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밀로회 설립자 및 초대 총장 | ||||||
| ||||||
<colbgcolor=#242021,#242021><colcolor=#bf623e,#bf623e> 출생 | 1550년 5월 25일 | |||||
나폴리 왕국 키에티 부키아니코 | ||||||
사망 | 1614년 7월 14일 (향년 64세) | |||||
교황령 로마 | ||||||
직업 | 성직자(사제), 수도자, 간병인, 군인 | |||||
종교 | 가톨릭 | |||||
소속 | 가밀로회 | |||||
사제 수품 | 1584년 5월 20일 | |||||
잉글랜드 왕국 웨일스 토머스 골드웰 주교 주례 | ||||||
재임 기간 | 초대 가밀로회 총장 | |||||
1591년 12월 7일~1607년 3월 18일 | ||||||
역임 직책 | ||||||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역대 가밀로회 총장 | |||||
– | ← | 초대 | → | 2대 | ||
– | 카밀로 데 렐리스 (1591년~1607년) | 비아조 오페르티스 (1607년~1613년) |
성인 정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242021,#242021><colcolor=#bf623e,#bf623e> 성인명 | 한국어: 가밀로 데 렐리스
| |
시복 | 1742년 4월 7일 | ||
교황령 로마 교황 베네딕토 14세 주례 | |||
시성 | 1746년 6월 29일 | ||
교황령 로마 교황 베네딕토 14세 주례 | |||
묘지 | 산타 마리아 마달레나 성당 | ||
상징 | 수단, 십자고상, 적십자, 책, 환자 | ||
축일 | 7월 14일 | ||
수호 | 환자, 간호사, 의사, 병원 |
1. 개요
이탈리아의 사제, 수도자, 간병인, 그리고 군인. 이탈리아어 본명은 '카밀로 데 렐리스'이며, 한국에서는 가톨릭교회 측에서 표기하는 이름인 '가밀로 데 렐리스'로 일컬어진다.당시 열악한 의료 시스템으로 고통을 받는 환자들이 우후죽순 늘어나는 현실을 체감한 그는 가밀로회의 설립자이자 초대 총장으로서 훗날 국제 구호 활동의 상징이 되는 붉은 십자가 문양을 창안하고, 이들이 안전한 장소에서 제대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전면적인 의료 봉사 활동을 펼쳤다. 그는 세상을 떠날 때까지 이탈리아 곳곳을 직접 돌아다니면서 전쟁, 전염병, 기근 등으로 힘겨워하는 환자들을 정성껏 보살피고 지원을 했으며, 일부 주요 병원들을 방문해 시설 환경이 온전히 유지되고 있는지에 대한 감찰을 진행하기도 했다. 이러한 공로에 따라 현재 그는 구호 활동의 선구자적인 인물 중 하나로 손꼽힌다.
가톨릭에서는 렐리스를 성인으로 공경하고 있다. 축일은 7월 14일이다.
2. 사후 공경
카밀로 데 렐리스는 1742년 4월 7일 교황 베네딕토 14세에 의해 시복되었고, 그로부터 약 4년이 지난 1746년 6월 29일 동일한 교황에 의해 시성되었다. 시성된 지 얼마 안 되었을 때 렐리스의 축일은 그가 세상을 떠난 당일로부터 나흘 뒤인 7월 18일로 지정되었으나, 이후 1969년 전례력 개정으로 기일인 7월 14일로 변경되었다.1886년 렐리스는 교황 레오 13세에 의해 병원과 환자의 수호성인으로 선포되었고, 시간이 흘러 1930년에는 교황 비오 11세에 의해 또 다른 가톨릭 성인인 천주의 요한과 더불어 간호사의 공동 수호성인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