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구성국 | ||||||||||||
| {{{#!wiki style="color: #FFD700; 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letter-spacing: -0.6px; word-break: keep-all" | 러시아 | 우크라이나 | 벨로루시 | |||||||||
| 리투아니아 | 라트비아 | 에스토니아 | ||||||||||
| 카자흐 | 우즈베크 | 타지크 | ||||||||||
| 키르기스 | 투르크멘 | 아르메니아 | ||||||||||
| 그루지야 | 아제르바이잔 | 몰도바 | ||||||||||
| 해체된 구성국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카렐리야-핀란드 | ||||||||||
| 위성국 · 괴뢰국 | }}}}}}}}} | |||||||||||
|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Karjalas-Suomelaine sosialistine nevvostotazavaldu[1] Karjalais-suomalainen sosialistinen neuvostotasavalta[2] Карело-Финская Советская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ая Республика Karelo-Finnish Soviet Socialist Republic | ||
| | | |
| 국기 | 국장 | |
|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Kaikkien maiden proletaarit, liittykää yhteen! | ||
| | ||
| 1940년 8월 7일 ~ 1956년 7월 16일 | ||
| 성립 이전 | 해체 이후 | |
| 핀란드 민주 공화국 | 러시아 SFSR 레닌그라드주 | |
| 러시아 SFSR 카렐리야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러시아 SFSR 무르만스크주 | |
| 러시아 SFSR 카렐리야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
| 국가 |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 | |
| 위치 | 북유럽 | |
| 수도 | 페트로자보츠크 | |
| 정치 체제 | 일당제 | |
| 국가원수 | 서기장 | |
| 언어 | 카렐어, 핀란드어, 러시아어 | |
| 민족 | 카렐인, 핀란드인, 러시아인 | |
| 종교 | 국가 무신론 | |
| 통화 | 소련 루블 | |
1. 개요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1940년부터 1956년까지 존재했던 소련의 구성 공화국이다. 수도는 페트로자보츠크였으며 인구가 가장 적었던 구성 공화국이었다. 카렐인과 핀인은 이 공화국에서 10% 미만이었다고 한다.2. 상징
2.1. 국기
| |
| 1940년 6월 9일 ~ 1953년 9월 1일 |
| |
| 1953년 9월 1일 ~ 1956년 8월 20일 |
2.2. 국장
| |
| 1940년 2월 10일 ~ 1956년 8월 20일 |
3. 역사
1917년 러시아 혁명이 발발하면서 러시아 제국에 속해있던 나라들은 러시아로부터 독립할 기회를 얻게 되었다. 핀란드 역시 러시아 제국의 통치를 받고 있던 영토 중 하나였으며, 신생 러시아 공화국의 지원을 받는 적군과 러시아로부터 독립하자는 백군이 대립, 백군이 승리하면서 러시아로부터 독립한다. 이 과정에서 내전에서 패배한 핀란드 공산주의자들이 러시아로 망명하게 되었다.1939년 소련은 나치 독일과 불가침조약을 맺으면서 양측이 옛날 잃었던 영토를 서로 합병하는 것에 승인했다. 즉, 땅을 나눠먹었다는 뜻이다. 이 조약으로 독일은 폴란드의 독일 땅을 다시 회복할 수 있었으며, 소련은 러시아 제국 시절 영토였던 폴란드 가운데 동부와 발트 3국, 베사라비아(지금의 몰도바)를 다시 소련 소속에 병합할 수 있었고, 핀란드까지도 소련 걸로 합의되었기에 핀란드까지 먹으려는 시도로 겨울전쟁을 일으킨다.
1940년 8월 7일 핀란드의 공산주의자들이 카렐리야에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세웠다. 원래 소련은 이 공화국을 정부로 인정하고 핀란드를 병합하려고 했으나, 겨울전쟁의 장기화로 포기한다. 대신, 여기서 대가로 얻은 핀란드 민주 공화국의 땅을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병합시키는 것으로 끝낸다.
1956년 7월 16일 카렐리야-핀란드 공화국은 카렐리야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에 흡수된다. 핀란드가 친소정책(핀란드화)을 취해 소련과 핀란드가 친해지면서 핀란드를 의식한 것이기도 하고, 또 이 카렐리야-핀란드 SSR 자체가 핀란드 전체를 병합하고자 억지로 만든 행정구역이라는 문제점 때문이기도 하다.[3] 이름은 카렐리야-핀란드이지만 정작 인구 대다수는 러시아인에다가 핀란드 땅은 얼마 차지하지도 못했으니 이런 행정구역을 구태여 유지할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그 와중에 비보르크와 같은 당시의 대도시를 포함한 일부 영토를 레닌그라드주에 편입시킨다.
1991년 12월 26일 소련이 해체되고, 카렐리야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러시아 연방의 카렐리야 공화국으로 남게 된다.
|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구성국의 역사 | ||||||
| {{{#!wiki style="color: #FFD700; 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letter-spacing: -0.6px; word-break: keep-all" | 러시아 원년 ~ 1936년 | 러시아 1936년 ~ 1993년 | ||||
| 카자흐 1936년 ~ 1991년 | ||||||
| 키르기스 1936년 ~ 1991년 | ||||||
| 호라즘✝︎ 원년 ~ 1925년 | 투르크멘 1925년 ~ 1991년 | |||||
| 부하라✝︎ 원년 ~ 1925년 | 우즈베크 1924년 ~ 1929년 | 우즈베크 1929년 ~ 1991년 | ||||
| 타지크 1929년 ~ 1991년 | ||||||
| 우크라이나 원년 ~ 1940년 | 우크라이나 1940년 ~ 1991년 | |||||
| 몰도바 1940년 ~ 1991년 | ||||||
| 벨로루시 원년 ~ 1991년 | ||||||
| 자캅카스 원년 ~ 1936년 | 그루지야 1936년 ~ 1991년 | |||||
| 아제르바이잔 1936년 ~ 1991년 | ||||||
| 아르메니아 1936년 ~ 1991년 | ||||||
| - | 리투아니아 1940년 ~ 1990년 | |||||
| 라트비아 1940년 ~ 1991년 | ||||||
| 에스토니아 1940년 ~ 1991년 | ||||||
| 카렐리야-핀란드 1940년 ~ 1956년 | 러시아로 병합 | |||||
| ✝︎: 부하라 SSR과 화레즘 SSR은 소련 성립 당시 구성국이 아니었으며 부하라는 1924년 2월 17일, 화레즘은 1924년 10월 27일에 가입하였다. | ||||||
4. 역대 카렐리야 공산당 제1서기장
- 니콜라이 소로킨: 1940년 8월 7일부터 1947년 4월 15일까지 집권.
- 아돌프 타이미: 1947년 4월 15일부터 1955년까지 집권.
- 요하네스 소기야이넨: 1955년부터 1956년까지 집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