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5 12:28:22

주초일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81818,#e5e5e5
덕조 의조 희조
인조 흥종 예종(睿宗)
공종 혜제 순제
단제 선제 예종(禮宗)
도제
명 황제 }}}}}}}}}}}}


오 추존 공작
명 추존 황제
주초일 | 朱初一
묘호 희조(熙祖)
시호 유황제(裕皇帝)
주(朱)
초일(初一)
부황 의조(懿祖)
모후 환황후(桓皇后) 후씨(侯氏)
황후 유황후(裕皇后) 왕씨(王氏)
생몰 ? ~ ?

1. 개요2. 생애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명 태조 홍무제 주원장의 조부로 객용(句容) 출신이었으며 주사구의 아들이자, 주세진의 아버지였다. 사후 손자인 홍무제에 의해 황제로 추존되었다.

2. 생애

유황후(裕皇后)로 추존된 왕씨(王氏)와의 사이에서 장남 주오일(朱五一)[1], 차남 주오이(朱五二), 4남 주세진[2]을 낳았다. 주초일 대에 주씨 가문은 사주(泗州)로 이사했다고 한다.

1363년, 동계홍건군의 수장 한림아에 의해 광록대부(光祿大夫), 강남등처행중서성장정사(江南等處行中書省章政事), 주국(柱國), 사공(司空), 오국공(吳國公)으로 추증되었으며 부인 왕씨도 공부인(公夫人)으로 추증되었다.

1368년, 손자인 주원장명나라를 건국하자 묘호 희조(熙祖), 시호 유황제(裕皇帝)로 추존되었으며 조릉(祖陵)에 안장되었다. 동시에 그의 아내 왕씨도 유황후로 추존되었다.

3.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9d537;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81818,#e5e5e5
덕조 주오사 | 의조
의조 희조 | 주초이 | 주초오 | 주초십
희조 수춘왕 | 주오이 | 인조
인조 남창왕 | 우이왕 | 임회왕 | 홍무제
홍무제 흥종 | 진민왕(秦愍王) | 진공왕(晉恭王) | 영락제 | 주정왕(周定王) | 당정왕(唐定王)
흥종 건문제
건문제 화간태자 | 주문규
영락제 홍희제 | 한왕 | 조간왕 | 주고희
홍희제 선덕제 | 월정왕(越靖王) | 양헌왕(襄獻王)
선덕제 정통제 | 경태제
정통제
(천순제)
성화제 | 덕장왕(德莊王)
경태제 회헌태자
성화제 도공태자 | 홍치제 | 예종(睿宗) | 기혜왕(岐惠王)
홍치제 정덕제 | 울도왕
정덕제 없음
예종(睿宗) 가정제
가정제 애충태자 | 장경태자 | 융경제
융경제 헌회태자 | 정도왕(靖悼王) | 만력제
만력제 태창제 | 빈애왕(邠哀王) | 공종 | 예종(禮宗)
태창제 천계제 | 간회왕(簡懷王) | 숭정제
천계제 회충태자 | 도회태자 | 헌회태자
숭정제 도제
남명(南明)
도제 없음
공종 홍광제
홍광제 없음
혜제 순제
순제 단제
단제 선제
선제 융무제 | 소무제
융무제 장경태자
예종(禮宗) 영력제
영력제 애민태자
비정통 군주 황자
현무제 없음
순덕제 주학(朱學)
소무제 없음
동무제 주유계
흥업제 주도제
정무제 없음
}}}}}}}}}}}}



[1] 수춘왕(壽春王)으로 추존.[2] 3남은 조졸했다.