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c1d1f><table bgcolor=#ffffff,#1c1d1f><bgcolor=#ffffff,#1c1d1f> ||
등장인물 · 설정 (천계 · 귀계 · 인간계) |
웹툰 · 드라마 · 오디오 드라마 애니메이션 (1기 · 2기 · 에피소드 · 음악) |
천관사복 天官赐福 | |
<colbgcolor=#a31c00><colcolor=#FFD700> 장르 | BL, 선협 |
원작 | 묵향동후 《천관사복》 |
성우 | 쑤상칭, 진장태강 外 |
연재처 | 마오얼FM ▶1기 ▶2기 ▶3기 |
연재 기간 | 1기: 2022. 07. 15. ~ 2023. 09. 29. 2기: 2024. 05. 26. ~ 2024. 09. 13. 3기: 2025. 03. 21. ~ |
관련 사이트 |
[clearfix]
1. 개요
묵향동후의 BL 소설 《천관사복》을 원작으로 하는 오디오 드라마.2. PV
천관사복 오디오 드라마 공식 PV (영어 자막) |
3. 연재 현황
1기 | 2기 |
3기 | 4기 |
2022년 7월 15일부터 연재를 시작했으나, 2021년 중국 연예계 정풍운동의 영향을 받아 오디오 드라마가 잠시 내려갔었다.
이후 2023년 8월 22일부터 개정판 내용을 바탕으로 연재가 재개되었다. 제작진들에 따르면 총 4기 분량으로 연재될 예정. 표지 일러스트는 Tai가 맡았다.
4. 등장인물
자세한 내용은 천관사복/등장인물 문서 참고하십시오.<rowcolor=#FFD700> 등장인물 | 성우 | ||
[[사련|사련]] | 쑤상칭 | ||
[[화성(천관사복)|화성]] | 진장태강 | ||
<rowcolor=#FFD7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더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어린 화성 | 위밍루(于鸣鹿) | |
[[남풍(천관사복)|남풍]] | 궈하오란 | ||
[[부요|부요]] | 류쓰천 | ||
[[군오|군오]] | 천하오(陈浩) | ||
[[영문(천관사복)|영문]] | 지관린[여상] 정시(郑希)[남상] | ||
[[풍신(천관사복)|풍신]] | 궈하오란 | ||
[[모정|모정]] | 류쓰천 | ||
[[배명|배명]] | 천자헝(陈家恒) | ||
[[배숙(천관사복)|배숙]] | 다오메이쓰러 (倒霉死勒) | ||
[[사무도|사무도]] | 자오이(赵毅) | ||
[[사청현|사청현]] | 첸원칭(钱文青)[남상] 쉬자치(徐佳琦)[여상] | ||
[[명의(천관사복)|명의]] | 펑야오[남상] 샤오미(小米)[여상] | ||
[[우사황|우사황]] | |||
[[낭천추|낭천추]] | 다신(大昕) | ||
[[권일진|권일진]] | 쑨즈청(孙志诚) | ||
[[척용|척용]] | 샤허우뤄펑 (夏侯落枫) | ||
[[백무상(천관사복)|백무상]] | 천하오(陈浩) | ||
[[하현(천관사복)|하현]] | 펑야오 | ||
[[선희(천관사복)|선희]] | 추추(邱邱) | ||
[[반월(천관사복)|반월]] | 산신 | ||
[[인옥(천관사복)|인옥]] | 쑨랑랑(孙郎朗) | ||
백금 | |||
검란 | 장허(姜贺) | ||
태아령 | 류위안위안 (刘媛媛) | ||
용광 | |||
각마 | 투터하멍 | ||
매념경 | 변강 | ||
국주 | 양모(杨默) | ||
황후 민씨 | 장카이 | ||
소형 | 몌몌 | ||
소팽두 | 쉬카이(许凯) | ||
천생 | 장위웨이(张宇微) | ||
낭영 | 류정(刘峥) | ||
곡자 | 저우퉁(周侗) | ||
경문 | |||
타이틀콜 | 투터하멍 |
5. 설정
자세한 내용은 천관사복/설정 문서 참고하십시오.6. 주제가
6.1. 1기
천관사복 1기 주제가 | ||
<colbgcolor=#a31c00><colcolor=#FFD700> 제목 | 사아(赐我) | |
노래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小时姑娘 | |
작사 | 泽荇 | |
작곡 | 李大白 | |
편곡 | Mzf小慕, 李大白 | |
{{{#!folding 가사 ▼ | 满城笙歌曾经鼎沸过人海, | |
성에 노랫소리 가득하고 인파가 떠들썩했네 | ||
花枝与剑被供奉于高台, | ||
꽃가지와 검이 누대에 바쳐질 때 | ||
若从万人之上跌落至尘埃, | ||
만인의 위에서 추락한 곳이 먼지 속이었다면 | ||
谁还会虔诚膜拜。 | ||
누가 여전히 경건하게 숭배했을까 | ||
寂夜荒魂自陌路款款而来, | ||
적막한 밤, 낯선 곳에서 흘러온 외로운 혼 | ||
弯刀与蝶轻吻过最凄艳残骸, | ||
곡도와 나비는 애처로운 잔해에 살며시 입 맞췄네 | ||
若在一瞬光阴被温柔以待, | ||
한순간 온화함으로 대해진 적 있다면 | ||
谁会值得,赴汤蹈火相爱。 | ||
누군들 물불 가리지 않고 연모할만 하지 않겠나 | ||
赐予我诛灭神魔,所向披靡的结局, | ||
제게 신과 귀신을 주멸할 막강한 결말을 주시어 | ||
再辗转多情人间,一程一程相遇。 | ||
끝없는 속세를 수없이 전전하는 도중 서로를 만나고 또 만나게 하시고 | ||
赐予我绝境逢生,上天入地,百无禁忌, | ||
제게 절체절명의 순간에서 벗어날 길을 내리시어 천지에 근심할 것 하나 없으니 | ||
还有这心旌动摇的勇气。 | ||
막연하게 흔들리는 용기를 주셨네 | ||
一笠烟雨颠沛在轮回之外, | ||
안개비를 맞는 삿갓 하나 윤회의 밖에서 고난 겪고 | ||
一柄纸伞见证过最悱恻花开, | ||
종이우산은 가장 슬픔에 잠긴 꽃이 피어남을 지켜보았네 | ||
世间风光百代,或百鬼齐哀, | ||
세간의 영광이었던 세월, 혹 백귀의 울부짖음을 | ||
谁都不肯,醉生梦死忘怀。 | ||
누가 감히 취몽 속에 헛되이 잊으려 할 수 있겠는가 | ||
赐予我诛灭神魔,所向披靡的结局, | ||
제게 신과 귀신을 주멸할 막강한 결말을 주시어 | ||
再辗转多情人间,一程一程相遇。 | ||
끝없는 속세를 수없이 전전하는 도중 서로를 만나고 또 만나게 하시고 | ||
赐予我绝境逢生,追随而去,百无禁忌, | ||
제게 절체절명의 순간에서 벗어날 길을 내리시어 천지에 근심할 것 하나 없으니 | ||
还有这心旌动摇的勇气。 | ||
막연하게 흔들리는 용기를 주셨네 | ||
赐予我不忘前尘,不悔今生的一切, | ||
제가 지난 과거를 잊지 않게 하시고 이생의 모든 것을 후회 않도록 하소서 | ||
就连这诸天神明都不必再取悦。 | ||
제천 신들의 환심은 더 이상 필요 없으니 | ||
上元夜,过长街,三千华灯明灭, | ||
정월 대보름 밤 긴 거리에 삼천 등불이 아른거리는데 | ||
仿佛人间天上,从未诀别。 | ||
지상에서도 천상에서도 헤어진 적 없는 듯 하구나 |
6.2. 2기
천관사복 2기 주제가 | ||
<colbgcolor=#a31c00><colcolor=#FFD700> 제목 | 불오(不悟) | |
노래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张恩岱 | |
작사 | 择荇 | |
작곡 | Litterzy | |
편곡 | 向往 | |
{{{#!folding 가사 ▼ | 允许我成为,无名的魑魅, | |
或做你掌内一捧灰。 | ||
就如我曾在,人潮中下坠, | ||
坠向你眷顾的轮回。 | ||
天地鼎沸铜炉,剩我百炼荣枯, | ||
不肯被血与泪宽恕, | ||
座下芸芸信徒,而我冥顽不悟, | ||
你才是唯一的救赎。 | ||
万神在天,不必垂怜, | ||
我要逾山越海相见。 | ||
若你爱恋,如斯璀璨人间, | ||
请信我从未走远。 | ||
允许我追随,有你的欢悲, | ||
重逢在满城尽芳菲。 | ||
有人匍匐白骨,有人端坐高窟, | ||
不肯将花与剑辜负。 | ||
世上苦厄命途,为我惊心灼目, | ||
要渡你,最无边忧怖。 | ||
万神在天,不必垂怜, | ||
痴者赴汤蹈火相见。 | ||
若你爱恋,如斯璀璨人间, | ||
请信我从未走远。 | ||
诸神不言,千秋万殿 , | ||
证你长行得偿所愿。 | ||
若我奔赴,如斯璀璨人间, | ||
请等我回你身边。 | ||
천관사복 2기 주제가 | ||
<colbgcolor=#a31c00><colcolor=#FFD700> 제목 | 고(辜) | |
노래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无面小生 | |
작사 | 冥凰 | |
작곡 | 李大白 | |
편곡 | ||
{{{#!folding 가사 ▼ | ||
幽幽夜沉沉 语悄悄 | ||
听 何人行踽踽 登初宵 | ||
游魂野客喧嚣 高门重府烛摇 | ||
问旦福夕祸 世间知多少 | ||
忽而风起 似谁笑 良辰吉时到 | ||
几家烹欢宴 肉骨喂邪妖 不足饱 | ||
他神色木然 既悲又喜 耳畔道 | ||
回头 却是恶言生寒 入髓窍 | ||
迷迷雾漫漫 哭渺渺 | ||
提 昏灯过长街 天不晓 | ||
腔滚板未消 恶鬼怨伥又告 | ||
问天公愚聩 善恶何以报 | ||
社鼓阵阵 金铙厉 良辰吉时到 | ||
造化如命数 欢恨谁借着 不相饶 | ||
他神色木然 似悟非悟 举斧刀 | ||
回头 却是青衣扶摇 登仙道 | ||
休将奸狡昧神祗,祸福如同逐影随 | ||
善有善报,恶有恶报 | ||
不是不报,时辰未到 | ||
断足折颅 摧魄裂魂 | ||
手起刀落 血飞肉滚 | ||
剜心剔骨 解我悲忿 | ||
易除厄罚 难偿苦恨 | ||
断足折颅 摧魄裂魂 | ||
有命还命 以待三更 | ||
诸罪来受戮 见鬼神 | ||
有头者超,无头者升 | ||
鬼魅一切,四生沾恩 | ||
太上敕令,超汝孤魂 | ||
脱离苦海,转世往生 | ||
7. 회차 목록
※ 본편과 소극장만 기재합니다. 각 회차의 제목은 비공식 번역이므로 오역 및 의역 주의.===# 1기 #===
1화 2023.08.22. | 소극장·싸우다(掐架) 2022.07.18. | 2화 2023.08.22. |
{{{#!wiki style="margin: -5px -10px" |
3화 2023.08.23. | 소극장·넝마 줍기(收破烂) 2023.08.24. | 4화 2023.08.24. |
{{{#!wiki style="margin: -5px -10px" |
5화 2023.08.25. | 6화 2023.08.26. | 7화 2023.08.27. |
{{{#!wiki style="margin: -5px -10px" |
8화 2023.08.28. | 9화 2023.08.29. | 10화 2023.08.30. |
{{{#!wiki style="margin: -5px -10px" |
11화 2023.09.02. | 12화 2023.09.08. | 13화 2023.09.09. |
{{{#!wiki style="margin: -5px -10px" |
14화 2023.09.15. | 15화 2023.09.16. | 16화 2023.09.22. |
{{{#!wiki style="margin: -5px -10px" |
17화 2023.09.23. | 18화 2023.09.28. | 19화 2023.09.29. |
{{{#!wiki style="margin: -5px -10px" |
소극장·화장하다(梳妆) 2023.10.06. | 소극장·야간 담화(夜聊) 2023.10.13. | 소극장·반월(半月) 2023.10.20. |
{{{#!wiki style="margin: -5px -10px" |
소극장·장군과 도화(将军与桃花) 2023.11.03. | 소극장·풍사는 남성일까 여성일까? 영문은 어떻게 강대해졌을까?(风师是男是女灵文又如何做大做强) 2023.11.24. | 소극장·과일 먹기(吃果果) 2024.01.01. |
{{{#!wiki style="margin: -5px -10px" |
소극장·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新年好) 2024.02.10. | 소극장·반월과 배숙(半月与裴宿) 2024.04.05. | 사천만 복리·소극장·옛날에 유명한 스승님이 한 분 계셨습니다(从前有一位名师) 2024.07.15. |
7.1. 2기
1화·열신(悦神) 2024.05.26. | 2화·비승(飞升) 2024.05.26. | 3화·복귀(重返) 2024.05.31. |
4화·강림(降世) 2024.06.07. | 5화·온유향(温柔乡) 2024.06.14. | 6화·각골난망(永志不忘) 2024.06.21. |
7화·3천 장명등(明灯三千) 2024.06.28. | 8화·동령(童灵) 2024.07.05. | 9화·천등관(千灯观) 2024.07.12. |
소극장·부지런한 꼬마 화성 (小花城爱劳动) 2024.07.17. | 10화·백년호합탕(百年好合羹) 2024.07.19. | 소극장·백년호합탕 개선에 관한 활발한 토의(关于百年好合羹如何改良的积极探讨) 2024.07.25. |
11화·백화선인(白话仙人) 2024.07.26. | 12화·혈사화(血社火) 2024.08.02. | 13화·경주(倾酒) 2024.08.09. |
소극장·칠석선물(七夕赠礼) 2024.08.10. | 14화·하늘의 뜻에 반하여 운명을 바꾸다 (逆天改命) 2024.08.16. | 천만 복리·소극장·중원절 밤놀이(中元节夜游) 2024.08.18. |
소극장·묘수회태(妙手回胎) 2024.08.21. | 15화·흑수침주(黑水沉舟) 2024.08.23. | 16화·금지옥엽(金枝玉叶) 2024.08.30. |
17화·이혼(移魂) 2024.09.06. | 18화 上·매듭 짓다(了死结) 2024.09.13. | 18화 下·이사를 쓰다(题离思) 2024.09.13. |
소극장·중추절 월병(中秋月饼) 2024.09.17. | 소극장·꼬마 척용(小戚容) 2024.10.11. | 소극장·보제관의 어느 비 오는 날(菩荠观的一个下雨天) 2024.11.18. |
소극장·술집에서의 잡다한 기록(酒楼杂记) 2025.01.28. |
8. 기타
- 두 주연 성우는 마도조사 애니메이션에서 남사추, 금릉 역으로 함께 연기한 적이 있다.
- 현재까지 개정판 내용을 기반으로 한 천관사복의 미디어 믹스는 오디오 드라마가 유일하다.
- 또한 성애적 묘사가 검열 또는 각색된 다른 미디어 믹스들과는 달리 현재까지 원작과 동일하게 진행되고 있다.
- 액명의 소리는 화성 성우가 직접 내는 소리를 변환한 것이라고 한다.#
- 2024년 8월 8일, 총 청취 횟수가 5천만 회를 넘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