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6 22:40:11

체스트버스터

체스트 버스터에서 넘어옴
에이리언 시리즈의 등장인물
체스트버스터
Chestburster
【유혈주의】
파일:alien1-bluray-311.jpg
2122년 시점[1]
본명 제노모프 XX121
Xenomorph XX121
이명 체스트버스터 (Chestburster)[2]
성별 자웅동체[3]
종족 에이리언
소속 LV-426 외계 우주선 (엔지니어 계통)[4]
행성 4 데이빗 8의 연구실 (데이빗 8 계통)
클래스 3단계[5]
숙주 살아있는 유기체[6]

1. 개요2. 특징3. 디자인
3.1. 에이리언 시리즈 캐넌
3.1.1. 일반계(인간 숙주)3.1.2. 하이브리드계(인간 외 생명체 숙주)
3.2. 에이리언 시리즈 논캐넌
3.2.1. 일반계(인간 숙주)3.2.2. 하이브리드계(인간 외 생명체 숙주)
4. 기타

[clearfix]

1. 개요

【유혈주의】
||<tablewidth=6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282f37><tablebgcolor=#282f37><bgcolor=#282f37>
파일:alien1-still-145.jpg
||
체스트버스터

페이스 허거가 숙주의 체내에 관을 넣어 플라기아루스 프라에포텐스(Plagiarus praepotens)를 주입 후 숙주의 DNA와 융합하여 탄생되는 에이리언유충이다.

유혈주의[7]

2. 특징

2.1. 에이리언 시리즈 캐넌

에일리언 커버넌트에서의 체스트버스터 테마 곡. 공포스러운 존재인 동시에 (누군가에겐) 아름다운 존재라는 개념을 잘 표현했다.

1979년 12월 에이리언 1의 공식 비하인드 더 씬 책 The Officially Authorized Magazine of the Movie Alien에 의하면 "체스트 버스터(Chest Burster)" 혹은 "체스트-버스터(Chest-Burster)"라고 불렸다. 이후 2019년 에이리언 시리즈 캐넌 작품 Alien RPG Core Rulebook 305쪽에서 "체스트버스터(Chestburster)"라고 불렀다. Chestburster(흉부파괴자 혹은 가슴을 뚫고 나오는 놈)을 의미한다.

작중 인물들의 경우 해당 명칭으로 부르지 않는데, 이것만 보면 비명만 지르거나(...) 자기 쪽으로 달려들까 긴장만 하지, 딱히 이렇다 할 호칭으로[8] 부르거나 언급하지 않는다.
파일:alien1-bluray-227.jpg
숙주의 체내에서 성장하는 체스트버스터
기괴한 연출이 많은 에일리언 시리즈 중에서도 가장 독보적인 비주얼 쇼크[9]를 선사하는 존재이다.

본래 페이스허거가 체스트버스터의 배아를 숙주의 몸에 주입하면 자라난다는 설정이었지만 2018년에 Alien: The Cold Forge라는 캐넌 소설이 나오면서 설정이 바뀌었는데, 페이스허거가 숙주에다 플라기아루스 프라에포텐스(Plagiarus praepotens)[10]를 관을 통해서 숙주의 체내에 주입한다. 해당 물질이 숙주의 체내로 주입되면 숙주 세포의 화학유전적 구조 조정을 가져오며 DNA와 융합해 체스트버스터를 세포 단위로 구축한다고 한다. 그렇게 숙주의 유전물질을 토대로 체스트버스터가 생성되는 과정에서 숙주의 특성에 영향을 받아 숙주의 유전 코드의 10~15%를 복제한다고.

제노모프의 생애 중에 작고 연약한 시기이며, 숙주의 복부에 종양처럼 들러붙어 숙주의 영양분, 습성, 능력 등을 흡수하며 성장하다 비좁아졌다 싶으면 밖으로 나오려고 마구잡이로 몸부림치는데, 이 때 심장이나 폐 등 주변 장기들에게도 큰 손상[11]이 간다. 그리고 이에 따른 격렬한 고통에 숙주는 반광란 상태로 날뛰는데,[12] 결국엔 숙주의 가슴[13]에 큰 구멍을 뚫고 나온 뒤 혼란을 틈 타 눈에 띄지 않는 곳으로 도망친다.
파일:alien1-bluray-363.jpg
체스트버스터의 허물
이후 은신하다가 최소 몆 시간 뒤에 성장해 사람보다 몇배는 더 큰 성체가 되어 다시 나타난다. 유충의 생김새는 시리즈마다 각양각색이지만 일반적으로 뱀 같은 모습이다. 어떻게 그렇게 단시간에 빨리 성장하는지는 아무도 모르지만...[14] 게임 에일리언 VS 프레데터를 통해 밝혀진 바로는 사람이나 프레데터의 눈을 피해 돌아다니면서 곤충이나 작은 포유류, 시체 등을 먹어치우며 몸집을 불리는 것 같다. 다만 원작영화 1편의 USCSS 노스트로모에선 유충이 섭취할 만한건 딱히 없을 뿐더러,[15] 케인의 시체도 승무원들이 우주로 사출해서 마찬가지로 접근 불가능했기 때문에 그냥 가만히 있으면서 성장을 이룬 모양이다. 이후 후술할 페데 알바레즈의 인터뷰에서 그 이유가 밝혀졌다.

그리고 4편에서 엘렌 리플리와 함께 복제된 체스트버스터를 적출하는 장면으로 페이스 허거에 의해 유충이 심어진 상태라도 뛰쳐나오기 전에 수술로 적출하면 생존이 가능함이 입증되었다. 하지만 문제는 역대 에일리언 시리즈 내내 숙주들은 항상 적기에 수술이나 동면 장치[16]에 들어가지 못하여 이게 실현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대체로 에일리언이 뭔지도 몰랐거나, 알아도 주변에 마땅한 시설이나 도구가 없다는[17] 등의 이유로 사망 플래그 마냥 죽어나갔고, 상기한 4편의 복제 리플리만이 유일하게 이런 식으로 살아남은 케이스.

만약에 숙주가 초재생능력이 있다면 체스트 버스터가 뚫고 나와도 생존할 여지가 있겠지만 시리즈에서 그런 능력을 보유한 존재는 아직까지도 전무하다. 하지만 비정사인 이벤트성 크로스오버 작품에선 간혹 나오곤 했는데, 예를 들어 흡혈귀뱀피렐라는 몸 속에 심어진 체스트버스터가 그녀의 가슴을 뚫고 나왔음에도 흡혈을 통한 초재생능력 덕분에 살아남았다.

또한 몇몇 게임에선 해당 작품 한정으로 숙주를 조종하는 능력도 있는 걸로 묘사됐는데, 에일리언 2(코나미)에서 좀비화된 숙주를 조종했다.

프리퀄 프로메테우스에서는 등장하는 페이스 허거부터 사이즈가 장난이 아니라 태어난 녀석도 성장한 에일리언이었다. 다만 블루레이에 실린 삭제장면 중에서 밀번과 파이필드가 체스트버스터의 허물 조각과 똑같은 것을 발견하는 장면이 있다. 이걸 보면 디컨이나 트릴로바이트는 엔지니어나 에일리언 입장에서는 돌연변이인 생명체일 것이다.

에일리언: 커버넌트에서는 페이스 허거에 의한 프로토모프판 체스트버스터와 네오모프에 의한 백 버스터와 마우스 버스터도 나온다. 둘 다 성체 모습과 흡사하다.
“Actually, I haven’t talked about this to anybody, but when you look at the footage, you will see that the cocoon is actually kind of spreaded into the ship and the tubes and the electricity and a lot of the energy and things are kind of turned into the cocoon. If you look at the wall you don’t know when the ship ends and the cocoon starts. Because I thought, where is the creature taking all its energy and matter to become so big quickly?”
에이리언: 로물루스에선 감독인 페데 알바레즈의 인터뷰를 통해 체스트버스터가 고치를 만들며, 체스트버스터가 단시간만에 성체로 성장하는 이유와 성체의 외피가 바이오메커니컬한 이유가 밝혀졌다.# 알바레즈에 따르면 체스트버스터는 고치를 만들면서 전선과 연결되어 성장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확보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체스트버스터는 파이프 사이에 숨으며, 그에 따라 성체의 외피는 파이프가 많은 곳에 숨기 적합한 형태로 자라난다. 즉, 에이리언은 숙주의 특성을 모방할 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도 모방하고 적응하는 것이다.[18][19]

2.2. 에이리언 시리즈 논캐넌

2010년작 에일리언 vs. 프레데터 게임에서는 감염된 캐릭터의 체스트버스터를 수술로 적출하려고 했다가 카를 비숍 웨이랜드의 방해로 실패했다. 그리고 주인공 넘버 6은 체스트버스터 시절 자신을 가두려고 만들어진 유리관에서 벗어나려고 했다. 거의 탈출할 뻔 했다가 액화질소에 의해 실패했지만 최소한 살아남을 수는 있었다.

에이리언 대 프레데터(캡콤)에선 프레데터를 조종해서 매드 프레데터로 만들었다.

영화 에이리언 VS. 프레데터 2에서는 프레데일리언[20]이 숙주의 입에 입을 갖다대고 체내에 알들을 산란하여 벨리 버스터가 등장하는데 일반적인 체스트버스터와는 달리 가슴이 아닌 배를 찢고 튀어 나온다.

3. 디자인

3.1. 에이리언 시리즈 캐넌

3.1.1. 일반계(인간 숙주)

【유혈주의】
||<tablewidth=6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282f37><tablebgcolor=#282f37><bgcolor=#282f37>
파일:alien1-still-146.jpg
||
체스트버스터

1편. 거의 대부분의 작품에서는 이런 뱀 모양을 택하고 있다.

【유혈주의】
||<tablewidth=6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282f37><tablebgcolor=#282f37><bgcolor=#282f37>
파일:aliens-still-045.jpg
||
체스트버스터(2편)

2편과 식민지 해병대. 프리퀄의 초기형과는 달리 2편과 식민지 해병대에서는 자그마한 팔들이 달려있다.
파일:alien3queenrevealed.jpg
퀸버스터(Queenburster)
에일리언 퀸의 체스트버스터. 공식 명칭은 퀸버스터(Queenburster)이다. [21] 보통의 체스트버스터와 달리 자그마한 부속지가 추가로 달려있다

【유혈주의】
||<tablewidth=6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282f37><tablebgcolor=#282f37><bgcolor=#282f37>
파일:gabriel-beauvais-aliencovenant-itw-11.jpg
||
임프(Imp)

에일리언: 커버넌트에서 등장한 프로토모프 체스트버스터. 공식 명칭은 임프(Imp)이다. [22] 인간을 숙주로 했기에 일반계에 해당하지만, 제노모프 계열 체스트버스터와는 달리 3편의 하이브리드계인 도그 버스터처럼 팔다리가 달려있고 전체적으로 굉장히 매끈한 외피를 하고 있다.

3.1.2. 하이브리드계(인간 외 생명체 숙주)

파일:external/images.wikia.com/ALIEN3_DISC_1-34.png
3편에 등장한 체스트버스터. 공식 명칭은 밤비 버스터(Bambi burster)이다. [23] 개(특별판은 도살된 소의 시체)를 숙주로 하여 튀어나오는데, 체스트버스터 시절부터 팔/다리가 완전히 발달된 상태였다. 일각에서는 성체가 된 에일리언 역시 도그 버스터[24]라고 부른다. 개를 숙주로 한지라 러너의 유충 버전이라 보면 옳을 듯.

3.2. 에이리언 시리즈 논캐넌

3.2.1. 일반계(인간 숙주)

게임 에일리언 vs. 프레데터(2010)의 체스트버스터 모델의 경우 팔과 다리가 조그맣게나마 달려있다.

3.2.2. 하이브리드계(인간 외 생명체 숙주)

파일:BabyalienpredatorMKX.png
프레데일리언 체스트버스터. 하이브리드계 치고 머리가 프레데터를 닮았다는 것 외에는 일반 체스트버스터와 별다른 차이가 없다.
파일:Babyalien&mileenaMKX.png
모탈 컴뱃 X타카탄족 체스트버스터. 다른 체스트버스터들에 비해 입이 찢어져 있고 이빨이 길며 몸체 여기저기서 가시가 나 있다. 그리고 피부가 일반 체스트버스터에 비해 창백한 것 같다. 해당 게임에서 게스트 캐릭터로 참전한 에일리언이 페이탈리티가 아닌 일반 승리를 하면 화면 암전 후 둥지에 끌려온 상대에게서 체스트버스터가 튀어나온다. 재미있게도 숙주가 트레머면 몸이 돌처럼 된 체스트버스터가 나오고, 같은 에일리언이나 밀레나에게서는 날카로운 이빨을 가진 체스트버스터가 나온다. 그외에도 브루탈리티로 알을 소환해 상대에게 페이스 허거가 달라붙게 할 때 나오는 체스트버스터가 있는데, 그야말로 이스터에그 덩어리. 몇몇 캐릭터들은 특이한 체스터 버스터가 튀어 나온다. 그 사레를 들자면 케이노는 머리의 한 쪽이 금속으로 된 놈이, 라이덴은 라이덴의 삿갓을 쓰고 온 몸에서 전기가 흐르는 놈이, 트라이보그도 라이덴과 비슷하게 몸에 전기가 흐르는 놈이 나온다. 쿵 라오는 그 특유의 모자를 쓴 놈이, 에론 블랙은 카우보이 모자를, 서브제로는 언브레이커블 바리에이션처럼 얼음으로 된 마스크를 착용했다. 쟈니 케이지는 선글라스를 쓴 놈이 나오고, 제이슨 부히스는 황당하게도 제이슨 특유의 하키마스크를 한 체스트버스터가 나온다.

4. 기타




[1] 위 사진의 숙주는 토머스 케인.[2] 1979년 12월 에이리언 1의 공식 비하인드 더 씬 책 The Officially Authorized Magazine of the Movie Alien에 의하면 공식 명칭은 "Chest Burster"나 "Chest-Burster"이지만, 이후 작품들에서 많이 쓰이는 영어 정식 명칭은 "Chestburster"이다.[3] 리들리 스콧 감독의 1984년 인터뷰 참고. #[4] 영화 정식 시리즈 기준. 다만 소설, 코믹스, 게임 등 다른 작품들의 경우, LV-426이 아닌 다른 곳에서 엔지니어 계통 체스트버스터가 나오는 경우가 있다.[5] 영어 명칭은 "Stage III." 에이리언 시리즈 캐넌 작품 Alien RPG Core Rulebook 305쪽 참고.[6] 3편 이전까지는 인간 숙주에 한정되어 있었지만, 3편 이후 사실상 합성 인조인간을 제외한 모든 살아있는 유기체를 숙주로 삼을 수 있다고 설정이 확장되었다.[7] 에이리언에서 존 허트 경이 분한 토머스 케인의 몸을 성숙한 체스트버스터가 뚫고 나오는 장면. 충격적인 장면이지만 그래서 유명하다.[8] 있더라도 유충 등으로 돌려 말한다.[9] 숙주를 고통스럽게 죽게 만들고 가슴 한복판에서 피를 튀기며 나온다는 점에서 인간에게 가장 큰 본능적인 혐오와 공포를 불러일으키는 존재이다.[10] Plagiarus praepotens[11] 늑골까지 밖으로 꺾여나올 정도[12] 이 와중에 숙주에게 피해를 입히거나 죽여도 안에 있는 체스트버스터가 무사하다면 의미가 없다. 실제로 4편에서 숙주가 된 희생양은 광란 상태가 되자 권총탄 여러발을 지근거리에서 맞아 일반인이라면 쓰러져 죽어갔을 상황인데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난동을 피웠다.[13] 다만 명칭과는 달리 상황이 여의치 않으면 식도를 타고 입 밖으로 뛰쳐나오기도 한다.[14] 어쩌면 신체 자체가 그 정도로 커지거나 부풀도록 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다.[15] 케인을 덮쳤던 페이스 허거의 시체는 애쉬가 지구로 가져가야 한다며 따로 보관하고 있어서 접근할 수 있었을 리 없다.[16] 숙주와 함께 유충의 활동도 정지시키기 때문.[17] 경우는 다르지만 프로메테우스엘리자베스 쇼는 그나마 웨이랜드용 최첨단 의료기기의 혜택을 받아 적출에 성공했다.[18] 그렇기에 3편에 등장한 러너와 4편에 등장한 복제 제노모프들과 커버넌트에서 등장한 프로토모프의 디자인에서 바이오메커니컬한 요소가 부족한 것은 물론 근본적인 이유는 이전 제노모프들과 숙주나 탄생 과정에서의 차이겠지만 이러한 환경의 영향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19] 단, 이 설명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당장 3편에 나왔던 러너만 해도 환기구 터널의 구덩이 속에서 자라나다가 그 곳을 청소하던 죄수를 죽게 만드는 장면이 나왔는데, 딱히 전선이 연결될 만한 환경이 아니었고 고치 같은 것도 없었다. 팬들 사이의 오래 된 의문점이었던 '말도 안 되는 급격한 성장'에 대한 페데 감독 나름의 대답이라고 생각해야 할 것이다.[20] DVD 코멘터리에서 밝혀지길 프레데일리언은 알주머니를 붙일 정도로 성장하지 않은 퀸이기 때문이다.[21] 에이리언 시리즈 캐넌 작품 Alien RPG Core Rulebook 305쪽 참고.[22] 에이리언 시리즈 캐넌 작품 Alien RPG Core Rulebook 305쪽 참고.[23] 에이리언 시리즈 캐넌 작품 Alien RPG Core Rulebook 305쪽 참고.[24] 다른 이름으로는 러너 또는 도그 에일리언.참고로 페이스 허거와 더불어 봉제인형 캐릭터 상품으로 나온 에일리언이기도 하다.[25] 사실 조금만 생각해보면 알 수 있는 사실이지만 배우의 몸에다 진짜로 체스트버스터를 심었다면 모를까(...) 특수효과를 위해 가짜 몸을 설치하고 준비하는 과정에서 당연히 알 수밖에 없다. 스크린에서야 몸에서 튀어나오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아래엔 목만 내놓은 배우와 인형을 조작할 스태프들이 웅크리고(...) 있었을 것이다.[26] 나중에 프리퀄인 프로메테우스 촬영 당시엔 실제로 페이스허거 역에 해당하는 해머피드의 갑툭튀를 제대로 알려주지 않고 찍었다.[27] 옆의 시고니 위버를 꼭 닮은 엑스트라도 포인트.[28] 사실 말이 패러디지 그대로 빼다박았다. 다만 크기는 체스트버스터 정도지만 성체랑 다름없이 팔다리는 다 달려있다. 원본처럼 뱀같으면 춤을 못 추니...[29] 파일:external/www.chrisrue.com/OneFroggyEvening.jpg 워너 브라더스의 애니메이션 춤추는 개구리 <One Froggy Evening>에 등장하는 개구리가 추던 춤. 롤 유저라면 코그모의 춤을 생각해보면 된다. 졸작 영화 마스크 2에서도 이 애니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