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7-25 09:45:04

중국군 vs 필리핀군


VS놀이 | 가상 군사 대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국군 vs 조선인민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 [[한국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 [[한국군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 [[한국군 vs 대만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 | [[한국군 vs 러시아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 | [[한국군 vs 미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파일:북한 국기.svg
조선인민군
[[대한민국 국군 vs 조선인민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 | [[북한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 [[북한군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 [[미군 vs 북한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
[[한국군 vs 미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 | [[미군 vs 북한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 [[미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 [[미군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 [[미군 vs 러시아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 | [[미군 vs 세계연합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UN기.svg
세계연합군
]] | [[미군 vs 소련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
파일:일본 국기.svg
자위대
[[한국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 | [[북한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 [[자위대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 [[러시아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 | [[미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 [[소련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군
[[한국군 vs 러시아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 | [[러시아군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 [[러시아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 [[미군 vs 러시아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 [[러시아군 vs 우크라이나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 | [[NATO군 vs 러시아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NATO 깃발.svg
NATO
]] | [[폴란드군 vs 러시아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
'''[[소련군|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군]]'''
[[소련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 [[미군 vs 소련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중국인민해방군|
파일:중국 국기.svg

인민해방군]]'''
[[한국군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 | [[북한군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 [[중국군 vs 대만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 | [[자위대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 [[중국군 vs 인도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 | [[러시아군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 | [[미군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 [[중국군 vs 베트남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 | [[중국군 vs 필리핀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 | [[Quad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EwVHvtgUcAMO2IH.jpg
Quad
]]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군
[[한국군 vs 대만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 | [[중국군 vs 대만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군
[[사우디아라비아군 vs 이란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
]] | [[이란군 vs 이스라엘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 | [[미군 vs 이란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다자간
한미연합군 vs 북중연합군
기타 영국군 vs 프랑스군 | 인도군 vs 파키스탄군 | 독일군 vs 폴란드군 | 태국군 vs 캄보디아군 }}}}}}}}}
파일:중국 인민해방군기.svg <nopad> VS 파일:필리핀군기.svg
중국인민해방군 필리핀군
1. 개요2. 전력 비교
2.1. 육군2.2. 해군2.3. 공군
3. 전쟁 시나리오
3.1.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 확대 시나리오3.2. 국지전 시나리오
4. 주변국 대응
4.1. 미국이 개입할 가능성
5. 기타

1. 개요

중국인민해방군필리핀군 간의 대결을 다룬 문서이다.

2. 전력 비교

중국인민해방군은 세계 2~3위 규모의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육군·해군·공군 전력에서 필리핀군을 압도한다. 특히 필리핀군은 해상 전력과 현대화 수준이 낮고, 외국산 장비 의존도가 높아 남중국해에서 단독 대응 능력이 제한적이다.

2.1. 육군

중국인민해방군 육군은 약 97만 명의 병력을 보유한 세계 최대 규모의 지상군으로, 양과 질 모두에서 강력한 전력을 갖추고 있다. 최신 전차를 비롯해 각종 장갑차, 자주포, 다연장 로켓 등을 대규모로 운용하고 있으며, 무기체계의 현대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정보화와 기동화가 함께 이루어지면서 드론, 위성통신, 전자전 등 첨단 기술이 실전 배치되고 있다. 중국은 육군과 해병대의 상륙 작전 전력도 강화해 남중국해 인근에서 신속한 투입이 가능하다.

반면, 필리핀 육군은 약 8~9만 명 규모로 병력은 확보하고 있지만 기계화 수준이 낮다. 주력 전차는 없으며, 보유 장비는 주로 구형 장갑차와 일부 경장갑차, 견인포 등에 머물러 있다. 필리핀 육군은 오랜 기간 반군 및 테러 대응 중심으로 편성되어 왔기 때문에, 본격적인 국가 간 전면전에 대비한 구조는 미흡한 편이다. 최근 들어 미국과의 군사 협력을 통해 통신장비, 전술 차량, 무인정찰기 등 일부 장비의 현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여전히 제한적이다. 종합적으로 보면, 중국 육군은 병력 규모, 장비 수준, 기동력 및 작전능력 면에서 필리핀 육군을 압도하고 있다.

2.2. 해군

중국인민해방군 해군은 세계 최대 규모의 해군 중 하나로, 항공모함, 핵추진잠수함, 디젤잠수함, 이지스함, 구축함, 호위함 등 다양한 전력을 대규모로 운용하고 있다. 남중국해 인근에 건설된 인공섬에는 항구, 활주로, 레이더 기지, 방공 미사일 기지 등이 설치되어 실질적인 전방기지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중국은 중국 해경과 해상민병대를 병행해 회색지대 전술을 펼치며 해상 통제력을 강화하고 있다. 해군 항공 전력도 점차 확장되고 있으며, 함재기 운용 능력과 해상 정찰 능력도 향상되고 있다.

반면, 필리핀 해군은 수상함 전력의 다수가 중고 또는 구형 함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잠수함은 전혀 보유하고 있지 않다. 호세 리잘급 호위함, 미겔 말바르급 호위함이 최근 도입되었으나, 수량이 제한적이며 대잠·대공 작전 능력도 미흡한 편이다. 해군 항공대 또한 소규모 경비정 및 감시용 항공기에 의존하고 있어 해상 통제 능력이 제한적이다. 해군의 주요 임무는 해상 순찰, 연안 경비, 해적 및 밀수 단속 등이며, 정규 해전 대비는 충분하지 않다. 종합적으로 보면, 중국 해군은 전략적 범위·작전 능력·함정 현대화 수준 모두에서 필리핀 해군을 압도하는 전력을 갖추고 있다.

2.3. 공군

중국인민해방군 공군은 약 3,000대 이상의 항공기를 보유한 세계 최상위권 전력으로, 전투기, 폭격기, 공중조기경보기, 공중급유기 등 다양한 기종을 운용 중이다. 스텔스 전투기를 비롯해 현대화된 전투기 전력을 대규모로 갖추고 있으며, 장거리 폭격기는 남중국해까지 작전 범위를 넓히고 있다. 중국은 위성 및 통신체계를 활용한 정밀 타격과 정보전 능력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공중조기경보체계, 통합방공체계 역시 중국 공군의 강점이다.

반면, 필리핀 공군은 과거 전투기 전력이 전무한 시기를 겪었으며, 최근 도입한 FA-50 파이팅 이글 경전투기 약 12대를 제외하면 실질적인 전투기 전력은 매우 제한적이다. 수송기, 헬기, 경공격기 위주의 구성으로, 주 임무는 내륙 수송, 해상 감시, 재난 대응 등에 집중되어 있다. 공중조기경보, 공중급유, 전자전 능력은 전무하며, 방공망도 매우 제한적이다. 필리핀은 미국 및 서방세계와 협력을 통해 감시·정찰 능력을 일부 보완하고 있으나, 독자적인 공중작전 능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종합적으로 보면, 중국 공군은 작전 범위, 기술 수준, 전략적 영향력 측면에서 필리핀 공군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우세한 전력을 보유하고 있다.

3. 전쟁 시나리오

3.1.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 확대 시나리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남중국해/영토 분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남중국해/영토 분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남중국해/영토 분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남중국해에서 중국필리핀 간의 군사적 긴장이 위험 수위에 이르고 있다. 최근 세컨드 토마스 암초[1] 인근 해역에서 중국 해상민병대와 필리핀 보급선 사이의 충돌이 잇따르며,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이 단순한 외교적 마찰을 넘어 무력 충돌로 비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중국은 9단선을 내세워 남중국해의 약 90%에 대해 역사적 권리를 주장하고 있다. 반면 필리핀은 유엔해양법협약(UNCLOS)에 근거하여 자국의 200해리 배타적 경제수역(EEZ) 내 자원과 영토에 대한 주권을 주장한다. 2016년 상설중재재판소는 중국의 주장을 국제법상 근거 없다고 판단했지만, 중국은 이를 인정하지 않은 채 남중국해 현장에서 기정사실화 전략을 이어가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군사적 대치가 단순한 해상 충돌을 넘어서 국지전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2024년 필리핀군이 자국 주둔지를 보급하려던 과정에서 중국 해경과 충돌한 사건은, 앞으로도 유사한 상황이 반복될 수 있음을 예고한다. 만약 양국 간의 일촉즉발의 군사적 충돌이 발생할 경우, 다수의 인명 피해를 포함한 국지전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3.2. 국지전 시나리오

남중국해 스프래틀리 군도 인근 해역에서 중국 해군과 필리핀 해군 간의 무력 충돌이 발생한다. 중국은 남중국해 해양 주권 수호를 명분으로 티투, 난산, 세컨드 토마스 암초 등 필리핀이 점유하고 있는 인공섬에 대한 해상봉쇄 작전에 돌입한다. 중국 해군은 랴오닝함, 산둥함, 푸젠함 항모전단을 남중국해에 순차적으로 전개한다. 아울러 수비, 미스치프, 스카버러 암초 등 중국이 점유하고 있는 인공섬에 지대함 미사일을 증강한다. 중국 해군은 항모전단을 통해 필리핀 인공섬에 설치된 항구, 활주로, 레이더 기지 등에 정밀 타격을 가한다. 필리핀 해군 호위함은 함대함 미사일을 사용하여 저항에 나서지만 큰 성과를 올리지 못하며, 반격을 받고 침몰한다. 필리핀은 동맹국인 미국에 군사 지원을 공식 요청한다. 미국은 괌과 오키나와에 주둔 중인 제3해병원정군제7함대 항모전단을 필리핀 서부 해역으로 전개한다. 미국은 남중국해 국지전이 전면전으로 확대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제7함대 항모전단을 남중국해 중부 해역에 배치하고 중국 해군의 작전 반경을 제한한다. 국제사회는 긴급히 UN 안보리 회의를 소집하고, 아세안은 즉각적인 휴전을 촉구한다. 중국은 내정간섭이라며 외교적 압박을 거부하고 군사적 긴장 상태를 유지하지만, 결국 미국의 군사적 압박을 견디지 못해 필리핀과 휴전하고 외교 협상을 이어간다.

4. 주변국 대응

대다수의 세계 각국은 자국의 전략적 이해관계에 따라 중립을 유지하겠지만, 남중국해 분쟁이 국지전으로 격화될 경우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방국가들은 필리핀에 대한 지지와 군사적·외교적 대응[2]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4.1. 미국이 개입할 가능성

필리핀은 미국과의 상호방위조약을 바탕으로 긴밀한 군사 협력을 유지하고 있다. 만일 중국의 행위가 필리핀군에 심각한 피해를 입히는 수준으로 확대된다면, 미국의 개입 가능성도 커질 수 있다. 최근 미국-일본-필리핀은 합동 군사훈련을 강화·확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5. 기타


[1] Second Thomas Shoal[2] 무기 지원, 경제 제재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