에 오픈한 두 번째 캐딜락 하우스이다. 캐딜락을 중심으로 설정한 GM의 전면적인 유럽 재공략 전략에 따라 CT6와 XT5를 앞세워 캐딜락의 유럽 판매를 진행했는데, 이 때 독일을 거점으로 삼기로 한지라 뮌헨에 자사의 브랜드 공간을 설립했다고 한다.참고로 뮌헨은 이 회사의 본사 소재지이기도 하다.

당시 유럽에 판매하던 CT6, XT5 등의 신차 행사와 전시를 진행했으며, 가구 브랜드와 협업한 전시 등 현지 소비자들의 취향에 맞춘 여러 전시 프로그램을 위주로 운영되었다. 개관 후 한달 동안 17,000여명의 방문객을 끌어들였다고 하며, 유럽 현지의 올드 캐딜락 오너에게 특별한 경험을 선사해주기도 했다. 다만 그 효과가 영 신통치 않았던데다 이후 캐딜락이 XT4 한 차량만 남긴채 사실상 유럽 철수를 단행함에 따라 캐딜락 하우스 뮌헨 역시 사라지게 되었다.

여담으로 당시 유럽에서 공식적으론 쉐보레가 철수한 상태였기 때문에 '캐딜락' 하우스이지만 카마로, 콜벳 등의 쉐보레 차량 전시도 병행했다.

2023년, 캐딜락 유럽 지사가 유럽 시장에 리릭을 앞세워 재진출 하면서 현재는 스위스 취리히에 위치한 캐딜락 시티 익스피리언스 센터가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2.3. 대한민국(서울, 운영 종료)

파일:20211014201559960bhma.jpg 파일:e7d71358bf360c35982f1392d1ae7c28.jpg
뉴욕에 첫 캐딜락 하우스가 오픈한 이후 두 번째 캐딜락 하우스로 상하이가 낙점되었다는 루머가 떠돌던 가운데, 뜬금 없이 2017년 8월 24일 대한민국 서울에 개관 했다. 아시아 최초의 캐딜락 하우스로서 초반에 상당한 관심을 끌었는데, 상하이보다 앞서 오픈한 것은 당시 CT6XT5를 필두로 캐딜락의 국내 판매량이 눈에 띄게 상승했기 때문이란 평이 많다. GM 내부적으로도 한국 시장에 많은 관심을 쏟고 있다는 것을 드러낸 셈. 초기엔 8월 24일부터 9월 17일까지 25일간 팝업 스토어 형식으로 운영되다 이후 상설 전시로 변경되었고 위치도 논현동에서 신사동으로 이동했다.

인천 영종도에 위치한 BMW 드라이빙 센터에 이어 국내에서 두 번째로 마련된 해외 프리미엄 브랜드의 브랜드 체험 공간이란 의의도 지니고 있다.[3][4] 위치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 224.

CT6 페이스리프트, CT5, CT4, XT6, XT4 등 다양한 캐딜락 차량의 국내 출시가 바로 이곳에서 이루어졌다.[5]

2021년 7월, 5세대 에스컬레이드의 출시 행사를 마지막으로 운영이 종료되었다. 운영을 시작한지 4년이 채 지나지 않은 시점에 문을 닫은 것인데, 이후 캐딜락 코리아가 밝히길 자체 통계 기준 누적 방문객이 56,000여 명에 불과했다고 한다.[6] 고정비용 지출 상승[7], 비용 대비 부실한 마케팅 효과에 코로나19사태까지 겹쳐 문을 닫았다. 이후 한동안 팝업 스토어로 캐딜락 하우스 서울의 역할을 대체했으며, 2023년 5월, GM 한국사업장이 쉐보레, 캐딜락, GMC 브랜드의 통합 브랜드 하우스인 더 하우스 오브 지엠의 개관 소식을 알리며 국내에선 사실상 이곳이 명맥을 잇게 되었으나, 이곳 역시 2025년 2월 9일을 마지막으로 운영을 종료했다.

2.4. 중국(상하이)

파일:Cadillac-House-Shanghai-001-1024x576.jpg 파일:Cadillac-House-Shanghai-002-1024x576.jpg
2017년 하반기에 개장하였다. 미시건에 위치한 캐딜락 하우스와 함께 가장 큰 크기를 지니고 있으며, SAIC-GM의 현지 캐딜락 공장 건너편에 위치해 있다.

캐딜락 하우스 가운데 가장 많은 볼거리를 지닌 곳이라 봐도 무방한데, 건물 위치의 장점을 살려 캐딜락 고객 방문 시 아예 자신의 차량이 공장에서 제작되는 것을 볼 수 있게 만들어놓았으며, 이후 외부의 분수대에서 차량을 인도받을 수 있다. 건물의 1층엔 멀티미디어 공간이 위치해 있으며, 2층엔 캐딜락 브랜드를 드러내는 100여 곡의 음악을 청취할 수 있는 공간이, 3층엔 프라이빗 라운지가 마련되어 있다.


[1] 미국, 중국, 대한민국[2] 사실 캐딜락이 굳이 뉴욕으로 간 배경에는 요한 드 나이슨 사장의 개인 의견 외에도 캐딜락이 경쟁상대로 지목했던 BMW 등에서 이직해온 이들의 입김이 강했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당시 CMO였던 Uwe Ellinghaus만 해도 BMW에서 20년 경력을 가졌을 정도.[3] 물론 건물의 입지를 비롯, 여러 가지를 고려했을 때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닌 BMW 드라이빙 센터보다 그 구성이 옹졸하긴 하다. 특히 시승 프로그램에서 많은 차이가 존재한다.[4] 시승 가능한 차량의 수도 적다. 물론 이후 에스컬레이드, CT6, XT5가 시승차로 투입되며 사정이 나아지긴 했다.[5] 개관 이후 전시 차량들은 ATS, CTS, CTS-V, CT4, CT5, CT6, XT4, XT5, XT6, 에스컬레이드 등으로, 사실상 캐딜락 전차종 라인업이 이곳을 거쳐갔다. 심지어는 컨셉트카인 에스칼라의 전시도 이루어졌다.[6] 이는 내부적으로 상당히 처참한 수치였던 것이, 캐딜락 코리아가 캐딜락 하우스 서울의 운영 중단 이후 1년 만에 처음으로 센트럴시티에 CT5-V 블랙윙의 출시와 함께 팝업스토어 전시를 진행했었는데, 단 4일 동안의 전시였음에도 불구하고 20,000명이 몰렸다(...)[7] DMCC 빌딩의 한개층 임대료(전용면적 73평 , 지난해 기준)는 600만원이다. 관리비 250만원에 보증금 1억원이다. 2개층을 캐딜락 하우스 서울로 꾸민 캐딜락 코리아는 연간 최소 2억원 이상의 고정 비용을 지출했을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