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19 20:03:17

카메하메하 1세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카메하메하 1세 카메하메하 2세 카메하메하 3세 카메하메하 4세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카메하메하 5세 루날릴로 칼라카우아 릴리우오칼라니 }}}}}}}}}
<colbgcolor=#A60D0D><colcolor=#ffffff> 초대 하와이 국왕
카메하메하 1세
Kamehameha 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49px-Kamehameha_I.png
이름 칼라니 파이에아 우히 오 칼레이키니 케알리쿠이 카메하메하 오 이올라니 이 카이위카푸 카우이 카 리호리호 쿠누이아케아
(Kalani Paiʻea Wohi o Kaleikini Kealiʻikui Kamehameha o ʻIolani i Kaiwikapu kauʻi Ka Liholiho Kūnuiākea)
출생 1758년
하와이 코할라
(현 미국 하와이 주 코할라)
사망 1819년 5월 8일 (향년 60 ~ 61세)
하와이 왕국 카일루아코나
(현 미국 하와이 주 카일루아-코나)
재위 하와이 왕국의 왕
1782년 ~ 1819년 5월 8일

1. 개요2. 생애3. 기타4. 가계5. 대중매체에서

1. 개요

하와이 왕국의 초대 왕이며, 하와이의 아버지로 여겨지는 인물이다.

카라니 파이에아 우히 오 카레이키니 케알리쿠이 카메하메하 오 이올라니 이 카이위카푸 카우이 카 리호리호 쿠누이아케아(Kalani Paiʻea Wohi o Kaleikini Kealiʻikui Kamehameha o ʻIolani i Kaiwikapu kauʻi Ka Liholiho Kūnuiākea).

2. 생애

전설에 따르면 하늘에서 깃털 같은 빛줄기가 그의 탄생을 예고했다고 하며, 처음의 이름은 파이에아.

어릴 때 전쟁 중이던 부족의 추적을 받아 와이피오 밸리[1]로 숨었으며, 그곳에서 나온 후에는 카메하메하로 불렸다.[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Naha_Stone%2C_Hilo.jpg
하와이에는 나하 스톤(Naha Stone)이라는 선돌이 있다,[3] 당시 하와이에는 이 돌을 움직일 힘이 있는 자가 하와이 제도를 통치할 것이라는 전설이 전해지는데, 카메하메하는 14살에 2.5톤에서 3.5톤 사이로 추정되는 나하 스톤을 움직였다고 한다.

1778년에 제임스 쿡하와이로 갔을때, 카메하메하는 쿡의 도움을 받아 마우이 섬의 이아오 밸리, 오아후(O'ahu) 섬의 누우아누 팔리 등에서 부족 간의 전쟁에서 승리를 했으며, 1795년에 오아후 섬을 정복해 마우이 섬을 수도로 세워 하와이 왕국을 세웠다.

1810년에 카우아이의 군주 카우무알리이를 굴복시켜 하와이를 통일했으며, 말년은 자신의 고향인 카일루아 코나에서 보냈다고 한다.

3. 기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89px-Kamehameha_I_full_5110.png* 하와이의 상징 중 하나인 이 카메하메하 동상이 하와이 대법원 앞에 있는 이유가 바로 '부러진 노의 법' 때문이라고 한다. 하와이 파이브 오 오프닝에도 등장하는 등 하와이의 랜드마크격인 동상. 동물의 숲 시리즈에도 '위대한 조각'이라는 이름의 미술품으로 등장. 하지만 실제 카메하메하 1세는 이 동상과 닮지 않았을 것이다. 이 동상은 1878년 하와이 왕국 내각 일원인 월터 머레이 깁슨이 제임스 쿡의 하와이 상륙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피렌체에 사는 미국인 조각가 토마스 리지웨이 굴드에게 무려 1만 달러[5]를 주면서 제작을 요청한 것이다. 그때는 카메하메하 대왕이 죽은 지 한참 뒤인 데다가 그의 모습에 대한 어떤 것도 남아있지 않았던 지라 그나마 고증이라도 맞추려고 폴리네시아인 여러 명의 사진을 보내어 모델로 삼게 했다. 그러나 이탈리아에서 로마 조각을 배우던 굴드는 자세나 창을 든 모습을 로마 장군처럼 만들어 버리는 바람에 실제 카메하메하 대왕과는 완전 동떨어진 모습이 되어버렸다. 자세야 누구나 그렇게 취할 수 있고 폴리네시아 문명권에도 당연히 창이 있었으므로 그건 그렇다 쳐도 얼굴형마저도 그리스-로마 인의 얼굴 특징을 차용하는 우를 범했다.[6]위키피디아 페이지 참고.
이 동상은 총 세 개가 존재한다. 동상을 다 만들어 하와이로 운송하던 중에 배가 침몰해서 분실하는 사태가 터졌는데, 다행히 보험을 들어놔서 보험료로 새로운 동상을 제작했다. 그런데 그게 하와이로 오기 전에 분실했던 동상을 용케 회수하는 데 성공했다. 그래서 회수한 동상을 카메하메하 대왕의 생가에 세워지고, 나중에 도착한 두번째 동상은 하와이 대법원 앞에 세워놨다. 그리고 후에 하와이의 주(州) 승격을 기념하기 위해 세 번째 동상이 발주되어 미국 국회의사당에도 들어가게 된다.

4. 가계

5. 대중매체에서



[1] 하와이 본섬 북부의 계곡[2] 카메하메하라는 이름은 '외로운 자'라는 뜻이 있다고 한다.[3] 지금도 힐로 도서관 앞에 있다.[4] Law of the Splintered Paddle, 부러진 노의 법[5] 2013년 기준 약 30만 달러[6] 그래도 폴리네시아 어부 형제의 모습을 반영하긴 했다고 한다.[7] 카메하메하 1세가 본토의 조지 워싱턴과 같은 대우를 받는 인물임을 감안하면 여러모로 시사하는 바가 있다. 조지 워싱턴의 경우에도 그 이름이 미 해군 최초의 SSBN이자 세계 최초의 SSBN이었던 조지 워싱턴급 잠수함에 붙은 바가 있다.[8] 이 말의 마주가 하와이에서 호텔과 골프장을 몇 개 소유하고 있기에 붙여진 이름이다.[9] 다만 하와이계가 아닌 사모아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