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order-radius:18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91919 10%, #8C8C8C 50%, #191919 8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color: #fff; min-width: 33.33%" {{{#!folding [ 수장 ] | <tablebgcolor=#fff,#000000><tablewidth=100%>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color: #fff; min-width: 33.33%" {{{#!folding [ 코치 ] | <tablebgcolor=#fff,#000000><tablewidth=100%> 테란 수석 코치 | 저그 수석 코치 | 총괄 코치 겸 토스 수석 코치 |
| | ||||
| |
- [ 어드바이저 ]
- ||<tablebgcolor=#fff,#000000><tablewidth=100%><width=10000px>
저라뎃 ||
- [ 휴학생 ]
- ||<tablebgcolor=#fff,#000000><tablewidth=100%><width=10000px>
우리밍 ||
- [ 유스 ]
- ||<tablebgcolor=#fff,#000000><tablewidth=100%><width=10000px>
아망뚜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order-radius:8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42 5%,#103070 50%, #000042 9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color: #fff; min-width: 33.3%" {{{#!folding [ 사장 ] | <tablebgcolor=#000000,#FFF><tablewidth=100%>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color: #fff; min-width: 33.3%"{{{#!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color: #fff; min-width: 33.3%" {{{#!folding [ 크루원 ] | <tablebgcolor=#000000,#FFF><tablewidth=100%> | | |
| | |
}}}}}} ||
前 스타크래프트 1, 2 프로게이머 | |
現 SOOP 스트리머 | |
| |
<colbgcolor=#34303c> SS_지동원 | |
지동원 Ji Dong Won | |
<colcolor=#ffffff> 생년월일 | 1993년 2월 4일 ([age(1993-02-14)]세) |
ID | kOp[1] ChamChi[2] |
종족 | 테란 → 프로토스 → 테란 |
소속 | 삼성전자 칸-삼성 갤럭시 칸 (2010~2014) |
별명 | 축구선수, 동원참치 |
체중 | 130KG |
MBTI | ISTP[3][4] |
학력 | 광양고등학교 졸업 |
링크 |
[clearfix]
1. 개요
|
|
前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이머이자 SOOP 스트리머이다.
2010년 하반기 드래프트에서 삼성전자 칸의 4차 지명으로 입단하여 2014년까지 프로게이머로 활동하였다.
스타크래프트 프로 시절 공식전을 한 경기도 못 나온 일명 설거지 출신이지만 스타크래프트 2 로 공식전에 출전하기 시작했다.
프로게이머 경력은 미미하지만 데뷔전[5]에서 김택용을 배틀크루저 러쉬로 이긴 것으로 화제가 된 것으로도 유명하다.[6]
이후 SOOP 개인방송을 시작했으며 스타 실력은 매우 처참한 수준이지만 마이너즈 탈퇴 이후 어느 정도 실력을 끌어올리면서 전 프로 하위권라인 정도는 비빌 수 있게 되며 이를 바탕으로 방송을 키워나가고 있다.
개인방송의 정체성은 욕받이 탱커. 고집이 강하고 핑계를 잘 대며 생각없는 언행으로 논란이 될 때가 많다. 전형적인 고문관이다.
게임실력은 과연 이 사람이 잭티어 전프로가 맞나 싶을 정도로 어이없는 실수를 남발하는 경우가 많으며 정석 운영능력이 매우 나쁘다. 이상한 개념의 해설을 할 때도 많으며 심지어 여캠들도 아는 건물 심시티도 잘 모른다. 그나마 인간맞춤으로 생더블이나 배제플레이를 자주 시전하며 빌드빨을 세워서 스트리머 프로리그나 CK에서는 30%정도 승률을 기록중이다. 이런 플레이스타일 때문에 저점이 매우 낮아 인간맞춤을 하기 힘든 ASL, SSL 예선을 뚫기는 커녕 조별리그 결승조차 진출해본 적이 없다.
2. 스타대학 코치
스타대학 코치로서의 평가는 최악으로, 태업을 일삼는건 기본이고 어쩌다 하는 교육에서도 이상한 개념과 빌드를 주입하는 등 학생에게 버프를 걸어주기는 커녕 망가트리는 마이너스의 손으로 악명높다.어지간한 노재능이 아닌 이상 스타여캠은 대부분 평소 제자의 게임을 자주 모니터링하면서 문제점이 있으면 빠르게 피드백하고, 대회에서 만날 확률이 높은 상대 여캠의 플레이 스타일과 능력치를 미리 분석하는 등 해당 코치의 열정과 능력에 따라 실력과 성과가 점점 좋아진다. 하지만 지동원은 명색은 코치인데 이런 코치의 역할은 전혀 하지 않는다. 하는 교육이래봤자 1~2달에 한번 할까말까 한 리플피드백이 끝이다. 능력있는 코치일수록 옵중계나 리플화면보다는 실시간으로 개인화면을 보면서 우리 여캠의 나쁜 습관이나 잘못된 최적화나 판단 등을 캐치하고, 게임이 끝나면 리플과 같이 분석하며 단점이나 실수를 고치기 위해 제자와 같이 힘쓰는 등, 역할놀이로 만났어도 진짜 스승과 제자처럼 몰입하여 열심히 하지만 이런 사제관계는 지동원에게 딴 나라 이야기일 뿐이다.[7] 심지어 리플조차 보지 않고 여캠에게 상황 설명하라고 한 후 말로만 대충 피드백 할 때도 있다.
머리속에는 스트리머끼리의 프로리그와 CK밖에 없다. 원래 스타대학판의 남성 스트리머는 교육이나 자기 게임을 할 때는 별풍선이 잘 터지지 않으니 프로리그에 참여한다고 무작정 욕할 수는 없다. 하지만 스타대학에 소속된 다른 리그 주력 BJ들은 눈치껏 리그 시작 전이거나 끝나고 새벽시간에 따로 시간을 빼서 교육한다. 스타대학에 들어가면 수장과 크루팬에게 관심도가 올라가 시청자와 CK펀딩 낙수가 생기기 때문에 밥값을 하려는 것이다. 괜히 교수, 코치라고 부르는 게 아니다. 하지만 지동원은 거의 날마다 프로리그와 CK에 참여하면서 정말 펀딩만 받아가고 끝이다.
평소 스탠스가 방치, 태업, 무관심이니 당연히 대회 빌드싸움도 상대 코치진에게 거의 지는 편이다. 이제는 지동원이 손대면 실력이 망가지고 대회에서 진다는게 유명해져 여캠들이 코치를 기피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하지만 스타여캠에겐 꾸준한 교육이 필수라 이 수요는 자연히 다른[8] 코치[9]에게 몰리게 된다. 다른 코치도 사람이 늘어나니 학생들을 꼼꼼하게 봐주기 힘들어지고 그러다보니 학생들의 실력이 더디게 늘어 팀의 테란라인의 전력은 점점 약해진다. 그래서 지동원이 몸 담은 대학들은 항상 약체였다. 우끼끼즈가 수년간 대학대전 최약체이자 최하위권에만 맴도는 데 큰 공을 세웠고, YB로 옮겨서도 JPL을 우승한 당대 최강팀이 다음 대학대전 시즌에서는 무려 전체 꼴지로 꼴아박는데 큰 공을 세우고 연도기로 강등당했다.
전프로게이머 출신이 하위 아마추어들이나 하는 연도기로 강등당했지만 명예회복은 안중에도 없고 평소 교육 면책권으로 받아들이고 프로리그와 CK 참여횟수를 더 늘리고 있다.
게다가 무려 메인교수의 빌드를 의논 없이 무단 수정하는 월권까지 여러 번 저질렀다. 원래 수면밖으로 떠오르지 않았으나 라네트배 스타대학대회에서 이재호의 빌드를 받아 연도기하다가 이재호에게 상의 없이 다른 빌드로 바꿨는데 해당여캠 무찌가 빌드차이로 처참하게 패배하며 퇴학당하고 말았다. 그런데 대회 해설에서는 자기가 멋대로 바꾼 빌드라고 말하지 않아 엄한 이재호가 빌드 못짜서 무능하다고 욕을 먹었다. 결국 지동원의 책임회피에 억울하게 욕을 먹은 이재호가 경기가 끝나고 당일 밤 언해피를 띄우며 사건의 전모가 밝혀져 그전까지의 잦은 고문관짓까지 합쳐서 쫒겨날 뻔 했으나 무찌의 부활쇼와 염보성의 세탁으로 살아남았다.
대회 해설 또한 평소 본인 크루 여캠들과, 상대방 동티어 여캠들의 경기를 거의 보지 않기 때문에 우리 선수가 준비한 빌드와 상대측에서 준비한 빌드예측, 평소 우리 선수와 동티어 여캠들과 스폰 전적과 경기양상, 우리 선수와 상대 선수의 플레이스타일과 장단점등은 말하지 못한다. 같은 팀 테란학생의 경기력이 좋지 않아도 욕을 회피하려고 제3자처럼 유체이탈 화법으로 남일처럼 해설한다. 오디오는 채워야 하니 과거 스타리그의 김캐리나 엄재경처럼 알맹이 없고 장황한 포장멘트를 늘어놓는다. 이런 지동원식 올려치기 억빠해설은 '와 상대방이 너무 잘하는데?', '지금 리플깨진거 아냐?', '이사람 여캠 맞아?', '지금 xx티어 게임 맞아?', '수준이 왜이리 높아? 남자게임 아니야?' 등이 있다.
3. 경력
- 2010년 제55회 커리지 매치 입상
- 2013년 2013 WCS Korea Season 1 챌린저리그 48강
- 2013년 2013 WCS 코리아 시즌 2 챌린저리그 48강
- 2013년 2013 WCS 코리아 시즌 3 챌린저리그 48강
[1] 현역 시절 ID.[2] 본인의 대표적인 별명이자 현재 쓰는 ID[3] 만능 재주꾼, 장인[4] 2번 조사했는데 2번 모두 ISTP가 나왔다고 한다.[5] 병행시즌인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시즌 2에서 데뷔했으며, 이때 지동원은 모두 스타크래프트 2로 치러진 경기에 출전했다.[6] 한편 김택용은 이후에도 스타크래프트 2에서 적응을 못하는 모습을 보이다가 이듬해를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한다. 스갤 어워드에 2연속으로 '올해의 먹튀'에 오른 것은 덤.[7] 특히 테란여캠은 종족이 가장 어렵기 때문에 코치와 합이 매우 중요한데 YB의 유승곤과 우리밍, JSA의 사테와 햇살, 케이대의 정민기와 규리야, 이노대의 김지성과 나예리같은 합이 잘 맞는 사제관계는 서로 시너지를 받는다.[8] 우끼끼즈에서 22년 이후로 지동원이 거의 교육을 던지자 테란 여캠들을 도맡아 가르쳤다.[9] YB에서 지동원이 교육을 던진 만큼 여러 테란여캠들을 도맡아 교육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